•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al key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조경용 수목의 형태적 식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Identifying for Landscape Architecture)

  • 김민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1-262
    • /
    • 1998
  • A number of illustrated floras are generally used when we want to idenufy a name of a certain tree. This method, however, has not been efficient because it has taken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for persons who do not have much knowledge on the group of the plant. In contrast to this method, the use of taxonomical keys is very efficient for finding out the group of a certain plant. But this method Is very dirtficult for non-specialists to understand the taxonomical ternunology and thus has not been of general use. In thin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efficient way of the group of a certain tree through the computer database by using the brief forms of plant organs. The database consists of effect fields such as form of trunk and evergreen or deciduous, types of leaf and leaf arrangement, existence of price and hair on twig, form of leaf margin, leaf form and venation, existence of hair on leaf surface and petiole, length of leaf and petiole. The 222 species of tree us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were sorted by items of the eight fields. As a result, the 222 species were divided into 185 groups and the one group contains 7species, 2 groups contain 3 species, 27 groups contain 2 species and 155 groups contain only one spec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computer database and illustrated floras is very easy and efficient in identifying a tree.

  • PDF

한국산 위축선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f Korean Stunt Nematodes)

  • 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3
    • /
    • 1993
  • 지금까지 한국산 Belonolaimidae과는 2아과 4속 23종이 발표되었다. 이중에 Tylenchorhynchus maritini는 T. annulatus로 정리되었고, Merlinius acuminatus, M. brevidens, M. joctus, M. lenorus, M. nothus, M. koreanus는 Geocenamus 속으로 변경되었으며, M. clavicaudatus, M. macrurus, M. socialis는 Amplimerlinius 속으로 변경되었다. Quinisulcius capitatus는 Tylenchorhynchus capitatus로 정리되었다. 각 속별 검소펴를 작성하였으며, 종을 동정하는데 용역하도록 사진을 첨부하였고, 채집지 및 기주식물을 기록했다.

  • PDF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한 말레이지아산 목재부후균 Hypocrea microrufa의 특징 (Distinctive Features of Hypocrea microrufa, Wood Decay Fungi, from Malaysia as Reveal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이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1-344
    • /
    • 1999
  • 점버섯목의 점버섯속은 자낭각을 지닌 노란색이나 탁한 황토색의 자좌를 형성하며, 각진 입방형의 자낭포자를 지닌다. 열대지역인 말레이지아에서 발견된 Hypocrea microufa를 형태적으로 유사한 H. rufa, H. microsplendens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본 H. microrufa는 열대지방에서는 최초로 발견 기록되며, 또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최초의 보고이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자낭포자의 표면무늬도 검색표의 주된 분류 동정기준으로 사용하였다.

  • PDF

A Taxonomical Review of the Genus Aphelopus(Hymenoptera: Dryinidae: Aphelopinae) from South Korea

  • Kim, Chang-Jun;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3호
    • /
    • pp.159-168
    • /
    • 2016
  • The species of Aphelopus Dalman (Hymenoptera: Dryinidae) from South Korea are reviewed. Sixteen species are listed, of which fifteen are new records from South Korea: Aphelopus atratus (Dalman, 1823); Aphelopus bennetti Olmi, 2004; Aphelopus camus Richards, 1939; Aphelopus luteoceps Xu & He, 1999; Aphelopus maetoi Olmi, 1995; Aphelopus malayanus Olmi, 1984; Aphelopus melaleucus (Dalman, 1818); Aphelopus nepalensis Olmi, 1984; Aphelopus nigriceps Kieffer, 1905; Aphelopus prolatus Mita & Olmi, 2014; Aphelopus querceus Olmi, 1984; Aphelopus serratus Richards, 1939; Aphelopus spadiceus Xu & He, 1997; Aphelopus urbaini Olmi, 2003; Aphelopus zhaoi Xu, He & Olmi, 1998. Keys to South Korean species of Aphelopus are also provided.

한국산 Aspergilli 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he taxonomical studies of Korean Aspergilli)

  • 이배함;김상재;이호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1
    • /
    • 1968
  • Through the present experiment the various Aspergilli have been isolated from 53 Meju specimens (fermented soy bean cake) which were collected from 43 local areas in Korea and those of them are arranged as 6 different groups: Asp. flavus-oryzae group (38 strains), Asp. niger group (11 strains) Asp. nidulans group (5 strains), Asp. clavatus group (4 strains), Asp. fumigatus group (3 strains), and Asp. ochraceus group (2 strains), as the result of identification of them by the group key of Thom and Raper. Further identifications of them according to the species keys of Thom and Raper, Yamata and Sakakuchi have been also conducted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following as: 1. Group members (38) of Asp. flavus-oryzae group are identified as. Asp. oryzae, Asp. oryzae var. fulvus, Asp. flavus. and Asp. parasiticus, not identified two different strains belong to this group. 2. Group members (11) of Asp. niger group are identified as Asp. niger and Asp. phoenicus. 3. Group members (5) of Asp. nidulans groups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nidulans. 4. Group members (4) of Asp. clavatu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clavatits. 5. Group members (3) of Asp. fumigatu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fumigatus. 6. Group members (2) of Asp. ochraceits group are identified as the same species, Asp. sulphereus.

  • PDF

First record of a marine microalgal species, Jaagichlorella roystonensis (Trebouxiophyceae) isolated from Jungmun Saekdal Beach, Jeju Island, Korea

  • Jo, Seung-Woo;Kang, Nam Seon;Lee, Jung A;Kim, Kyeong Mi;Jang, Hyeong Seok;Yoon, Moongeun;Hong, Ji Won;Yoon, Ho-Sung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16-221
    • /
    • 2020
  • A eukaryotic marine microalga was isolated from Jungmun Saekdal Beach, Jeju Island, Korea and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molecular phylogeny and morphology, was used to determine its taxonomical status.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inferred from the small subunit (SSU) 18S rRNA sequence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condary structur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the isolate belonged to the recently described species, Jaagichlorella roystonensis. Distinctive morphological keys of the species were also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S/TEM). In this study, a Korean marine J. roystonensis species wa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and was subsequently added to the national culture collections in Korea.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통의 분류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Namweon Series, Black Volcanic Ash Soils)

  • 송관철;현병근;손연규;임한철;이신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85-392
    • /
    • 2009
  • 대표적인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통은 Ap, BA 및 Bw층에서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각각 5.2%, 7.4%, 9.8%로 높고 인산보유능이 각각 85.4%, 98.4% 98.3%로 매우 높다. 용적밀도가 각각 $0.72,\;0.62,\;0.76Mg\;m^{-3}$으로 매우 낮다. 전 토층이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서 Andisols로 분류 된다.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토양수분 장력 1,500 kPa에서의 토양수분함량이 전토층에서 15% 이상이므로 아목은 Udands로 분류된다. Ap층과 BA층에서는 Allophane과 Al-유기복합체가 혼재되어 있으나, Bw층에서는 활성 Al이 주로 Allophane의 구성분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전 토층을 통하여 Allophane과 Ferrihydrite 함량이 높다. 습윤시 명도와 채도 값이 Ap, BA 및 Bw층 모두에서 2 이하이고, 유기탄소 함량이 각각 $125,\;115,\;42g\;kg^{-1}$이며, melanic index가 각각 1.53, 1.50, 1.55이다. 0 에서 72 cm 깊이까지 모든 층위에서 melanic 감식표층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군은 Melanudands로 분류된다. Ap, BA 및 Bw층에서 토양수분장력 1,500 kPa일 때 토양수분함량이 풍건 시료의 경우 각각 28.9, 29.1, 27.6%로 15% 이상이며, 비풍건 시료의 경우 34.2, 55.3, 48.7%로 70% 이하이다. 0~72 cm의 깊이에서 유기탄소 함량이 $60g \;kg^{-1}$ 이상이며, 습윤시 명도와 채도 값이 2 이하이므로 아군은 Pachic Melanudands 로 분류된다. 토양수분 제어부위에서 토양수분장력 1,500 kPa일때 토양수분함량이 풍건 시료의 경우 12% 이상이며, 비풍건 시료의 경우 30~100% 범위 내에 있으므로 대체 토성속은 medial에 속한다. 8 x acid oxalate 침출 Si(%) + 2 x acid oxalate 침출 Fe(%) 값이 광물속 제어부위에서 12.3~19.5로 5 이상이다. 또한 2 x acid oxalate 침출 Fe 값이 8 x acid oxalate 침출 Si(%) 값보다 크므로 광물속은 ferrihydritic에 속한다. 남원통은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Melanudands가 아니라 medial, ferrihydritic, thermic family of Pachic Melanudands로 분류되어야 한다.

부곡통의 분류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Bugog Series)

  • 송관철;현병근;손연규;홍석영;김이현;최은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72-477
    • /
    • 2009
  •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부곡통을 재분류하기 위하여 부곡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 준 분 석 방 법 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p층 (0~22 cm)은 진갈색 (7.5YR 4/6)의 양토이고, BAt층 (22~41 cm)은 갈색 (7.5YR 4/4)의 식양토, Bt1층 (41~59 cm)은 진갈색 (7.5YR 4/6)의 미사 질식양토, Bt2층 (59~78 cm)은 진갈색 (7.5YR 4/6)의 미사질식양토, Btx1층 (78~90 cm)은 진갈색 (7.5YR 4/6)의 미사질식양토, Btx2층 (90~160 cm)은 갈색 (7.5YR 4/4)의 미사질식양토이다. 부곡통은 화강편마암, 화강암, 또는 편암지대의 충적붕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약한 경사지에 분포하며, 대부분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Ap층 (0~22 cm)은 ochric 감식표층, BAt층에서 Btx2층 (22~160 cm)까지는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78~160 cm 깊이에 fragipan을 보유하고 있다. 기준깊이인 fragipan 상부 경계 아래 75 cm 깊이인 153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0% 미만으로 낮다. 따라서 부곡통은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부곡통은 Ud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무기질 토양표면으로부터 100 cm 이내 깊이에 fragipan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Fragiudults 대군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토양으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Fragiudults이다. 부곡통은 Fragiudalfs의 전형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아군은 Typic Fragiud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 위에서의 토성속이 fine silty이고,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한다. 따라서 부곡통은 Fine loam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alfs가 아니라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제주도 토양인 용흥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 송관철;현병근;문경환;전승종;임한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78-485
    • /
    • 2009
  • 제주도 남부 해안지대의 용암류대지에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주로 분포하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용흥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용흥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은 3.2$\sim$3.4%로 andic 토양 특성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나, 인산보유능이 72.7$\sim$84.5%로 85% 미만이며, 용적밀도가 $1.21{\sim}1.42Mg\;m^{-3}$으로 $0.90Mg\;m^{-3}$ 이상이다. 따라서 용흥통은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BAt층에서 Bt4층 (15~150 cm)까지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합)가 35% 미만이므로 Andisols, 또는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Argillic 층위의 상부 15 cm 깊이에서 유기탄소 함량이 $9g\;kg^{-1}$ 이상이므로 아목은 Humults로 분류된다.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cm 이내 깊이에 암석질이나 준암석질 접촉면 등이 없으며,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cm까지 깊이의 argillic 층위에서 점토함량이 최대치와 비교하여 20% 이상 감소되는 층위가 없으므로 대군은 Palehumults로 분류된다.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나 Ap층의 용적밀도가 $1.21Mg\;m^{-3}$으로 and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아군은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 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용흥통은 fine, mixed, the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층형 규산염 점토광물을 주광물로 하고 있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 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용흥통의 경우 강우량이 1,800 mm 내외로 비교적 많은 제주도 남부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조면암, 조면암질 안산암 및 이들 암석에서 유래된 화산회를 모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non-Andisols 토양으로 생성 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용흥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 염기 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이 생성되고,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 특성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Ultisols 중에서도 Humults로 생성발달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