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nted student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학적 문제해결 중심 메이커톤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A Study on Effects of Make-A-Th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Problem Solving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영민;최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3-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make-a-thon program based on engineering problem solving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change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teachers and experts, a team-based and student-driven engineering problem-solving-oriented make-a-th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operated using KAIST'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51 students. Students composed of 12 teams studied 12 topics through an engineering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overall program satisfaction was very high, on average 4.62.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have been positively changed, especially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diffusion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characteristics (pursuit of social values). Attitudes toward engineering also changed positively, especially in terms of difficulty of engineering, interest in engineering, gender role in engineering, and engineering and occupational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is very effective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demand for engineering education.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on Self-regulations Strategy Use,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in a Context of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성혜;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65-3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에서 중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과 수강지속의사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탐구중심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43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흥미, 도전감, 의미, 선택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인지조절전략(시연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과 행동조절전략(노력관리, 시간관리, 도움활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과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에 대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연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정교화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과 의미였다. 도전감 인식은 시연 전략 활용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간관리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도움활용 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이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흥미, 도전감,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후속 강의를 수강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탐구학습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분야 사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수들의 인식 조사 (Student apprentices' and mentors' perceptions on a science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

  • 임희준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29-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 학생을 위한 미국의 한 과학 분야 사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이 사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유, 학생들이 사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배운 점, 그리고 학생 프로젝트의 평가와 지도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사사 프로그램은 여름방학 7주 동안에 걸쳐 단기적이고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었으며,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관련 산출물, 생활일지, 실험실 및 전체 토의 시간에 대한 참관 노트, 학생 및 일부 지도 교수들에 대한 면담 자료 등이 사용되었다.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유는 대학의 전문 과학자와의 연구 수행, 실제 과학 연구에 대한 이해, 진로 탐색 등 주로 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과 내적 동기에 기반한 것이었다. 사사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하여 학생들이 배운 점은 실제 과학 연구의 본성, 과학 분야의 지식, 진로 확인 및 탐색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지도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인지적 도제 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창의력 경연대회에 대한 분석연구 (The Analysis on the Creativity Festival)

  • 하종덕;김도윤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3-186
    • /
    • 2009
  •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과 더불어 시작된 한국영재학회 주관 창의력 경연대회는 1997년 대전광역시내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작되었고 2003년에는 전국대회로 확대 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세계대회로 개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2년 동안 개최된 창의력 경연대회를 참가자, 대회운영방식, 출제문제, 문제해결 산출물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이 대회의 전반적인 흐름과 변화를 파악하고 향후 열릴 창의력 경연대회의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의력 경연대회 참가자 수는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일반부의 순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회운영방식 경우 변화가 많았다. 셋째, 문제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볼 수 있으면서도 그 해에 이슈가 되었거나 학생들에게 교육적인 시사를 줄 수 있는 소재, 주위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고 시대를 반영한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다. 넷째, 참가자의 산출물에 대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중 고등학생보다는 초등학생이, 국내학생보다는 외국학생이 보다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냈고 질에 있어서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New Approaches Supporting to the Parents who Have Gifted Student)

  • 태진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3-332
    • /
    • 2009
  • 그간 많은 선행 연구들이 영재성 발현과 성취를 위해 부모 조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부모의 참여를 어떻게 유도하고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무엇을', '왜' 라는 측면에서 영재부모를 위한 지원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채 막연히 영재학생의 부모역할이 중요하므로 그들을 교육해야한다는 취지아래 부모교육을 통한 지원이 일반화 되어왔다. 이러한 현실은 자칫 영재부모 지원을 위해 보다 중요한 사항을 놓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부모지원을 위해 다양한 차원에서 영재부모 지원의 개념을 살펴보고 영재부모지원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탐색했다. 나아가 현재 영재학생의 부모지원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총체적인 영재부모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프로그램 수행의 관련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Recommendation and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eacher'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 우미란;김선자;박종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73-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관찰 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영재수업프로그램 수행 사례와 교사추천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 교육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10년 관찰 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 9명의 교사추천서를 분석하였다. 교사추천서의 서술방식과 내용에 따라 학생들을 4그룹으로 분류하고, 분석대상으로 그룹별로 1명씩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추천서에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인지적 특징이 서술된 학생 a1은 영재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적극적인 과제집착력과 논리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나타내었다.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정의적 사회적 특징이 주로 서술된 학생 a2는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동료나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인지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1은 과제집착력, 실험설계능력, 실험기구조작능력 등을 바탕으로 우수한 문제해결력을 보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정의적.사회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2는 적극적이며 바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과제해결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관찰 추천이 효용성을 갖기 위해서는 교사추천서에 영재의 인지적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ection Results of the Gifted Student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 윤은정;박윤배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929-942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관찰 추천제에 의한 선발 및 융합과학전공의 도입 후에 학생 선발과 교육 내용 구성이 어느 정도 타당하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 융합과학 전공 운영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융합과학전공의 입학사정 결과를 분석해 보고, 입학 성적과 입학 후 융합과학전공에서의 수행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관찰 추천제가 추천자 및 심사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선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심사자들 사이의 관점이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발과 입학 후 교육이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Claim-Evidence Approach for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 Park,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20-63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 argumentation and his explicit teach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it in the classroom. On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Mr. Field, and his students of 54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semi-structured interviews, 60 hours of classroom observations, and two times of students' lab reports for eight weeks. Coding categories were developed describ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a description of the main teaching strategy, the Claim-Evidence Approach, was introduced. Toulmin's approach was employed to analyze student discourse as responses to see how much of this discourse was argumentati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r. Field defined scientific inquiry as the abilities of procedural skills through experimentation and of reasoning skills through argumentation. The Claim-Evidence Approach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own claims based on their readings, design the investigation for evidence, and differentiate pieces of evidence from data to support their claims and refute others. During this approach, the teacher's role of scaffolding was critical to shift students' less extensive argumentation to more extensive argumentation through his prompts and questions. The different level of teacher's involvement, his explicit teaching strategy, and the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influenced the students' ability to develop and improve argumentation.

서울시 고교에서의 특수재능교육

  • 조석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47-67
    • /
    • 1997
  • Fourteen Special high schools for developing talents in Science, Foreign Languages, and Ar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Students screening system,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and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Special high schools in talent area were more or less similar to each other in all the above aspects. However, special high schools in different talent areas were quite different in student screen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and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Public schools were more affluent than the private ones. Special high schools in Science, arts and Sports were providing individualized, activity oriented, process-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le the Foreign languages high schools excercised teacher-centered, grammar oriented, lecture-focused teaching methods more. Special high schools in arts and sports could have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because the university focuses on talents in the specified field rather than academic scores. In conclusion, the schools have a great deal of rooms to improve in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 which students can maximize their potential development. However, the special high schools were equipped with better learning environments than regular high schools in many aspects.

  • PDF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 발명가 5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s, Family Backgrounds and Parenting Styles of 5 Foreign Inventor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rough Narrative Inquiry)

  • 채동현;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4-252
    • /
    • 2014
  • A talented person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is the person who has ability to create intellectual property value. This intellectual property comes from invention. According to several researches, invention and creativity have a strong correlation. And a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s of a student. This narrative research is to understand creativity factor,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s of five foreign inventors in elementary textbooks. As a result of study, all of the inventors had intellectual curiosit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And despite economically difficult environment, they grew up in houses where gives a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were good. Also at least one of their parents supported their decision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