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Approaches Supporting to the Parents who Have Gifted Student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spite of the previous research that had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assistance for revealing genius and achievement of their children,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how to drive the parents participation and support. Not considering "what and why" about the supporting of parents of gifted students, it was vaguely generalized that the education from the supporting parents was important. However, this situation will have a possibility of missing out on more important things of gifted children's parental support.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deal with a variety of effective ways to clarify what the parents can do to support their gifted children and the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those ways. Furthermore, by suggesting some of the ways that can complement the system of current parental support, it will set up fundamental ways to help the supporting parents.

그간 많은 선행 연구들이 영재성 발현과 성취를 위해 부모 조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부모의 참여를 어떻게 유도하고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무엇을', '왜' 라는 측면에서 영재부모를 위한 지원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채 막연히 영재학생의 부모역할이 중요하므로 그들을 교육해야한다는 취지아래 부모교육을 통한 지원이 일반화 되어왔다. 이러한 현실은 자칫 영재부모 지원을 위해 보다 중요한 사항을 놓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부모지원을 위해 다양한 차원에서 영재부모 지원의 개념을 살펴보고 영재부모지원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탐색했다. 나아가 현재 영재학생의 부모지원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총체적인 영재부모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충열 (2007). 자녀를 영재로 키우는 가정교육 10 訓. 兒童敎育, 6(1), 31-48
  2. 구미숙 (2004). 영채유아 어머니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 김동춘 (2003).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어머니 양육태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4. 김미숙, 서혜애, 이혜연(2005). 영재교육 강화 사업성과 지표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김성원, 최성연 (2002). 영재아의 부모 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6. 김연진 (1983). 영재유아의 판별과 교육에 관한 연구. 상지영서대학 논문집, 제23집, 103-127
  7. 김은영 (2003). 유아외 영재성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8. 김정휘 (2001). 영재성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가족의 역할. 서울: 교육과학사
  9. 김종선 (2008),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10. 김현희 (2004). 부모교육 운영에 관한 초동 영재아 부모의 요구 분석. 문화콘렌츠연구, 9(2), 99-122
  11. 김홍원, 박성익, 조석희,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가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2. 김회진(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 교육과 지원. 서울· 파란마음
  13. 도정은 (1999), 영재교육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부모의 정보탐색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14. 문윤희 (2006). 창조적 성취자를 키운 동서양 양육자의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5. 문혁준 (1999). 아동기의 부모 자녀 양육태도와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139(99.9), 141-151
  16. 민경해 (2006), 영재자녀 학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17. 박인호, 한거순, 권남오, 양태연, 이운학, 정태봉 (2006). 학부모 과학영재교육센터. 한국과학재단
  18. 배진수 (1995). 영재아동의 교육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5, 181-223
  19. 송언옥 (2006) 초등학교 영재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 양소희 (2007). 영재 교육기관과 일반 교육기관 아동 어머니의 교육관과 양육태도 및 영재인식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21. 원은실; 오종철 (2008). 학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영재교육연구, 18(2), 265-292
  22. 이미선, 김태준, 아유훈, 조광순 (2005).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3. 이영순 (2006). 영재 학부모와 일반 학부모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24. 이원영(1997).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25. 이희영, 안삼태, 최태진 (2003). 영재아 부모들의 고민 유형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5(2), 193-205
  26. 정환명 (2008). 초둥학교 영재학급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제문화 대학원대학교
  27. 조석희 (1987). 취학 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교육개발, 50(87.10), 60-64
  28. 최정남 (2005). 영재유아 아버지의 교사로서의 부모태도와 지능 발달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9. 한기순 (2006) 과학영재교육원을 통해서 본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인류학연구, 9(1). 123-151
  30. 홍의숙 (2003). 영재의 특성 및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석사학위논문.중부대학교
  31. Ann Robinson, Bruce M. Shore, Danna, L. Enersen (2008). 경험연구에 기초한 영재교육[이경화, 김혜진, 김옥분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본출간년도: 2007)
  32. Baldwin, L. J. (1994). Portraits of gifted/ learning disabled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33. Braggett, E. J. Ashman, A. & Noble, J. (1983). The expressed needs of parents ofGifted chi1dren.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 80-84 https://doi.org/10.1177/026142948300100208
  34. Chamrad, D. L. Robinson, N. M, & Janos, P. M. (1995). Consequences of having agifted sibling: Myths and realities. Gifted Child Quarterly, 39(3), 135-145 https://doi.org/10.1177/001698629503900303
  35. Clark, B. (1992). Growing up gifted. New York: Merill
  36. David, F. Dettmann, Nicholas Colangelo. (2004). A Functional Model for Counseling Parents of Gifted Students/ Sally M Reis. Social Emotional Issues, Underachievement,And Counseling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Califomia:Thousand Osaks
  37. Feuerstein, R. (1980). Instrumental Enrichmen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Modifiability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38. Fouse. B. Beidelma. V. & Morrison. J. (1995). Keeping peace with parents of the gifted. Gifted Child Today, 18, 39-41
  39. OECD (2004). Equity in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dvantages
  40. Okagaki, L. & Divecha, D. J. (1993). Development of parental beli행In T. Luster &1. Okagaki(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35-67).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Olszewski-Kubilius, P. (2002), Parenting practices that promote talent development,creativity, and optimal adjustment. In M. Neihart, S. M. Reis, N. M. Robinson.,& S. M. Moon(Eds),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205-212). Waco. TX: Prufrock Press
  42. Page, B. A. (1983). A parent's guide to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gifted children. Roeper Review, 5(4), 39-42 https://doi.org/10.1080/02783198309552725
  43. Rimm, S. (2007).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전략 이들을 위한 대처 방안. [안도희, 김옥분,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6)
  44.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families. In L. K. Silverman(Ed), Counseling thegifted and talented. Denver, CO: Love Publishing
  45. Subotnik, R. F., & Jarvin, L.(2005). Beyond expertise: Conceptions of giftedness as great perrmance. ln R. J. Stemberg, & J. E. Davidson(Eds), Conceptions of giftedness(2nd ed), 343-35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Takacs, C. A. (1986), Enjoy your gifted child. Syracuse. NY: Syracuse University Press
  47. SENG 홈페이지. htφ://www.sengifted.org (겁색일: 2009. 06. 20)
  48. Gifted Child Society 홈페이지. http://www.gifted.org/parenν'parents.htm (검색일 2009.06.20)
  49. 한국교육개발원 Newsletter 2009. Vol. 6 NO. 1/2 영재교육 유관기관 협력체제 강화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