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understanding

검색결과 1,071건 처리시간 0.025초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PCK 특징 (Characteristics of Teaching Orientation and PCK of Science Teachers i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41-46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교사의 교수 지향과 그에 따른 PCK의 특징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반구조화 면담, 수업관찰 및 현장노트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참여교사의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과학 교수·학습 지향의 조합으로 범주화하여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과학 개념형성-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탐구 수업' '과학 개념 및 탐구 과정 적용-강의식 수업' '과학 정보 분석 및 판단-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탐구 수업' '과학적 태도 함양-강의식 수업' '과학·기술·사회 상호관계 인식 함양-탐구 수업'의 교수 지향을 추출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과학 교육 목표 지향과 관계없이 '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는 '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와 다르게 다양한 탐구 활동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이해 점검을 위한 질문 전략, 반복 강의 전략 등의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을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실시간 모둠 활동을 수행하는 전략, 코로나 19 이전 수행하던 대면 모둠 활동을 가상 실험, 학생 개별 실험으로 대체하여 수행하는 전략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과학 개념 이해-강의식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학생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이 드러나지 않은 반면, '과학 개념 형성-탐구 수업 지향'의 교사들은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탐구 수업 관련된 학생의 학습 어려움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초등학생의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비유 만들기 특성,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Characteristics, Mapping Understanding, Mapping Errors, and Perceptions of Student-Generated Analogi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 강훈식;천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68-68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알갱이의 크기에 따른 혼합물의 분리 원리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 대응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을 학습접근양식에 따라 조사했다. 초등학교 4학년 92명을 선정하여 학습접근양식 검사, 비유 만들기 검사,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계적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보다 유의미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더 많은 수의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든 비유 유형의 경우,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구조적/기능적 비유, 부연 비유, 고체계성 비유를 더 많이 만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표현 방식(글, 그림, 글/그림)과 상황의 작위성(작위적, 일상적), 추상도(추상적, 구체적) 항목에서는 학습접근양식에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비유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고, 비유물에 포함된 공유 속성의 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응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더 적었다. 학습접근양식에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유 만들기 활동에서의 다양한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했다.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 평가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 이기영;이재봉;오현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4-694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다층 서답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응답 유형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슬점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포화수증기량 곡선에서 이슬점 찾기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이슬점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슬점에서 수증기 응결과정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개념 유형의 비율은 매우 낮았으며, 오개념 유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형 또한 다양하였다. 셋째,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학생 응답 유형 분포 분석을 토대로 4수준의 평가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구과학 분야에서 개념 이해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간호학생의 전공교육 입문경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n Entrance Experience into Major Subject of a Student Nurse)

  • 조계화;조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60-368
    • /
    • 2001
  •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to find out an entrance experience into major subject of student n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 lived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 nurse. Method of the study was appli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used by Colaizzi's analytic technique. Participants were 33 sophomore student nurse from TC University. The investigator conducted participated observations and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which were audio taped under the permission of student nurse, formulating meanings, themes and theme clusters. Results of the study were revealed 6 categories, 14 theme clusters, and 31 themes. Six categories include 'feeling anxious about clinical application', 'making superficial class', 'evaluation for ability of memory', 'deficit of academic evaluation criteria', 'insufficiency of textbook' and 'deficit for uniqueness of nursing science'. This findings confirm the fact that the student nurse's entrance experience was complicated and diversely influenced by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e helpful not only in understanding student nurse's entrance experience about their specialities but also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nursing education.

  • PDF

한국과 홍콩 예비교사의 학교수학에 대한 이해 분석 연구 (Korean and Hong Kong Student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409-42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홍콩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학교수학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하고, 교사교육 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할 지식의 성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 교수(敎授)와 관련되면서 '무엇을', '왜', '어떻게'의 측면을 포괄하는 다섯 개의 문항을 선정하고, 한국과 홍콩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 한국과 홍콩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교 수학의 원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며, 초등학교 수학을 중등학교 수학 및 대학 수준의 수학과 연결시켜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비추어볼 때 초등학교 예비교사 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은 중등학교 및 대학 수준의 수학을 초등학교 수학과 연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수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범주 및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the Categories and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ers' Student Evaluation Competence)

  • 고상숙;이강섭;김인수;신인선;신현용;이병수;이중권;최영기;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281-295
    • /
    • 2005
  • To evaluate students properly in mathematics, it is essential to clarify and specify the object of study. Proper assessment tools are also needed coupled with an effective assessment method. The assessment tools have to be reasonable and trustworthy. Conducting the assessment should always produce fair and positive results and effectiveness. Establishing standards for the student evaluation competence of mathematics teachers should satisfy such objectives.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y suggest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KICE), this study classified the elements of capacity for evaluation competence into the general assessment, the assessment content understanding, and the assessment conduct & application areas. The specific elements of each area are established as standards. At last, 13 standards were suggested and summarized. to describe the math teachers' student evaluation competence.

  • PDF

사고의 반영과 학습의 문헌고찰 -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본 사고반영 중심의 실습 (Reflection and Learning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t reflective practicum)

  • 신경림
    • 대한간호
    • /
    • 제31권5호
    • /
    • pp.65-71
    • /
    • 1992
  • In nursing, a practice discipline, it has been argued whether the mastery of clinical competence depends on types of learning style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use of specialized skills. All these problems are not limited to nursing education. Later educator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learning which is a vital element in any form of learning and that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consider how they can incorporate some forms of reflection in the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ducational articles for understanding better what reflection in learning is, to identify the theme which is of important relevance to professional practice, from the book,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o discuss the theme within nursing education. Reflection in learning was defined by Dewey(1933) as the process which is involved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parts of an experience. This experience is passed on when two people becoming involved with each other in a conversation. schon(1987) emphasized that learning conversation, which is a part of the interaction of student and teacher,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process of reflection-om-actopm.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goo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aculty's role, interpersonal skills are critical in learning conversation. Then Practing nurses who accept the need to choose nursing actionss on the basis of reflection, who accepet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the reasons for action are a powerfful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o an increasingly more effective profession for the benefit of patients.

  • PDF

수행평가의 이해와 적용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 임병빈;연준흠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149-189
    • /
    • 1999
  •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any metho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knowledge that a student possesses. Assessment may influence decisions about grades, placement, instructional needs, and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assessment is to identify how the students think and know, to diagnose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to reflect the result of assessment on teaching. But the traditional multiple-choice test failed to evaluate and teach higher-leve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this context, performance assessment is being required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to get better understanding about what the students can do as well as what they know. This article points out some weaknesses of traditional assessments, and comment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 presents mo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and some examples. It is certain that performance assessment is student-centered and future-oriented. But performance assessment can't be the surest and best way of evaluating the students' abilities. We are just on the way of another experimental stage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ology. More supplementary analyses and further improvements are needed.

  • PDF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GSP활용 (A Study on the GSP in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1호
    • /
    • pp.111-125
    • /
    • 2002
  • In this study, we studied some examples using GSP(Geometer's SketchPad)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at is explained by G. polya. After reconsidering examples, we tried to show that using GSP can help student's intuitive thinking, investigative activities, reflective thinking. Especially, in the three phase of problem solving(understanding the problem, devising a plan, looking back), mathematics teachers may using GSP in order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Besides, we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use GSP more adequately in the teaching and Beaming mathematics. First of all, Mathematics teachers using GSP in their class must have ideas how to use it. And they have to be careful on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computer-based learning. They also have to lead students move from activities with GSP materials to carrying out the problem solving plan and reflection activities.

  • PDF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hat Learn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 남윤석;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75-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A qualitative case study provided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whole three weeks of student teaching process. Four pre-service teachers and two mento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used;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pre-service teachers learn PCK of mathematics in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understanding mathematics learners and delivering mathematics lessons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ey experienc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about some suggestions to pre-service program and future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