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Mapping Understanding, Mapping Errors, and Perceptions of Student-Generated Analogi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초등학생의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비유 만들기 특성,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7.16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the mapping understanding, the mapping errors, and the perceptions of student-generated analogies on the separation of mixtures using the sizes of particl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Fourth graders (N=92)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with the tests on the approaches to learning, self-generating analogies, and perception of self-generating analog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ingful learners made more analogies, especially structural/functional, enriched, and higher systematic ones than the rote learners. However,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subcategories of representation (verbal, pictorial, and verbal/pictorial), artificiality (artificial and everyday), and abstraction (abstract and concrete). The meaningful learners ha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nalogy and fewer mapping errors than the rote learners. In addition, the numbers of the shared attributes included in student-generated analogies and the scores of the mapping understanding of the meaningful learn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ote learners. Many students, regardless of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elf-generating analogies in various cogni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However, they also point out the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elf-generating analogies as their disadvantag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알갱이의 크기에 따른 혼합물의 분리 원리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 대응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을 학습접근양식에 따라 조사했다. 초등학교 4학년 92명을 선정하여 학습접근양식 검사, 비유 만들기 검사,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계적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보다 유의미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더 많은 수의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든 비유 유형의 경우,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구조적/기능적 비유, 부연 비유, 고체계성 비유를 더 많이 만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표현 방식(글, 그림, 글/그림)과 상황의 작위성(작위적, 일상적), 추상도(추상적, 구체적) 항목에서는 학습접근양식에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기계적 학습접근양식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비유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고, 비유물에 포함된 공유 속성의 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응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더 적었다. 학습접근양식에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유 만들기 활동에서의 다양한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2006). 중학교 화학 수업에서 외적 표상의 유형 변환을 촉진하는 그리기와 쓰기의 효과 및 활용 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1].
  3.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3).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대한화 학회지, 47(3), 265-272.
  4.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4).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87-297.
  5. 김경순, 신은주, 한재영, 노태희 (2006a).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대응 오류와 개념 이해도의 관계. 대한화학회지, 50(6), 486-493.
  6. 김경순, 최은규, 차정호, 노태희 (2006b). 중학교 과학 개념 학습에서 비유 만들기를 이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대한화학회지, 50(4), 338-345.
  7. 김경순, 황선영, 노태희 (2008). 비유 만들기를 활용한 반응속도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조사. 대한화 학회지, 52(4), 412-422.
  8. 김동렬 (2008).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24-437.
  9. 김영민, 박희숙 (2000).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개념 설명에 사용된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11-420.
  10. 김유정, 문세정, 노태희 (2009). 크로마토그래피 개념에 대해 중학교 과학영재가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오류 및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61-873.
  11.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09).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해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초등과학교육, 28(3), 292-303.
  12.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10).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9(2), 219-232.
  13. 박승재, 조희형 (1999).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4. 변춘수, 김희백 (2010). 학생 중심 비유 활용 수업 이중학생의 광합성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30(2), 304-322.
  15. 심영옥, 유시덕 (2008). 아동미술활동의 길라잡이 미술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창지사.
  16. 정대균, 이혜정, 정선희, 오창호, 박국태 (2007). 기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및 대안 개념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59-371.
  17. 차정호, 변순화, 노태희 (2004). 제7차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비유 분석. 대한화학회지, 48(6), 629-637.
  18. 최경숙, 김민화 (2002). 유추를 통한 아동의 지식 창출 과정에 관한 고찰. 생활과학, 5, 79-96.
  19. 최경희, 이영애, 류수경 (2003).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23(2), 165-175.
  20. 최선영 (2006). 제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 서에 제시된 비유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49-158.
  21. 최선영, 이은정, 강호감 (2006). 초등과학 학습에서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시각적비유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167-176.
  22. Boujaoude, S., & Tamim, R. (2000). Analogies generated by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types and usefulness. School Science Review, 82(299), 57-63.
  23. Cavallo, A. M. L. (1996). Meaningful learning, reasoning ability, and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of topics i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6), 625-656.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8)33:6<625::AID-TEA3>3.0.CO;2-Q
  24. Driscoll, M. P. (1999).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Boston, MA: Allyn & Bacon. 양용칠 역(2002).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25. Glynn, S. M. (1996). Effects of instruction to generate analogies on students'recall of science text. (Reading Research Report No. 60). Athens, GA: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6259)
  26. Hsu, C. L. (1993). Content emphasis, practice, and cognitive style in analogical problem solving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ssoury-Columbia.
  27. Lin, H., Shiau, B., & Lawrenz, F. (1996).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cience with pictorial analog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495-511. https://doi.org/10.1007/BF02357457
  28. May, D. B., Hammer, D., & Roy, P. (2006). Children's analogical reasoning in a thirdgrade science discussion. Science Education, 90(2), 316-330. https://doi.org/10.1002/sce.20116
  29. Mayer, R. E. (2003).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125- 139. https://doi.org/10.1016/S0959-4752(02)00016-6
  30. Middleton, J. L. (1991). Student-generated analogies in biology. American Biology Teacher, 53(1), 42-46. https://doi.org/10.2307/4449212
  31. Nottis, K. E. K., & McFarland, J. (2001).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analogies generated for process and structure concept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4). [URL] http://unr.edu/ homepage/crowther/ejse/knottisetal.html
  32. Pittman, K. M. (1999). Student-generated analogies: Another way of know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 1-2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1)36:1<1::AID-TEA2>3.0.CO;2-2
  33. Rule, A. C., & Furletti, C. (2004). Using form and function analogy object boxes to teach human body syste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4), 155-169.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237.x
  34. Spier-Dance, L., Mayer-Smith, J., Dance, N., & Khan, S. (2005). The role of studentgenerated analogies in promo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for undergraduate chemistry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3(2), 163-178. https://doi.org/10.1080/02635140500266401
  35. Wong, E. D. (1993). Understanding the generative capacity of analogies as a tool for explan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59-1272. https://doi.org/10.1002/tea.3660301008

Cited by

  1.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포화용액 개념에 대한 소집단 비유 만들기의 효과 vol.55, pp.3,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1.55.3.509
  2. Mapping Analysis of Scientific Concepts and Analogies Gener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Light and Waves using Learning Materials for Generating Analogies vol.16, pp.4,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2.16.4.1189
  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struction Program for the ‘Defense Action' Chapter in Life ScienceⅠUtilizing Student Generated Role-Playing Analogy vol.41,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1.97
  4. 과학적 문제해결을 위한 소집단 논의 과정에서 나타난 비유적 추론의 생성 수준과 설명적 모델 생성의 관계 분석 vol.33, pp.2,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522
  5.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Scienceand Their Levels of Scientific Knowledge during Small-Group Argumentation vol.42,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4.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