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blight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3초

TMV 감염에 의한 고추의 역병 저항성 유도 (Induction of Resistance by TMV Infection in Capsicum annuum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이성희;이주연;차재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19-324
    • /
    • 1998
  • Induction of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 accumulation by TMV infection in pepper plant (Capsicum annuum cv. Nockwang)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in pepper plant. The zoospore suspension of Phytophthora capsici was inoculated on stem of pepper plant in which TMV-pepper strain had been inoculated on fully expanded upper leaves, and thephytopha blight incidence was examined. Both disease severity and lesion length of phytophthora blight were much smaller in TMV pre-inoculated pepper plant than in uninoculated control plants. The phytophthora blight incidence was decreased about 50% in the TMV pre-inoculated pepper, compared to the uninoculated control plant at 10 days after P. capsici inoculation. Accumulation of PR1 and PR5 proteins in intercellular fluid of TMV-inoculated and uninoculated upper leaves were monitored by immuno-blot with tobacco P1b and PR5a, antibody during induction of SAR. PR1 and PR5 were detected from 24 hours after TMV inoculation in both TMV-inoculated and uninouclated upper leaves, and increased rapidly in TMV-inoculation in uninoculated upper leaves were defoliated. PR5 could be detected upto 20 days after TMV inoculation in uninoculated upper lea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V infection induces SAR against phytophthora blight in pepper plant, and that PR proteins are accumulated very rapidly during induction of SAR and maintained for quite long time in pepper plant.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팔레놉시스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Phalaenopsis Orchid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402-404
    • /
    • 2011
  • 2009년 9월 경기도 동두천시와 화성시 소재 농가에서 팔레놉시스 재배중 생육이 부진하고 하엽이 황화되며 심한 경우 뿌리와 기부가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말라죽은 기부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 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병징이 접종 후 5일째 관찰되었으며 그 후 급속하게 진전되어 강한 병원력을 보였다. 팔레놉시스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증상은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되어 본 병을 팔레놉시스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소엽풍란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Neofinetia falcat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김동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0-322
    • /
    • 2010
  • 2010년 2월 경기도 용인시 소엽풍란 재배농가에서 뿌리와 벌브가 심하게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나타났다. 마른 뿌리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뚜렷한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sim}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발병이 초기부터 빠른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균학적 특성 조사 결과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하였으며 본 병을 소엽풍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였다.

참외 재배법 및 대목 종류에 따른 병해 및 발효과 발생 (Diseases Occurrence rind Fermented Fruit Development by Culture Methods and Rootstocks of Oriental Melon(Cucumis mezo L.))

  • 연일권;신용습;배수곤;도한우;박종욱;박소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2
    • /
    • 2002
  • 대목종류별 병해는 양액재배에서 토양재배보다 감소하였으며, 특히 토양재배에서 39.9∼53.3%발생하였던 덩굴마름병은 양액재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과 발생은 신토좌에서 가장 높았고, 흥토좌, 자근묘 순이었는데, 양액재배에서의 발효과 발생은 대목 종류와는 관계없이 토양재배보다 급격하게 감소하여, 토양 수분의 급격한 변동이 없이 적절한 수분 관리가 이루어지면 대목 종류와는 관계없이 발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ausal Organism of Gummy Stem Blight in the Muskmelon (Cucumis melo L.)

  • Choi, In-Young;Choi, Jang-Nam;Choi, Dong-Chil;Sharma, Praveen Kumar;Lee, Wang-Hyu
    • Mycobiology
    • /
    • 제38권3호
    • /
    • pp.166-170
    • /
    • 2010
  • Gummy stem blight is a major foliar disease of muskmelon (Cucumis melo L.). In this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ausal organism of this disease. Morphological examination of the Jeonbuk isolate revealed that the percentage of monoseptal conidia ranged from 0% to 10%, and the average length $\times$ width of the conidia was 70 ($\pm$ 0.96) $\times$ 32.0 ($\pm$ 0.15) ${\mu}m$ on potato dextrose agar. The BLAST analysis showed nucleotide gaps of 1/494, 2/492, and 1/478 with identities of 485/492 (98%), 492/494 (99%), 491/494 (99%), and 476/478 (99%). The similarity in sequence identity between the rDNA ITS region of the Jeonbuk isolate and other Didymella bryoniae from BLAST searches of GenBank was 100% and was 95.0% within the group. Nucleotide sequences of the rDNA ITS region from pure culture ranged from 98.2% to 99.8%. Phylogenetic analysis with related species of D. bryoniae revealed that D. bryoniae is a monophyletic group distinguishable from other Didymella spp., including Ascochyta pinodes, Mycosphaerella pinodes, M. zeae-maydis, D. pinodes, D. applanata, D. exigua, D. rabiei, D. lentis, D. fabae, and D. vitalbin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rDNA ITS sequence, clearly distinguished D. bryoniae and Didymella spp. from the 10 other species studied. This study identified the Jeonbuk isolate to be D. bryoniae.

Screening of melon genotypes identifies gummy stem blight resistance associated with Gsb1 resistant loci

  • Hassan, Md Zahid;Robin, Arif Hasan Khan;Rahim, Md Abdur;Natarajan, Sathishkumar;Kim, Hoy-Taek;Park, Jong-In;Nou, Ill-S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17-227
    • /
    • 2018
  • Gummy stem blight (GSB)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and economically important, soil borne diseases of melon caused by the ascomycete fungus, Didymella bryoniae throughout the world. In Korea, however, no GSB resistant genotype has been reported yet. The study aimed to identify GSB resistant melon germplasm. We screened a total of 60 genotypes including 16 lines and 44 melon cultivars collected from USA and Korea. Among the 16 melon lines, four lines including 'PI482399', 'PI140471', 'PI136170' and 'PI420145', and two Korean cultivars viz. 'Asia Papaya' and 'Supra' showed complete resistance. We were aware that both genotyp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could influence the phenotypic screening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We therefore, further assessed all genotypes using 20 SSR markers. The SSR marker 'CMCT505' linked to Gsb1 in chromosome 1 perfectly grouped resistant and susceptible lines indicating that resistance is probably due to the presence of Gsb1 gene. Cloning and sequencing of resistant and susceptible Gsb1 amplicons showed that there were 32-bp deletions in resistant line and 39-bp deletions in resistant cultivar compared to susceptible one. Thus, the resistant melon lines and cultivars identified in this study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melon breeding program. Furthermore, the SSR marker 'CMCT505' which is tightly linked with Gsb1 could be used for molecular screening of melon germplasm.

균핵형성균 Sclerotinia trifoliorum BWC98-105의 가시박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a sclerotia-forming fungus, Sclerotinia trifoliorum BWC98-105, to burcucumber (Sicyos angulatus))

  • 김달수;이재호;최우봉;황창일;조남규;최상봉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29-32
    • /
    • 2019
  • 가시박(Sicyos angulatus)은 대표적인 외래 생태계교란식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 기주선택성이 있으면서 균핵을 형성하는 Sclerotinia trifoliorum BWC98-105 균주의 균사 배양체와 구형 펠렛으로 가시박에 대한 병원성을 실내, 온실 및 현장실험에서 확인하였다. 온실실험에서 균사 배양체는 접종 후 익일부터 균사생장이 관찰되었고, 5일부터 시들기 시작하였고, 7일부터 특징적인 표징(sign)인 균핵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14일 시점에서는 식물체가 고사되고 대부분의 균핵이 성숙한 갈색으로 변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장실험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S. trifoliorum BWC98-105의 가시박에 대한 줄기마름병(stem blight) 증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균핵형성균 S. trifoliorum BWC98-105의 균핵으로 제조된 구형 펠렛은 향후 가시박 관리를 위한 바이오제초제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었다.

콩 재배방법이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의 발생 및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Practices on the Occurrence of Pod and Stem Blight and Purple Blotch, and on Soybean Growth)

  • 오정행;김동윤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07-111
    • /
    • 2001
  • 조숙성 콩품종을 이용하는 풋콩 재배에서는 콩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에 의한 꼬투리 품질 저하와 종자콩의 확보문제가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콩 미이라병은 병든 식물의 잔사물이 중요한 제1차 전염원이며, 식물체에 감염하여도 살아 있는 조직에서는 균사의 생육이 극히 제한적이고, 잠재감염 상태로 포자형성이 거의 없으므로 이러한 병원균의 특성을 이용하는 재배적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점적관수는 분무관수에 비하여 무피복 재배에서는 종자감염율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피복재배에서는 큰차이가 없었다. 피복재배는 콩 미이라병 28.0%, 자주무늬병 29.3%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베노밀 방제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식물체 잔사물 줄기의 78%는 7월초에 병포자가 성숙되어 제1차 전염원으로 작용하며, 당년의 식물체에서 탈락한 노화 떡잎과 염병에서도 7월 중순부터 9월에 걸쳐 충분한 제2차 전염원이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비닐피복과 점적관수는 콩 수량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콩 미이라병과 자주무늬병 방제효과가 있으며, 제2차 전염원을 제거하는 포장위생관리의 병행은 방제효과를 더욱 제고시킬 것으로 보였다.

  • PDF

아스파라거스이 품종간 생육특성 비교와 비가림, 멀칭에 의한 생산성 향상 효과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y Varieties and Effects of Rain Shelter and Mulching on the Production of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 Ki Cheol Seong;Jung Su Lee;Sang Gyu Lee;Byong Chun Yo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7-196
    • /
    • 2001
  • 아스파라거스의 도입품종에 대한 품종간 생육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Excel 등 6품종을 공시하였으며, 노지재배시 경고병 억제와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비가림 및 멀칭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품종간 5개년 평균 상품수량을 보면 노지에서는 UC309와 Excel 품종에서 각각 520kg.10a$^{-1}$, 451kg.10a$^{-1}$으로 양호하였으며, 비가림의 경우에서도 역시 UC309와 Excel 품종에서 각각 1,008kg.10a$^{-1}$, 930kg.$10^{-1}$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비가림재배에서 노지보다 78%의 수량증수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UC309와 Excel의 경우 노지의 약 2배 정도의 수량을 나타내어 UC309와 Excel은 노지와 비가림재배시 모두 수량성이 양호한 품종으로 생각되었으며 경고병에도 다소 강한 특징을 보였다. 비가림과 멀칭효과에 있어서 출아일과 첫 수확일의 경우 노지에 비해 비가림처리에서 2~3일 빨랐으나 멀칭처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당 경수, 순의 수 등도 비가림 처리에서 많았는데 멀칭처리간에는 볏짚과 흑색멀칭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수량에 있어서도 멀칭 및 비가림 효과가 크게 나타났는데, 수확개시 후 5년 동안의 평균 상품수량을 보면 흑색PE 멀칭에서 888kg.10a$^{-1}$으로 가장 많아 노지 무멀칭에 비해 253%의 증수효과를 보였으며, 노지의 경우 무멀칭 보다 오히려 흑백멀칭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경고병은 노지의 경우 멀칭처리에 관계없이 25% 이상으로 높게 발생하였으나 비가림재배에서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 PDF

하대두(Glycine max)의 파종기 및 비닐 멀칭재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ummer Type of Soybean (Glycine max))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0-54
    • /
    • 1984
  •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