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Students' Expectation for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Role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4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72명의 공업계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하여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43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전공 이론교과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가장 원했으며, 선호하는 실습 수업방식은 학과 계열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실습 수업시 안전지도 방법으로는 선생님께서 수시로 지도해 주는 방법을 가장 원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생활지도시에 인성지도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하였으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으로 차별하지 않고 대해 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상담 주제로서 진로를 가장 원했으며, 상담시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였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학급경영시 화목한 학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길 가장 희망하였으며, 교사가 학급과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운영해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해지는 방법으로 학생들과 편하게 자주 농담을 하는 방법을 가장 희망하였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진로지도 내용으로는 취업과 진학 모두이었으며, 취업을 위한 상담시 학생들의 적성을 가장 고려해 주길 희망하였으며, 취업지도시 직업에 관한 정보를 가장 얻고 싶어 했다.

직업교육 중심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대구·경북 전자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urriculum of Vocational Hish Schools - Focused on Electron-Related Departments of Daegu and Gyungsangbuk-do)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488-504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and compare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s, the method of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was used. Analysis subjects are Meister high schools, Technical high schools and Electronic high schools operating electron-related departments in Daegu and Gyungsangbuk-do.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largely to educate professional men. The educational goals of vocational high school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high school's general educational goals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ly, curriculum of vocational high schools consists of general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rates of them vary according to region and school type. Thirdly, there were various general subjects by region and school type. Each school needs to organize the subjects to suit the progress of their students and graduates.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scope and sequence of specialized subjects.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 효과 연구 (A Study on On-The-Job Training Effect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from the Specialized High School)

  • 안재영;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5-16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교육적 효과 및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현장 실습의 계획과 운영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국의 공업계 특성화 고교 졸업자 중에서 고교 재학 중에 현장 실습에 참여하여 해당 산업체에서 근무 중인 취업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40부(79.7%)의 설문 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직무 능력 및 현장 적응력의 향상, 직장 생활 관련 소양의 향상, 진로 지도 등의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전공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미미하였다. 취업 진로 결정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기본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전공 관련 분야의 교육적 효과와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현장 실습 이전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른 차이로는, 잠재적 취업 진로 결정 정도가 높았던 졸업자일수록 교육적 효과와 취업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직장 생활 만족도에 따른 차이로는, 직장 생활에 만족하는 졸업자일수록 향후 지속적인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므로 현장 실습이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이라는 특성화 고교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특성화 고교생이 현장 실습에 보다 만족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박나정;임나영;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0-40
    • /
    • 2018
  •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회복탄력성의 형성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진로결장 자기효능감의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회복탄력성,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3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24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77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학년이 3학년에 비해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요소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효능감 요소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적응 및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하위 요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있어 52.1%의 설명력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교 적응 및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 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Mathematics education attitude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 김민석;오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73-1181
    • /
    • 2012
  • 특성화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를 비교 검토하고, 수학교과의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특성화고에서 수학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효율적으로 수학교과를 교수 학습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등학생 6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고, 그 자료에 대하여 카이제곱검정과 감마값을 통하여 학교급 및 학년과 내 외적 요인들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또한 수학교과 기초학습능력이 학교급과 학년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일반화선형모형을 적합해 본다. 그리고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내 외적 요인을 회귀분석의 단계적 변수선택방법을 이용하여 찾아본다.

발명·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ed in Invention and Patent Education)

  • 안병국;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29-648
    • /
    • 2015
  • 본 연구는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을 하였으며, 미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8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Luthans, Avolio 외(2007)가 제시한 심리적 자본 척도(PCQ, 24-items)를 발명 특허 분야를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알맞게 번안 수정하여,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는 19개 문항의 4개요인(자기효능감, 희망, 적응유연성, 낙관주의)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전체 신뢰도는 .87이며,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72~.86으로 나타났다. 수렴 타당도 분석을 위해 심리적 자본과 관련 변인들(창의적 지능, 창의성, 학문적 효능감)과의 상호상관을 살펴본 결과,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준거 타당도를 위해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의 심리적 자본을 비교한 결과,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는 향후, 발명 특허 재능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 실습실의 배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with the Change of Curriculum in Technical High School - the arrangement of practice space -)

  • 남궁의;김상겸
    • 교육시설
    • /
    • 제5권4호
    • /
    • pp.5-17
    • /
    • 1998
  • The curriculum of technical high school has been revised many times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because of the changes of educational circumstance. The educational goals in technical high school get toward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every one course of major subjects in near future. In the usable methods of the classroom, the use of general classroom is lowered byway of the increase of the practice rate in special classroom, there by, in the situation that is high with respect to specialized curriculum and practice the classroom. Composite of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For these reasons, the architectural planning, especially the arrangement of classrooms and practice space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has been more important than before.

  • PDF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의 중요도 및 반영도 분석: 동아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o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t Technical High School: Focused on Club Activities)

  • 고건수;서원석;이창훈;김종승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27-24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영역인 동아리활동에 대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공업계 고등학교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응답자는 전국의 공업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93명이고, 동아리활동에 대한 5개 영역 32개 분야의 문항(중요도, 반영도)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 영역에서 중요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은 '발명', '문화 예술 활 동'은 '영상예술', '스포츠 활동'은 '도전활동', '실습 노작 활동'은 '학교 특성화 전공', '청소년 단체 활동'은 '스카우트연맹'과 '청소년적십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활동의 영역에서 반영도 분석 결과 '학술 활동', '문화 예술 활동' 및 '스포츠 활동' 영역은 대체적으로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비슷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학교 특성화 전공'을 제외한 '실습 노작 활동'과 '청소년 단체 활동'의 경우는 중요도와는 별개로 모든 분야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노작 활동'은 중요도 분석과 반영도 분석이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청소년 단체 활동'은 중요도에 비해 반영도 값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 중요도와 반영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 김대들;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5-10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의 해당 소관 산업 분야 및 지원 목적에 부합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하고,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청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특성화고 전체 계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49개의 공업 계열 특성화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결정표와 자료 분석흐름도를 개발하였고, 자료 분석 위원에 의해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육성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특성화 분야 및 학과 체제 구축 여부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이 요구하는 지역 전략 산업에 부합하도록 학교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있었으나, 이와 연계된 학교 인력 양성 목표는 기존의 학교 인력 양성 목표를 그대로 제시하거나 일반 산업의 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일부 학과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해당 특성화 분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소수 특성화 관련 교과목만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셋째, 내실 있는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1)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핵심 산업 분야와 특성화고의 중장기 발전 방안과 연계된 맞춤형 특성화 교육과정이 개발 편성되어야 한다. (2) 산업 기술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개선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는 학교가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