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n-The-Job Training Effect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from the Specialized High School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 효과 연구

  • Received : 2013.02.18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planning and operations for an effective on-the-job training (OJT) by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and deciding on a career for employment (DCE) effects of OJT based on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from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H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301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the industri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OJT, among the nation's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graduates. 24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effects of OJT are as following. The OJT have educational effects such as the improvement of job ability and adaptability to workplace, refinement of working life, and career guidance. However, the OJT almost don't have educational effects for contents in relation to the majors in SHS. The OJT had basic DCE effects on graduates, and consistently have had them since they graduated from SHS. Second, the difference of OJT effects by employees' background variables is as following. By the gender, the OJT have more educational effects and DCE effects on male than female. By the types of career decision before taking part in the OJT, the OJT has more educational effects and DCE effects on employees with a high degree of career decision. By the working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working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OJT effects. Therefore, the OJT should be operated to make students feel satisfied with the OJT in order to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 cultivating talent in specific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교육적 효과 및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현장 실습의 계획과 운영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국의 공업계 특성화 고교 졸업자 중에서 고교 재학 중에 현장 실습에 참여하여 해당 산업체에서 근무 중인 취업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40부(79.7%)의 설문 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직무 능력 및 현장 적응력의 향상, 직장 생활 관련 소양의 향상, 진로 지도 등의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전공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미미하였다. 취업 진로 결정 효과에 대하여 현장 실습은 기본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취업 진로 결정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현장 실습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전공 관련 분야의 교육적 효과와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현장 실습 이전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른 차이로는, 잠재적 취업 진로 결정 정도가 높았던 졸업자일수록 교육적 효과와 취업진로 결정 효과가 더 발휘되었다. 직장 생활 만족도에 따른 차이로는, 직장 생활에 만족하는 졸업자일수록 향후 지속적인 취업 진로 결정 효과가 발휘될 수 있으므로 현장 실습이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이라는 특성화 고교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특성화 고교생이 현장 실습에 보다 만족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훈, 김영상, 정향진(1998).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교육과학기술부(2010a).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제5차 국가고용전략회의 제3호 안건(2010.05.12.).
  3. 교육과학기술부(2010b).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서울: 저자.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2010). 2010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2011). 2011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교육과학기술부 외(2011). 기술력 증진, 생산력 확대, 일자리 복지를 위한 학업․취업 병행 교육체제 구축 방안. 제24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2011.01.19.).
  7. 김강호(2009).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활동이 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8(4), 183-200.
  8. 김선태 외(2010). 특성화고 산학협력교육을 활용한 기능인력 양성프로그램 운영방향 모색.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9. 김충기, 김현옥(1996).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10. 박동열 외(2010). 전문계 고졸 인력 수요와 교육역량 강화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안재영(2012). 현장 실습 요인이 특성화 고교생의 취업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2. 이병욱, 문대영, 류병구(2009). 전문계 고교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연구 용역 보고서). 대전: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13. 장명희 외(2012). 특성화고 현장실습 운영 매뉴얼-기업용.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 노동부.
  14. 직업교육훈련촉진법(2011). 일부개정 2011.06.07, 법률 제10776호.
  15. 초․중등교육법시행령(2011). 일부개정 2011.12.30, 대통령령 제23435호.
  16. 최수정, 허영준(2012). 특성화고 현장실습의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THE HRD REVIEW, 15 권 2호, 52-77,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OECD(2010). Learning for jobs. Paris: OECD.
  18. Steers, R. M. & Porter, L. W. (1979).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2nd ed.).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