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Resili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2.12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aim of proposing preliminary data to suggest ways to improv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establishing proper resilienc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irst, to define the resilience status in relation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second, to describe the statu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and las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such research objectives, the assessment survey was developed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background, ego identity,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survey was comprised of 54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3 items), resilience (27 items),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24 items). A total of 990 students from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completed the survey, and the responses from 775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fter excluding the surveys with unanswered items or untrustworthy respons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group with high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showed high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Furthermore, for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all correlations an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showed a robus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to enhanc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education that could help students better adapt to school,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and create positive resilience must precede.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회복탄력성의 형성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진로결장 자기효능감의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회복탄력성,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3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24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77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학년이 3학년에 비해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요소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효능감 요소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적응 및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하위 요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있어 52.1%의 설명력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교 적응 및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지, 이정자(2013).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20(1). 119-136.
  2.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위즈덤하우스.
  3. 남궁혜정(2012).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진로의식성숙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 대도시학교와 대안학교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 마예림(2016). 중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문새롬(2016).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박선희(2013).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성동제(2015). 위기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과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9.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0. 양형모(2016). 청소년의 개인 특성 및 가정 특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여지영(2015).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오세진(2016). 마이스터고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윤지영(2016).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이영면(2013). 인문학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이유민(2014).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은정(2012).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 긍정정서와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이황은(2009). 또래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현미(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유형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임나영(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0. 정은주(2017). 청소년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초당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조명실, 최경숙(2007). 진로상담 :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8(3). 1085-1099.
  22. 황금진(2017). 특성화고 학생의 정서지능, 취업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24. Hackett, G. & Lent, F. W.(1987).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347-382. https://doi.org/10.1016/0001-8791(87)90010-8
  25.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 1067-1079.
  26.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Review, 7. 418-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