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ized department teach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집단 특성 변화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89-14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what were characteristics of main group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wa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were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nd what were prospect on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s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ere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 reasons of reducing on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policy of employment reinforc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government. The next reason was increasing students who want the next stage of education not requiring results of the CSAT. Leading group of reducing on applying for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fine grade group. Prospect on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was maintenance on the minimum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the CSAT, after lasting of reducing state.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공업계열 특성화고 현장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48-116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are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positive ripple effects of outcomes, what are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undertaken 10 years.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was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positive ripple effects of the outcomes was also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not to us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score for the entrance on the most universities.

Literature Revi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pecialized Knowledge for Teaching

  • Lee, Eun-M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699-710
    • /
    • 2007
  •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Now it is time to think about how to apply the theoretical aspects of PCK to practice. In an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it is indispensable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bases and PCK.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look at how the concept of PCK has been developed and extended over the past two decades as well as to provide a shared understanding of PCK for the practical use of this concept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of various models of teachers' knowledge as conceptualized by several renowned researchers, moves on to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science teachers, then examines the literature on PCK as a critical part of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finally concludes with an integrated operational definition of PCK that can be employed into desig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컴퓨터 전공 학생들을 위한 라즈베리파이 활용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Education Plan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using Raspberry Pi for Computer Major Students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 김세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65-3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컴퓨터 계열 학과 학생들에게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프로그래밍에 대한 내용을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하여 학교 현장과 산업 현장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받아서, 기존 연구와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하고 주차별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고, 교재를 개발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수가 많지 않은 이유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교사 관찰일지를 정리한 결과도 함께 제시하여 질적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인터뷰 결과로는 수업을 통하여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학습 내용은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교사 관찰일지에서는 정보/컴퓨터 교사는 산업 현장의 최신 경향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래밍에 대한 비중을 높임으로써,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역량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 of Nursing Teache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윤인경;장명희;곽미선;박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85-111
    • /
    • 2018
  • 이 연구는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역량군과 하위역량을 검증하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특성화고 간호과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명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델파이와 계층화분석(AHP) 기법을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과 하위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은 교수 학습 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학교 경영 지원, 산학 및 대외협력,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으로 총 6개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역량은 담당교과 관련 전공 지식 및 기술,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 운영, 실험 실습 지도, 수업평가, 교수 학습매체 개발 및 활용, 수업환경 조성, 교과 외 학생 교육활동 지도, 진로 지도, 생활 지도, 학급 경영,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업무기획, 학교경영업무 지원, 교사 평가 및 인사관리 지원,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지역사회 협력 강화, 학교(학과) 홍보,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 학회 및 연수 참여,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활용, 동료 교사 장학으로 총 26개로 도출되었다.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역량군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었으며, 역량군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온 하위역량은 실험 실습 지도,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와 업무 기획,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 활용이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 체계는 향후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양성교육 및 연수 그리고 교원 평가에 적용하고,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학 중등 교사들 간의 수학교수지식(MKT)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이를 통한 통계적 소양 신장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Teaching and on Exploring the Enhancement on the Statistical Literacy)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41-1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the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tatistics(Representative value, Degree of scatter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ub-elements of the MKT.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s' MKT. To accomplish this, by the subject of 12 secondary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the test items of the MKT on the statistics were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KT test sheet, the CCK(Common Content Knowledge) and SCK(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f the mathematics teacher was confirmed as a high score, whereas the and KCS(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and KCT(Knowldge of Curriculum and teaching) were confirmed as low scores.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MKT's elements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obtain occurred slightly.

자유학기제 정책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s of Policy Research School for Free Learning Semester)

  • 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18-1333
    • /
    • 2015
  • The research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supplements in policy research middle school which has implemented free learning semester for 3 years from 2013 to now,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needed to generalize career education programs. I was required to make a specialized program which wa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school and community rather than department-store-like program. Secondly,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eemed that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uitable for second grades. Thirdly, teacher intern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free learning semester. Lastly, it was needed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through studying with expert groups.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 강영란;조정수;김진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01-316
    • /
    • 2012
  • Ball, Thames, Phelps(2008)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에게는 특별히 수학 가르침을 위한 지식(MTK)이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면서 그 하위 영역으로 학생들이 분수의 나눗셈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하는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유일하게 제시된, 문장제 만들기, 즉 분수 나눗셈 $9/10{\div}2/5$에 알맞은 문장제 문제를 만들게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답의 유형을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대표적인 유형의 답들을 선택하여 초등 6학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들에게 제공하였고, 이 답들에 대한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분수 나눗셈에 대한 문장제의 의미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분석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Students' Expectation for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Role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4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72명의 공업계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하여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43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전공 이론교과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가장 원했으며, 선호하는 실습 수업방식은 학과 계열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실습 수업시 안전지도 방법으로는 선생님께서 수시로 지도해 주는 방법을 가장 원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생활지도시에 인성지도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하였으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으로 차별하지 않고 대해 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상담 주제로서 진로를 가장 원했으며, 상담시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였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학급경영시 화목한 학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길 가장 희망하였으며, 교사가 학급과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운영해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해지는 방법으로 학생들과 편하게 자주 농담을 하는 방법을 가장 희망하였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진로지도 내용으로는 취업과 진학 모두이었으며, 취업을 위한 상담시 학생들의 적성을 가장 고려해 주길 희망하였으며, 취업지도시 직업에 관한 정보를 가장 얻고 싶어 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양찬호;곽영순;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45-35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국 사범대학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 및 공통과학 교사의 임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공통과학 복수 전공이 필수가 아니었고, 학과별로 공통과학 교육과정 이수인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심화과학 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할 때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의 이수가 필수인 학과는 없었으며, 일부 학과만이 과학사와 융합교육, 과학창의성과 융합교육, 통합과학교육의 실제 등과 같은 통합과학적 성격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복수전공 의무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과학 관련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통과학 전공 교사임용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통과학 전공의 임용이 따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