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mposition for landscap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아파트 조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Apartment Landscapes)

  • 김도희;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5-9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ndscaping costs for apartment landscapes, landscape facility factors, and the transition of spatial composition for landscapes. In addi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d analysis results for workers in related fields such as landscape design compan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aimed at acquiring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current apartment landscap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Through the results, it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apartment landscapes in the futur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pproximately a 2.6 times increase for landscaping expenses of actual apartment landscapes, and a 7.0 to 11.5 times increase in the future can be expected. The cause of such increase is the continuously growing demand for a more pleasant environment. Landscape facilities factors have been diversified, and most facilities are used as multi-purpose spaces rather than serving simple facilities. Questionnaires and field investigations showed that water facilities underwent the biggest changes, and the cause for such changes were found to be the introduction of new facilities such as water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structures, as well as the creation of integrated functions and spaces. Spatial composition for landscapes showed that multi-purpose spaces were established, and for the apartment differentiation strategy, there were many different changes such as theming of green areas and places for exchange among residents. For changes, the most changes were in green areas, and studie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for rest areas as well. The cause for such change is judged to have been brought about by the increase of landscape space by placing parking areas underground, and investigations showed that compared to green areas composed of large grass patches, recent apartments are establishing diverse and experience-based green areas.

Comparing Plant Species Diversity of Mountainous Deserts - Successes and Pitfalls

  • Van Etten, Eddie J.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79-86
    • /
    • 2004
  • An extensive study of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mersley Ranges, a mountainous desert area of north-west Australia, facilitated the comparis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measures with mountainous deserts of other parts of the world. Alpha diversity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species co-existing at local scales and was found to average 18 species per 0.1 ha for the Hamersley Ranges. This was found to be similar to seven other mountainous deser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and southern Africa. Variation in alpha diversity between these deserts was found to considerably lower than within deserts, suggesting that local processes control species richness at local scales. Beta diversity, defined here as turnover in species composition at various spatial scales, can be measured in many ways. For the Hamersley Ranges, Wilson's β ranged from 1.2 to 1.6 for five sites along a topographic gradient, whereas Whittaker's β between different plant communities was found to average 0.93. Comparable data was not found for other desert areas, but comparisons to non-desert areas suggest beta diversity within landscapes is relatively high and is likely to reflect the considerable landform heterogeneity of the Hamersley Ranges. 55∼70% of species were shared between different landscapes of the Hamersley Ranges; comparisons to other regions suggest beta diversity at this scale is relatively low. Gamma diversity, the number of species over large spatial extents, was successfully compared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the log-log species - area relationship. This revealed that the northern Sonoran desert has significantly less species than the Nama (inland) Karoo and Hamersley Ranges over medium spatial extents, but species numbers were similar at a regional scale. Several constraints to the valid comparison of species diversity were identified, including lack of standardisation of sampling techniques, the wide range of measures employed, general lack of published data,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spatial scale on most diversity measure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future comparative work are provided.

Regional land cover patterns, changes and potential relationships with scaled quail (Callipepla squamata) abundance

  • Rho, Paikho;Wu, X. Ben;Smeins, Fred E.;Silvy, Nova J.;Peterson, Markus J.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85-193
    • /
    • 2015
  • A dramatic decline in the abundance of the scaled quail (Callipepla squamata) has been observed across most of its geographic rang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and cover patterns and their changes on scaled quail abundance, we examined landscape patterns and their changes from the 1970s to the1990s in two large ecoregions with contrasting population trends: (1) the Rolling Plains ecoregion with a significantly decreased scaled quail population and (2) the South Texas Plains ecoregion with a relatively stable scaled quail population. The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NLCD) and the U.S. Geological Survey's (USGS) Land Use/Land Cover data were used to quantify landscape patterns and their changes based on 80 randomly located $20{\times}20km^2$ windows in each of the ecoregions. We found that landscapes in the Rolling Plains and the South Texas Plain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in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aled quail habitats. The landscapes in the South Texas Plains had significantly more shrubland and less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 and except for shrublands, they were more fragmented, with greater interspersion among land cover class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andscape metrics and the quail-abundance-survey data showed that shrublands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for scaled quail in the South Texas Plains, while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s and pasture-croplands were essential to scaled quail habitats in the Rolling Plains.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 and spatial aggregation of pasture-croplands has likely contributed to the population decline of scaled quails in the Rolling Plains ecoregion.

제주도 정의향교의 유교문화경관에 대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at Jeongeuihyanggyo, Jeju Island)

  • 이행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2
    • /
    • 2017
  • 제주도 소재 정의향교는 전통적인 유교 예제건축으로 유교문화경관을 표상하는 사례가 된다. 조선 태종16년(1416)에 정의현 설치와 함께 성산읍 고성리에 처음 세워졌으나 헌종 15년(1849)에 성내 서쪽으로 이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곳이다. 향교가 가지는 문화경관 자원의 특성을 공간구성과 유교의 공간예제 적용방식을 통하여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정의향교가 가지고 있는 유교문화경관의 공간구조와 유교예제에 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즉 정의향교의 건립과 이건에 따른 변화과정, 고지도를 통한 입지적인 해석, 정의향교의 유교적 상징요소, 공간구성과 배치형태, 물리적 구조, 주요건축물, 지형면에서의 입지특성, 축선의 변화, 그리고 대성전 전면공간의 위요감(D/H비) 등을 통하여 유교예제가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의향교는 제주도라는 단절된 섬 지역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교적 교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성내 입지라는 한정된 공간 조건 가운데서도 수평적, 수직적으로 다양한 배치기법을 통하여 유교 특유의 공간예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되살려서 정의향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교문화경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대조경설계에서 미니멀리즘의 조형개념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stic Concept of Minimalism in Comtemporary Landscape Design)

  • 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4-77
    • /
    • 2009
  • 조경에서는 문화와 철학의 차이에서 오는 다원적인 표현을 추구하고, 조경가는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시대의 세대에게 사회적 목적과 공간적 관계에 대한 감각을 전해준다. 특히 조경가는 설계작품을 통해 그 시대의 예술을 반영하게 되며, 당대의 예술 특성을 현실공간에 투영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조경가들은 모든 형태의 예술행위에서 많은 모티브(motive)를 찾아 왔으며, 특히 회화는 형태 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조형개념의 근간을 이루기도 하였다. 조경에서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모더니즘 시대를 통해 상실되었던 미적 대상으로서의 경관과 경관에서의 예술성 향상 그리고 동시대예술의 구현이라는 조경에서의 예술참여적 성격 표방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의 미니멀리즘 조형개념이 조경설계의 조형개념에 미친 영향을 설계 작품의 해석적 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의 수용과 재현 양상을 밝혔으며, 조형개념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미니멀리즘 조경의 환원성(reduction)은 원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단순기하학의 함축된 형태언어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즉각적으로 작품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작품의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였다. 둘째, 확장성은 선적 요소의 채택으로 개별 요소 상호간을 연결하는 내적 질서와 시각적 방향성을 위한 외연적 활로를 찾고 있다. 셋째, 평면성은 주변 환경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무의미한 공간을 정의하고, 경관 연속체로서 지각을 유발하고자 평탄하게 조성된 부지에 부가 요소를 중첩시키거나 시각 이미지를 위해 포장을 패턴화하는 경향을 가진다. 넷째, 연속성은 공간의 중심성을 확보하고 개별공간의 독자성보다 부지의 전체성을 추구하여 조형요소의 반복적 구성과 소재의 반복을 통한 구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Nutritive Value of Grasses in Semi-arid Rangelands of Ethiopia: Local Experience Based Herbage Preference Evaluation versus Laboratory Analysis

  • Keba, Habtamu T.;Madakadze, I.C.;Angassa, A.;Hassen,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66-377
    • /
    • 2013
  • We examined the nutritive value of common grass species in the semi-arid rangelands of Borana in southern Ethiopia using local experience based herbage preference (LEBHP) perception and laboratory techniques. Local pastoralists in the study area were asked to identify common grass species and rank them according to the species' preferences and palatability to cattle. The pastoralists listed a total of 15 common grass species which were then sampled during the main rain and cold dry seasons and analyzed for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ash content to verify pastoralists' claim regarding the quality of individual species. The relative feed value (RFV)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were also calculated using NDF and ADF contents. Spearman's rank correlation was used to examin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laboratory results and pastoralists' experience on grass quality. Cenchrus ciliaris, Chrysopogon aucheri, Digitaria milanjiana, Eragrostis papposa and Panicum maximum were the top five species based on LEBHP perception. There were indications of inconsistency in terms of LEBHP perception among the different pastoral communiti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ll grass species showed significant (p<0.05) variation between sites, seasons and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P values for the Borana rangelands were in the range of 8.7% in the main rain season to 5.1% for the cold dry season. The fiber constituents were relatively low in the main rain season compared to the cold dry season. Overall, Digitaria milanjiana had the highest CP (16.5%) content, while the least was recorded with Heteropogon contortus (10.8) and Aristida adoensis (9.8%) during the main rain season. It seems that the spatial variability of landscapes within the wider geographical regions, soil properties and texture, and land-use patterns probably contributed to site differences in species quality. Generally, the RFV of individual grass species was significantly (p<0.05) varied between and within sites. The ranking of species by pastoralist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by catt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aboratory results of individual grass species with 'r' values for CP (0.94), ash (0.95), NDF (-0.98), ADF (-0.93) and ADL (-0.93). We suggest the complimentary use of LEBHP and laboratory techniques in evaluating the nutritive quality of rangeland forage species for sustainable animal production.

경관적 재구성을 통한 '장성 필암서원' 경관짜임의 독해(讀解) (Landscape Configuration Reading of 'Jangseong Pilmaseowo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Landscape)

  • 노재현;허준;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2-54
    • /
    • 2014
  • 본 연구는 장성 필암서원의 입지 형국 풍수지리 등 장소성에 담긴 의미경관적 요소와 서원배치에 따른 시지각적 공간구성에 담긴 미학성 독해를 위해 시도되었다. 고지도에 표기된 '필암서원', '필봉서원', '김하서서원' 등에서 보이듯 '필암'은 곧 '필봉'이며 이는 '김하서'라는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서원의 배산 필암산(문필산)과 필암(붓바위)은 필암서원 장소정체성 구축의 핵심이며 하서 김인후의 상징으로, 연고성을 바탕으로 한 깊은 인걸지령(人傑地靈)의 관계로 엮여있음이 읽혀진다. 필암서원은 안산(案山) 없이 파노라믹한 '증산들'을 안대(案對)로 한 계거(溪居)의 입지특성을 보인다. 하서의 태생지인 맥동마을과 필암 그리고 '단봉함서형(丹鳳含書形)' 형국을 반영한 서원의 터잡기와 조형적 반영 그리고 건물 '이름붙이기'에서 드러난 필암서원의 액호(額號)와 각 건물의 당호(堂號) 또한 성리학적 가르침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인식 결과에 따른 기호경관적 특질은 여타 서원 보다 뚜렷하다. 확연루(누문)-청절당(강당)-진덕재 숭의재(재실)-우동사(사당)의 "전당후재형" 배치로 구축된 교접마당을 통한 중심성의 극대화는 필암서원 고유의 공간 프레임적 특성이다. 여기에 더하여 '유식공간과 제향공간내 경장각과 계생비 배치로 얻어진 내심 이동'을 통한 중심성의 강화' 그리고 '영역성의 강화를 위한 시설과 장치' 등에서 필암서원의 공간구성상의 경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창호 구성을 통한 조망 중심성의 강화', ' "틀에넣기"와 중첩을 통한 시각적 투명성 확보' 그리고 '재실 툇마루 높이를 통한 위계성의 구현' 등의 시각구성상의 경관짜임을 통해 성리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질서와 미학성이 필암서원 조형에 논리적으로 구현되었음을 독해하였다. 이와 같이 경관 재구성을 통해 정리되고 새롭게 읽혀진 필암서원의 의미체계와 공간 및 시각구성상의 미학성은 결코 우연이 아닌 필연적 결과로, 장성 필암서원의 내적 충일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며 또 다른 자원기반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경관독해의 결과가 필암서원에 대한 이해 증진과 드러나지 않은 문화경관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

  • 권진욱;박은영;홍광표;황민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6-113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 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 박종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3-71
    • /
    • 2015
  •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험여행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역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공간여행으로서의 지리여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유역 단위의 지리여행법이 효율적이다. 지리여행 콘텐츠는 융복합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인간과 물은 지리여행 콘텐츠의 통합 주제어이다. 지리여행은 초 중등학교 학생을 위해 특화된 체험여행이기도 하다. 지리여행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리여행의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은 지리여행 정보를 쉽게 전달해 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지리여행 큐레이터의 육성도 시급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지리여행 상품도 개발되어야 한다. 지리여행은 창조관광 달성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 PDF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in Chilgok - Focusing on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 and 「Shimwon-pavilion Soosukgi(心遠亭水石記)」 -)

  • 김화옥;박율진;노재현;신상섭;조호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34
    • /
    • 2016
  • "기헌(寄軒)집"에 실린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의 '심원정 25영'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기헌 조병선에 의해 조성되고 향유된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원정원림은 북쪽으로는 송림이 있는 '임수형(林藪型)'이자 원림 내부로 구야천이 흐르는 '계류형 별서원림'의 입지 특성을 공유하며 본제(本第)와는 직선거리로 약 400m 이격되어 있다. 2. 북쪽에는 가산(假山)인 학림산을, 동쪽과 서쪽에는 만경류를 올린 취병(翠屛)을, 남쪽으로는 구야천변의 석벽(隱屛)을 포치시키는 등 사방에 '가림'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위요공간 속에 은일을 추구한 기헌의 정신을 표출하고 있다. 3. 심성을 수양하는 선비의 소우주이자 거처로 조성되고 향유된 심원정원림은 송림사의 경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불교사상을 수용하며, 도연명의 전원사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의 낭만주적 감성을 통한 도가적 삶의 추구 그리고 주자의 성리학적 가치를 실현하는 통섭(統攝)의 장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심원정 25영 중 5영은 정운루 암수실 위류재 이열당 등의 용도가 다른 부속실과 이를 아우르는 정각인 '장수지소(藏修之所)' 심원정에 의탁되었으며 외원에 부여된 20영은 자연에 이름을 붙인 것 9개, 조성한 것 11개로 나뉘며, 자연에서 얻은 9영은 "석경기"에 기술된 바를 바위에 각인시켰다. 5. 현존하는 실내경물 4영은 편액으로, 원림내 경물 중 5개소는 바위글씨로 그리고 8개소는 표지석으로 각 경물이 인식되도록 의도했으나, 8개 영의 표식은 유실 및 훼철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6. 심원정 25영 중 '괴강(槐岡)'에는 학자수를 상징하는 회화나무, '유제(柳堤)'에는 도연명과 줄기찬 생명력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기천(杞泉)'에는 '가족의 단란함'을 상징하는 구기자나무 그리고 '동 서취병(東 西翠屛)'과 '방원(芳園)'에는 만경류와 초본류 등 다채로운 의미를 담는 식물경관이 등장한다. 또한 폭포(은폭(隱瀑)), 소(군자소(君子沼)), 못(양지(湯池)), 샘(기천(杞泉)), 바위를 가운데 두고 갈라 흐르는 물(반타석(盤陀石)) 그리고 바위 사이로 흐르는 물(수구암(水口巖)) 등 다채로운 수경관이 기도되었다. 7. 심원정원림은 수계 인접형 원림임에도 불구하고 11개 영을 직접 조성하는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두드러진다. 기존의 여타 정자원림이 가깝고 먼 곳에 자연 중심의 경(景)과 곡(曲)의 경물 설정에 충실한 곳이었다면, 심원정원림은 정자를 시점으로 의미 강화된 경물을 취경(聚景)하도록 유도된 적극적인 수경(修景)이 두드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