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scape Configuration Reading of 'Jangseong Pilmaseowo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Landscape

경관적 재구성을 통한 '장성 필암서원' 경관짜임의 독해(讀解)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Huh, J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Choi, Jong-Hee (Division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ai Chai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허준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최종희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Received : 2014.04.22
  • Accepted : 2014.05.21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ndscaping elements such as location, situation and feng shui included in the spatiality of Jangseong Pilmaseowon and to interpret aesthetic features of visual-perceptual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its arrangement. As it is shown in 'Pilamseowon', 'Pilbongseowon', and 'Gimhaseoseowon' appearing in antique maps, the awareness considering 'Pilam' as 'Pilbong' and 'Gimhaseo' was revealed. Mountain Pilamsan[Mountain Munpilsan] which is the location of seowon and Pilam(Brush-shaped rock) is the core of establishment of location identity of Pilamseowon and the symbol of Haseo Kim In-hu, which shows that they are deeply related to Ingeoljiryeong(人傑地靈: 'a place derives reflected glory from an illustrious human') based on connection. Pilamseowon shows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living in stream(溪居) facing panoramic 'jeungsan field' without Ansan(案山). Based on the teachings of Neo-Confucianism, Village Maekdong which is the birth place of Haseo, Pilam, seowon geomancy considering the Danbonghamseo-type(丹鳳含書形) geographical shape, formative reflection, Pilmaseowon and structures revealed in building naming more clearly show symbolic landscaping features resulting from 'theory of 'Heaven-Man Unity'(天人合一)' representing the union of nature and haman, than other seowons. The maximization of centrality through connected yards constructed with the 'jeondang hujae(前堂後齋)' arrangement in the order of Whakyeon-lu, Chenogjeol-dang, Jindeak-jae or Sungui-jae, and Woodong-sa is a unique feature of spatial frame of Pilmaseowon. In addition, it reveals the centrality reinforced with 'the move of inner center through arrangement of Kyeongjang-kag and Kyesengbi inside 'YuSik(遊息)' space and religious space' and the landscaping arrangement of Pilmaseowon from installation and device for reinforcement of territoriality. Moreover, it was found that orders and aesthetic features based on Neo-Confucianism were logically realized in the formation of Pilmaseowon with visual and compositional landscaping arrangement such as 'reinforcement of view centrality through composition of windows and doors', 'securement of visual transparency through framing and duplication', and 'realization of hierarchy through height of jaesil toenmaru'. The meaning system and spatial or visual aesthetic features of Pilmaseowon newly arranged and interpreted through landscaping recomposition is not a coincidental but inevitable result. It is another resource basis and an element that can improve the internal exuberance of Pilamseowon. This landscaping reading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andscapes of Pilmaseowon and elevate the sensibility of unrevealed cultural landscapes.

본 연구는 장성 필암서원의 입지 형국 풍수지리 등 장소성에 담긴 의미경관적 요소와 서원배치에 따른 시지각적 공간구성에 담긴 미학성 독해를 위해 시도되었다. 고지도에 표기된 '필암서원', '필봉서원', '김하서서원' 등에서 보이듯 '필암'은 곧 '필봉'이며 이는 '김하서'라는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서원의 배산 필암산(문필산)과 필암(붓바위)은 필암서원 장소정체성 구축의 핵심이며 하서 김인후의 상징으로, 연고성을 바탕으로 한 깊은 인걸지령(人傑地靈)의 관계로 엮여있음이 읽혀진다. 필암서원은 안산(案山) 없이 파노라믹한 '증산들'을 안대(案對)로 한 계거(溪居)의 입지특성을 보인다. 하서의 태생지인 맥동마을과 필암 그리고 '단봉함서형(丹鳳含書形)' 형국을 반영한 서원의 터잡기와 조형적 반영 그리고 건물 '이름붙이기'에서 드러난 필암서원의 액호(額號)와 각 건물의 당호(堂號) 또한 성리학적 가르침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인식 결과에 따른 기호경관적 특질은 여타 서원 보다 뚜렷하다. 확연루(누문)-청절당(강당)-진덕재 숭의재(재실)-우동사(사당)의 "전당후재형" 배치로 구축된 교접마당을 통한 중심성의 극대화는 필암서원 고유의 공간 프레임적 특성이다. 여기에 더하여 '유식공간과 제향공간내 경장각과 계생비 배치로 얻어진 내심 이동'을 통한 중심성의 강화' 그리고 '영역성의 강화를 위한 시설과 장치' 등에서 필암서원의 공간구성상의 경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창호 구성을 통한 조망 중심성의 강화', ' "틀에넣기"와 중첩을 통한 시각적 투명성 확보' 그리고 '재실 툇마루 높이를 통한 위계성의 구현' 등의 시각구성상의 경관짜임을 통해 성리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질서와 미학성이 필암서원 조형에 논리적으로 구현되었음을 독해하였다. 이와 같이 경관 재구성을 통해 정리되고 새롭게 읽혀진 필암서원의 의미체계와 공간 및 시각구성상의 미학성은 결코 우연이 아닌 필연적 결과로, 장성 필암서원의 내적 충일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며 또 다른 자원기반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경관독해의 결과가 필암서원에 대한 이해 증진과 드러나지 않은 문화경관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필암서원(1975). 필암서원지
  2. 하서선생기념사업회(1980). 하서전집
  3. 고경수(2013).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 분석 및 배치에 관한 풍수지리적 고찰. 동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덕현, 이상호(2013). 한국 서원의 입지와 공간 구성. 문화역사지리. 25(2): 15-36.
  5. 김두규(2004). 우리문화 우리풍수. 하서 김인후 선생과 필암서원: pp.93-94.
  6. 김상협(2000). 조선시대 서원건축에 나타난 유식공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수(2012). 풍수이론을 적용한 필암서원의 건립에 관한 연구. 연성대학교논문집. 47: 163-178.
  8. 김진웅(1996). 仁宗昇遐와 金河西 節義. 동명출판사: p253.
  9. 김치년(2011). 하늘에서 바라본 한국의 숨결, 제2권: p144.
  10. 김홍식(2010). 전당후재형 서원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송호(2006). 鄕校와 書院의 立地 및 外部空間 分析을 통한 韓國的 敎育環境 摸索.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노재현, 신병철(2012). 중용(中庸)의 미학으로 살핀 도동서원(道東書院)의 경관짜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4): 44-55.
  13. 노재현, 신상섭(2009). 치(置)와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한국조경학회지. 37(4): 72-85.
  14. 문화재위원회(2013). 세계유산분과 제4차 회의록.
  15. 문화재청(2010). 서원 보존․정비 관리방안연구 보고서. p44.
  16. 박정해(2013). 서원건축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6(1): 26-36.
  17. 변시연(1982). 하서선생과 필암서원. <상서> 4.
  18. 邊時淵等編(1975). 筆巖書院誌. 文苑編刊會.
  19. 성백효(2010). 周易傳義 上. 전통문화연구회: p170.
  20. 송정현(1981). 필암서원 연구. 역사학연구. 10. 전남대사학회: 25-62.
  21. 이원호(2011). 장성 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9권 제1호 통권 제75호: 131-141.
  22. 이희봉(2010). "심곡서원 조영과정과 배치에 관한 연구" 및 마구잡이성 복원에 대한 토론. 건축역사연구. 19(4): 135-146.
  23. 임석재(2005). 한국전통건축과동양사상. 북하우스.
  24. 장영훈(2000). 생활풍수강론 : 풍수지리와 전통건축: 서울 기문당: pp196-200.
  25. 장영훈(2011).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대원미디어: p216.
  26. 조상순(1998). 筆巖書院 硏究: 필암서원지 해석을 중심으로. 文化財. 第31號: 155-181.
  27. 조상순, 이상해(1998). 筆巖書院의 建築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7(2): 63-76.
  28. 천인호 (2011). 지명형성의 풍수담론; 봉황형국을 중심으로. 지명학. 17: 211-238.
  29. 필암서원(1975). 筆巖書院誌 卷之二: p30.
  30. 한지만, 우성훈, 권종남(2000). 단위 영역의 구성과 그 조합으로 본 한국건축 공간구성 방식: 선암사.필암서원.독락당을 대상으로. 세경대학교 論文集. 7: 39-69.
  31. 함성호(2012). 함성호의 옛집 읽기<58>'제향 중심의 마당' 필암서원. 동아일보 2013년 2월 1일자 A30면 2단.
  32. 黃英珠, 金正在(2003). 空間知覺에 따라 나타나는 道東書院의 現象的 透明性 表現에 관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12(3): 117-130.
  33. htpp://www.mw.or.kr
  34. http://kyujanggak.snu.ac.kr
  35. http://news.donga.com
  36. http://www.culturecontent.com
  37. http://www.heritagechannel.tv
  38. http://www.namdokorea.com
  39. http://www.orientalarchitecture.comkor
  40. http://www.seowonstay.com
  41. http://www.seowonstay.com

Cited by

  1. A Study on the Coexistance of Ganghak(講學) and Yusik(遊息) space of Oksa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s vol.34, pp.3, 201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3.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