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 Around East Lake of Kyung River in Joseon Dynasty -

한강(漢江)의 역사문화경관 연구 - 조선시대 경강(京江) 동호(東湖)지역(地域)을 대상으로 -

  • Kim, Sun-Hwa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김선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4.04.29
  • Accepted : 2014.05.11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historic cultural landscape of East lake in Kyung river area during Joseon dynasty was very outstanding that it had many attractions of scenic beauty, however, the Han river of today is being recognized as a natural landscape and as a place with low cultural and historical traits. This study appli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space of Joseon Dynasty on visual image elements of Lynch to research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East lake was applied to visual image elements, it was recognized as a 'superb' 'paths,' and the 'edge' which signifies the boundary showed its 'superb' clarity of the East lake. For the 'node,' a turning point of direction, Dumopo represented the 'superb' awareness. As East lake, Apgujung, and Jecheonjung represented the 'superb' awareness when 'landmark' among visual image elements of Lynch was applied to the cultural space, the awareness level and reputation were proportional to the visual image elements. When patter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cultural space were clear and had definite identity, the 'landmark' and 'district' elements were 'superb.' It was also identified that when awareness level of space was higher, the awarenes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was high as well. Therefore, considering visual awareness level of the historic cultural landscape of Han river during restoration to investigate and to conduct case studies is considered to increase the awareness level of historicity and cultural character as well as restoration of the place.

조선시대 경강 동호지역은 역사와 문화적 요소가 풍부하여 역사문화경관의 명승명소가 많았으나 현대 한강은 자연경관에 비해서 문화성과 역사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이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요소를 한강의 경관에 적용하고자 조선시대 문화공간의 경관 특성을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요소에 적용하여 경관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호를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적용했을 때 '통로'로서 높게 인식되었고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경계'의 명료성 또한 동호가 높게 인식되었다. 방향 전환점인 '결절점'은 두모포가 인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린치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서 '랜드마크'를 문화공간에 적용했을 때 경강 동호, 압구정, 제천정이 우월한 인지도를 보임으로써 역사문화경관의 지명도와 명성은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비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공간의 패턴, 구조, 의미가 명료하고 정체성이 확실할수록 '랜드마크'와 '지역'요소가 높게 인식되었다. 공간의 지명도가 높을수록 역사문화경관의 인지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한강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시 시각적 인지도를 고려하여 조사하고 사례연구 함으로써 장소의 복원과 함께 역사성과 문화성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겸재정선기념관(2009). 겸재 정선. 서울.
  2. 고양문화재단(2008). 오늘로 걸어 나온 겸재. 서울: 컬쳐북스.
  3. 김영상(2001). 서울 육백년-한강․한강유역. 서울: 대학당
  4. 김지희(2006). 조선시대 한강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5. 노재현, 박태희(2011). 누정제영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청심루와 여주팔경의 경관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 73-80.
  6. 노재현, 박태희, 신상섭, 김현욱(2011).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의 입지 및 조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14-26.
  7. 문향원(2010). 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시사편찬위원회(2001). 한강의 어제와 오늘. 서울시.
  9. 서울시사편찬위원회(2012). 서울의 누정. 서울시
  10. 소현수, 임의제, 최기수(2007). 누정원림을 통해 본 전통요소의 생태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 108-126.
  11. 소현수(2011). 차경(借景)을 통해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59-69.
  12. 신정일(2002). 한강역사문화탐사. 서울: 생각의 나무. p. 300.
  13. 심승희(2004). 서울 시간을 기억하는 공간. 서울: 나노미디어. pp. 183-186.
  14. 여화선, 서주환, 김수연(2012). 도심 역사문화경관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경복궁 외부조망점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3) : 11-20.
  15. 윤진영, 이종묵, 심경호, 이현군, 배정한, 한동욱, 안창모, 박철수(2009). 한강의 섬. 서울: 마티. pp. 47-94. p. 126. pp. 204-227.
  16. 이국진(2012). 명나라 사신들의 한강 유람과 문학적 형상화. 한국고전연구 제25집. 7-42.
  17. 이성무(2011). 조선왕조사. 서울: 도서출판 수막새. p. 55. p. 180.
  18. 이종묵(2001). 16세기 한강에서의 연회와 시회. 한국시가 연구 제9집. 5-28.
  19.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1책. 서울: 휴머니스트. pp. 143-161
  20. 이종묵(2008). 조선시대 어제시의 창작양상과 그 의미. 장서각 제19집 (2008.6). 169-196.
  21. 이찬영, 김한배(2010).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6) : 73-84.
  22. 임석재(2005).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경기도 파주시:북하우스.
  23. 임승빈(2010). 경관 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198-199.
  24. 홍금수(2006). 전관장(箭串場)의 경관변화. 문화역사지리 제18권 제1호 102-134.
  25. 황기원(2011). 경관의 해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6. Kevin Lynch(1960). The Image of the City. USA: The MIT Press.
  27. 강남향토문화전자대전. http://gangnam.grandculture.net.
  28.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ggcf.or.kr/html/history.
  29.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i.go.kr.
  30. 서울시지도. http://gis.seoul.go.kr.
  31. 서울시e문화복덕방. http://culture.seoul.go.kr.
  32.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http://hangang.seoul.go.kr.
  33.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