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ristics and Management Plans of Myeongwoldae and Myeongwol Village Groves Located in, Jeju

제주 팽림월대(彭林月臺)의 경관특성 및 관리방안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l, Yung-Hyu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Kahng, Byung-Seo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uk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최영현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병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4.22
  • Accepted : 2014.05.2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pacialty, to illuminate the existence and values of Myeongwoldae(明月臺) and Forest Myeongwol, and to suggest the sustainable usag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with the purpose of ecological and cultural landscaping characteristic and value identif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Castle Myeongwol and Port Myeongwol shows the status of Hallim-eup Myeongwol District which i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western Jeju as well as is the fortress. Building Wolgyejeongsa and School Woohakdang, the head temple of education and culture, located in Myeongwol District represents the spaciality of Myeonwol-ri which was the center of education. Stand Myeongwol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in Jeju Island and the field of communion with nature where scholars enjoy poetries, nature, changgi(Korean chess), and go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relics of Myeongwoldae was recovered through the maintenance project conducted by Youth Group Myeongwol composed with Hongjong-si(洪鍾時) as the cen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1931. It seems that the stonework of Myeongwoldae composed of three levels in the order of square, octagon, and circle based on the heaven-man unity theory of Confucianism and the octagon in the middle is the messenger of Cheonwonjibang(天圓地方), in other words, between the square-shaped earth and the circle-shaped sky. It is assumed that both Grand Bridge Myeongwol and Bridge Myeongwol were constructed as arched bridges in early days. Bridge Myeongwol is the only arched bridge remaining in Jeju Island now, which has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In Forest Myeongwol, 97 taxa of plants were confirmed and in accordance with 'Taxonomic Group and Class Criteria of Floristic Specific Plants', eight taxa were found; Arachniodes aristata of FD IV and Ilex cornuta, Piper kadsura, Litsea japonica, Melia azedarach, Xylosma congestum, 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Dichondra repens,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of FD III. Otherwise, 14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Apium leptophylihum which is imported to Jeju Island only were confirmed. In Forest Myeongwol, 77 trees including 41 Celtis sinensis, 30 Aphananthe aspera, two Wylosma congestum, a Pinus densiflora, a Camellia japonica, a Melia azedarach, and an Ilex cornuta form a colony. Based on the researched data, the preservation and plans of Myeongwoldae and Forest Myeongwol is suggested as follows. Myeongwoldae, Bridge Myeongwol, and Forest Myeongwol should be managed as one integrated division. Bridge Myeongwol, an arched bridge which is hard to be found in Jeju Island is a high-standard stonework requiring long-term preservation plans. Otherwise, Grand Bridge Myeongwol that is exposed to accident risks because of deterioration and needs safety diagnosis requires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cise safety diagnosis. It is desirable to restore it to a two-sluice arched bridge as its initial shape and to preserve and use it as a representative local landmark with Stand Myeongwo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opoph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current nam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onument No. 19 'Myoengwol Hackberry Colony' should change to 'Myeongwol Hackberry-Muku Tree Colony'. In addition, the serial number system which is composed without distinction of hackberry and muku tree should be improved and the regular monitoring of big and old trees, specific plants, and naturalized species is required.

본 연구는 제주시 한림읍 소재 명월대와 명월숲의 생태문화경관적 특성 파악과 가치 발굴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곳의 장소성을 밝히고 명월대와 명월숲의 경관특성을 조명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활용과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월성과 명월포구는 예로부터 군사요새이자, 명월 수류촌은 서부 제주지역 행정의 중심지인 한림읍 명월지역의 위상을 보여줄 뿐 아니라 명월지역에 존재했던 월계정사와 우학당은 교육문화의 본산으로, 교육 중심지 명월리의 장소성을 대변한다. 명월대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시와 풍월을 즐기고, 장기와 바둑을 두던 유풍이 남아있는 음풍농월의 현장이자 제주도의 대표적인 유교 문화경관이다. 현재의 명월대 유구는 일제강점기인 1931년 홍종시(洪鍾時)를 중심으로 한 명월청년회 주도로 이루어진 정비사업의 결과이다. 사각형-팔각형-원형 등 3단으로 구성된 명월대의 석축 구성은 유교사상의 천인합일사상을 바탕으로, 중앙의 팔각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명월대교와 명월교는 모두 초기에는 홍예교로 석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명월교는 제주에 남아있는 유일한 홍예교로 근대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다. 명월숲의 식물상은 총 97분류군(taxa)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분류군 및 등급기준'에 준하면 IV등급에는 가는쇠고사리, III등급에 호랑가시나무, 후추등, 까마귀쪽나무, 멀구슬나무, 산유자나무, 노랑하늘타리, 아욱메풀, 아왜나무 등 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귀화식물은 제주도에만 이입된 솔잎미나리를 비롯하여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명월숲에는 팽나무 41주와 푸조나무 30주, 산유자나무 2주, 소나무, 동백나무, 멀구슬나무, 호랑가시나무 각각 1주 등 도합 77그루의 수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명월대와 명월숲의 보존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명월대와 명월교 그리고 명월숲을 하나의 통합 영역으로 한 보존관리가 필수적이다. 명월교는 제주도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홍예교로 수준 높은 석공예물로 장기적인 보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교량노후화로 인해 사고위험에 노출되고, 안전진단이 요구되는 명월대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에 따른 대책이 요구된다. 재시공시 초건 시의 모습인 2수문의 완벽한 홍예교로 건립하여 명월대와 함께 향후 대표적 지역 명소로 보존 및 활용해야 할 것을 건의한다. 또한 조사결과에 근거한 종조성으로 볼 때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9호 '명월 팽나무군락'의 명칭은 '명월 팽나무-푸조나무군락'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팽나무와 푸조나무 구분 없이 이루어진 일련번호 체계는 개선되어야 하며 노거수목 및 특정식물종이나 귀화종에 대해서는 생육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보고서.
  2. 金榮敦(1977). 민속촌 지정보존에 따른 지정대상 촌락개요 및 보존방안.
  3.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4. 명월리(2003). 明月鄕土誌
  5. 박수현(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서울.
  6. 산림청, 국립수목원(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보고서.
  7. 서성철(1991). 한국 홍예교 조형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105-120.
  8. 성효백 譯註(2010). 周易傳義 下.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p552.
  9. 손광섭(2005). 옛다리. 제주 명월교와 명월대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저널 46: 68-69.
  10. 손광섭(2008).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명월교: 손광섭의 세월을 잇는 다리를 찾아서. 충청타임스. 2008년 03월 05일.
  11. 이영노(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II). 교학사. 서울.
  12. 이우철(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3.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14.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하). 향문사. 서울.
  15. 정명철(2007). 마을숲 기능의 재해석과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제주도(1998). 제주도의 문화재 증보판: p128.
  17. 제주도(1998). 제주의 문화재.
  18. 제주도문화공보담담관실(1982). 제주도의 문화유산 ; pp83-84.
  19. 제주시(1994). 탐라순력도: p82-83.
  20. 제주시.제주대학교 박물관(1992). 제주시의 문화유적
  21. 제주일보(2002). '북제주 10경' 확정. 제주일보 2002년 12월 28일자.
  22.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1986).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명월리 현지학술조사보고. 백록어문. 창간호: 229-319.
  23. 최영현, 노재현, 오현경, 강병선(2014). 제주시 한림읍 명월대와 명월숲의 가치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81-85.
  24. 한국양치식물연구회(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25. 한라일보(2009). '경술국치 100년' 제주 원풍경을 되살린다(15) 한림읍 명월리 '팽림월대'. 한라일보 2009년 8월 3일자.
  26. 현용준(1975). 제주도 문화의 기초적 성격. 제연 2. 제주대학교제주도 문제연구회: pp5-13.
  27. 홍순목(2006). 주역의 사유원리와 윤리사상. 정신문화연구 29(4): 53-68.
  28.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29.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Japanese books. Tokyo.
  30. http://jejuvill.net/jejutown/domain-root/3113/02?fr=print
  31. http://korean.visitkorea.or.kr/kor/ut/what/experience/content/view_1387274.jsp
  32. http://news.jeju.go.kr/contents/index.php?frame=detail&job=detail&mid=1615&ne_cd=PIC&ne_seq=35716
  33.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57_1_0022932
  34. http://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801&bbsId=BBSMSTR_1008&nm=NS_01_10
  35. https://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09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