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spect of landscape change for Gwanghalluwon Garden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ong-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Ahn, Hye-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ae-Yeo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Un-Y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안혜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대열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조운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4.05.09
  • Accepted : 2014.05.2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at Gwanghalluwon for aspects of landscape change in terms of construction garden(樓園). Transformation focused on the spatial structure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literature. And reflect of landscape elements in defunct or unattributable records from tale and no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eginning of Gwanghanllu pavilion(廣寒樓) was the composition of the Gwangtongnu Pavilion(廣通樓). The pavilion is located amid beautiful scenery such as the close-range view of a small stream, and distant view Jiri Mountain. Analysis of literature shows that Gwanghallu pavilion was in succession to Gwangtongnu Pavilion's landscape. Secondly, Gwanghallu(廣寒樓) pavilion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since 1582. Built the Samsinsan(三神山), Construct Lake and bridge that represents the galaxy for realization of utopia reflect in Taoist ideology. Thirdly, Gwanghalluwon garden was recovered when from Jeong-yu-jae-ran(丁酉再亂) to the Japanese Ruling Era. It took Gwanghalluwon garden a long while to recover from original form. According to records, Gwanghalluwon garden is still being likened to the landscape of fairyland by inheriting landscape in the previous of Jeong-yu-jae-ran(丁酉再亂). Fourth, By the modern times, Gwanghalluwon Garden has personality of tourist attractions. Until now, the area of the Gwanghalluwon garden has been expended during the processes of three times. Fifth, Aspect of landscape change of Gwanghalluwon is wide-spreading mainly Gwanghallu pavilion. But elements of external expansion in garden by introduced into the facility irrelevant to the authenticity of the garden. Sixth, Comprehension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garden are limited by deficient records. But, the main elements in the Gwanghalluwon garden are commonly appeared on imaginary environment within a tale and a novel. In addition, culture of garden at the time was depicted in tale and novel. In this sense, cultural landscape in garden was able to estimate through imaginary environment within novel.

본 연구는 누원(樓園) 조성의 관점에서 광한루원의 경관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공간구조 중심의 변화과정을 4시기의 공간변화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현존하지 않거나 기록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관요소를 설화나 소설에서 나타나는 상상환경에 도입하여 도식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한루가 처음으로 조성되는 시기는 광한루(廣寒樓)의 전신인 광통루(廣通樓)가 조성되는 기간으로, 작은 개울을 근경으로 그 일대의 지리산을 원경으로 하는 등 경관이 수려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광한루는 광통루의 경관을 그대로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광한루가 원(園)의 성격을 가지는 시기는 1582년 이후로. 신선사상이 반영된 이상세계 구현을 위하여 삼신산을 조성하고, 은하수를 상징하는 호수와 오작교를 조성하였다. 셋째, 광한루원이 복구되는 시기는 정유재란 이후부터 일제강점기 기간으로 광한루원의 원형을 회복하는 과정은 매우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당시 기록에서 나타나는 광한루원은 정유재란 이전의 경관을 계승하여 여전히 선경의 모습에 비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근대에 이르러 광한루는 춘향전의 배경으로 관광지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권역이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섯째, 광한루원의 각 시기별 변화양상은 광한루를 중심으로 외부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외부로 확장되는 요소는 관아누각인 광한루원의 진정성과는 무관한 시설이 다수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광한루원 일원의 주요 요소들이 설화와 소설 속에 내재된 상상환경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당시의 정원문화가 묘사되고 있는 것을 통해 문헌상의 한계로 인해 확인할 수 없었던 광한루원의 문화경관을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사)자연유산보존협회(2009). 광한루원 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 남원시.
  2. 강기옥(2014). 오늘의 한국.
  3. 강봉진(1971). 남원광한루실측조사. 대한건축학회지 40(-):44-48.
  4. 기꾸치 도시오(1995). 역사지리학방법론. 서울: 이회문화사.
  5. 김민주(2011). 조선시대 관아 누각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용만(1982). 남원광한루의 오작교 복원에 관하여. 한국정원학회지 1(-):104-108.
  7. 김해경, 소현수(2012).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전통조경학회지 20(3):57-67.
  8. 나카무라 카즈오, 이시이 히데야, 데즈카 아키라 저, 정암, 이용일, 성춘자 역(2001). 지역과 경관. 성남:선학사.
  9. 남원시(1999). 광한루예찬시선.
  10. 남원시(1752). 龍城誌.
  11. 남원시(1972). 增補 南原誌.
  12. 동아일보 1976년 4월 13일 기사.
  13. 류준경(2003). 광한루기의 문화론적 지향과 그 의미. 국문학연구. 9(-):235-264
  14. 문화재청(2000). 광한루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5. 문화재청(2008). 문화재청 고시문. 문화재청.
  16. 박연호(2005). 원림문학의 공간의 위상과 문화교육적 의미. 한국시가학회지. 17(-):79-108.
  17. 박영순(2009). 남원의 광한청허부. 국토연구. 334(-):149
  18. 백종철, 김학범(2011).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1-11
  19. 성현경(2001). 광한루기.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 심우경, 박주성, 정용조(2010). 광한루원에 내재된 상상환경요소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38-48.
  21. 신한민보 1931년 6월 5일 기사.
  22. 안득수(2011). 광한루 편액시에 나타난 경관요소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198-206.
  23. 유육례(2011). 용성지의 여류 누정시 연구. 고시가연구. 28(-):181-201.
  24. 이원호, 이종성, 김용기(2006). 석파정의 조영과 공간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21-31.
  25. 정훈(2008). 남원 광한루의 누정제영시 연구. 한국언어문학. 67(-):319-342.
  26. 한병옥(1997). 남원지방을 중심으로 한 성곽의 추적연구. 전주:신아출판사.
  27. 홍금수(2009).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문화역사지리. 21(1):46-94.
  28.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29. 다음 지도 http://map.daum.net/
  30. 디지털남원문화대전 http://namwon.grandculture.net/
  31.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32. 한국고전번역DB http://db.itkc.or.kr/
  3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34.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www.grandculture.net/
  35. 한국문화신문 얼레빗 http://koya.egreennews.com/
  36. 한문화재한지킴이 http://cafe.cha.go.kr/
  37. 혼불문학관 http://www.honb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