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unam Pavilion in Changnyeong(聞巖亭)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Dong-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5.07
  • Accepted : 2014.05.1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y, cultural values prototyp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location, space structur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by Arc-GIS on the Munam pavilion(聞巖亭) in Changnyeo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in-cho((辛礎, 1549~1618) is the builder of the Munam pavilion and builder's view of nature is to go back to nature. The period of formation of Munam pavilion is between 1608-1618 as referred from document of retire from politics and build a pavilion. Secondly, Munam pavilion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located at the top of steep slope. Pavilion was known as scenic site of the area. But damaged in a past landscape is caused by near the bridge, agricultural facilities, town, the Kye-sung stream of masonry and beams. Thirdly, Munam pavilion is divided into the main space, which is located on the pavilion, space in located on the pavilion east and west and the orient space, which is located on the Youngjeonggak. Of these, original form of Munam pavilion is a simple structure composed of pavilion and Munam rock, thus at the time of the composition seems to be a direct entry is possible, unlike the current entrance. Fourth, Spatial composition of Munam pavilion is divided into vegetation such as Lagerstroemia indica trees in Sa-ri in Changnyeong, ornament such as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nd pavilion containing structure. The vegetation around the building is classified as precincts and outside of the premises. Planting of precincts was limited. Outside of area consists of front on the pavilion, which is covered with Lagerstroemia Indica forest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back of the pavilion. Ofthese,LargeLagerstroemiaIndicaforestcorrespondstothenaturalheritageasHistoricalrecordsofrarespeciesresourcesthatareassociated withbuilder. Letterscarvedontherocksrepresenttheboundaryof space, which is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Munam pavilion and those associated with the builder as ornaments. Letters carved on the rocks front on the pavilion are rare cases that are made sequentially with a constant direction and rules as act of record for families to honor the achievements. Fifth, 'The eight famous spots of Munam' is divided into landscape element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bearing 4 places and landscape elements that have to do with bearing 4 places. Unrelated bearings of landscape elements are Lagerstroemia indica trees in Sa-ri in Changnyeong,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back of the pavilion, Okcheon valley, Gwanryongsa temple and Daeheungsa temple. Bearing that related element of absolute orientation,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are Daeheungsa temple, Hwawangsan mountain, Kye-sung stream and Yeongchwisan mountain. Relative bearing is Gwanryongsa temple, Yeongchwisan mountain and Kye-sung stream Gongjigi hill. At Lagerstroemia indica trees in Sa-ri in Changnyeong, Pinus densiflora forest at the back of the pavilion, Kye-sung stream and Okcheon valley, elements are exsting.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st of the landscape elements. Because, it is a generic element that reliable estimate of the target and locations are impossible for element. Munam pavilion is made for turn to nature by Shin-cho(辛礎). That was remained a record such as Munamzip(聞巖集) and Munamchungueirok(聞巖忠義錄) that is relating to construction of pavilion. Munam pavilion located in a unique form, archival culture through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nd Large Lagerstroemia indica forest and through eight famous spots, cultural landscape elements can be assumed that those elements are remained.

본 연구는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역사문화적 가치 및 원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집, 기문 등의 문헌분석과, Arc-GIS를 바탕으로 조영실제 및 입지와 공간구성, 경관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암정의 조영자는 문암 신초(辛礎, 1549~1618)로 자연에 귀의하고자하는 조영자의 자연관을 알 수 있었으며, 문암정의 조영시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문암정을 조성하고 소영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나는 1608~1618년도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문암정은 주변 산지에 위요되어 있고, 급경사지에 형성된 성곽과 같은 고립지형 정상부에 문암정을 조성하였다. 문암정은 별서로서 그 지역의 명승으로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암정 주변의 마을진입로의 교량과 계성천의 석축, 보, 주변 농경지의 시설 및 주택 등으로 인하여 과거의 조망경관이 훼손된 상태이다. 셋째, 문암정은 문암정이 위치한 중심공간과 문암정 동 서측에 위치한 진입공간, 영정각을 중심으로 하는 배향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암정의 원형은 문암정과 문암바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현재의 진입동선과는 달리 조성 당시에는 직접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암정의 공간구성요소는 배롱나무 수림, 점경물로서의 각자바위, 그리고 정자 건조물로 구분되어진다. 문암정 일원의 식생은 경내와 경외로 나뉘어, 경내는 매우 제한적인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경외는 전면의 배롱나무 수림과 후면의 송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대규모의 배롱나무 군락은 조영자와 결부된 희귀한 역사기록 종 자원으로의 자연유산에 해당한다. 각자바위는 문암정 건조물과 인접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영자와 관련된 경물로 작용하고 있고, 한 가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록행위의 하나로 문암정 전면의 각자바위군(群)은 일정한 방향성과 규범을 가지고 시기별로 조성된 보기 드문 사례이다. 다섯째, '문암팔경'은 방위에 따라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가 4개소, 방위에 따른 경관요소가 4개소로 나타났다.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로는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 문암정 후면 송림, 옥천계곡, 관룡사 대흥사이다. 방위와 관계한 요소 중 절대방위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대흥사, 화왕산, 계성천, 영취산으로 판단되며, 상대방위로는 관룡사, 영취산, 옥천계곡, 공지기고개로 판단된다. 이 중 현존하는 대상은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과 문암정 후면 송림, 계성천 옥천계곡 등이 있으며, 이외의 경관요소는 명확한 장소와 대상의 추정이 불가능한 일반적 팔경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문암정은 문암 신초가 말년에 난세를 피하여 자연에 은거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로, 정자와 관련된 문암집과 문암충의록 등 조영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자의 입지와 각자바위를 통한 기록문화, 대규모의 배롱나무 노거수 군락, 팔경의 경영을 통한 문화경관적 요소가 남아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2013). 원림 복원을 위한 전통공간 조성기법 연구. 문화재청.
  2. 국토환경정책과(2012). 개발사업 등에 대한 자연경관 심의지침. 환경부.
  3. 김양식, 이상주, 최병철(2012). 충북의 민속문화. 충북의 명승과 풍류기행. 충청북도.
  4. 김은미(2010). 조선시대 정자에 나타난 생태학적 공간조형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해경, 최기수(2007). 조선시대 인왕산 바위각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167-181.
  6. 노재현, 이정한, 허준, 김정문(2012). 상두산 바위각자의 특징과 경관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1-13.
  7. 박숙희(2013). 조선시대 경북지역 정자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성득용(2013). 향토의 문화유산을 찾아서. 창녕군 블로그.
  9. 정기호, 김묘정, 이원호, 최종희(2009). 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읍치팔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125-135.
  10. 최병두(2012). 역사적 경관의 복원과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 한국경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pp.3-26 .
  11. 박정해(2012). 양평지역 정자 입지의 전통환경분석. 동방학. 25:269-300.
  12. 안계복(1990)누각 및 정자양식을 통한 한국 전통정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안계복, 오태호(2010) 경남지방 별서의 경관적 특징에 관한 연구. 전통조경학회지. 28(4):28-35.
  14. 유홍준(1992). 전라도 담양 땅의 옛 정자와 원림. 사회평론 길. 92(3):310-321.
  15. 윤상철(2011). 조선시대 영호남 정자의 건축특성 비교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동오(1986) 전통적인 정자원림에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2(5):25-88.
  17. 지우진(2004). 영남지방 정자에서의 경관 연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20. 전통사찰관광종합정보 http://www.koreatemple.net/korea_temple/traditional_temple/history/view.asp?category_id=7&temple_seq=1487
  21. 정책뉴스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803830&pWise=www2
  22. 지역정보포털 향토자원 http://www.oneclick.or.kr/contents/nativecult/area09.jsp?cid=54361
  23.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2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