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dly Shaped Stone's Arrangement at Donggwoldo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괴석(怪石)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 Jung, Woo-Jin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Kim, Hwa-Ok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ol-Jin (Dep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4.04.24
  • Accepted : 2014.05.28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forms of arrangement and use of the oddly shaped stones which were used at palaces during Joseon Dynasty based on arrangements of stones as shown in Donggwoldo(東闕圖), and tried to identify its special features. The sorts of stone's arrangements which set formal patterns by assisting an axis in Donggwoldo can be classified as the single type using one stone, the symmetrical type using 2 stones symmetrically and the parallel type using 3 or more stones. The single type was used to endow a focal point and to accent centrality by arranging a stone on the axis performed from formal shaped buildings. The symmetrical type was used to show order and hierarchy by placing two odd-shaped stones on either side of a building. And the parallel type which is arranged three stones side by side, is put a middle stone on the central axis line to determine strong directional and frontality. Also similarity to method of arrangement of stones can be found from planting trees in a prominent way for scenery or planting trees symmetrically. Stones and trees can be chosen according to nature and scale of places and basically their effects of formation of axis and creating typical space is same. Based on these respect,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of stones shown in Donggwoldo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ddly shaped stones were used by creating a centripetal space in order to show a grade of rank. Second, the distances among stones could be adjusted to the sizes of the architecture which was at the center. The aim was to provide stability through the balanced composition between the central axis and symmetrical structures. Third, the form of regularity was added by using stone vase in consideration of irregular shape of stone causing interference in forming regular symmetry. Fourth, a centrality was emphasized by adding change to central stones in the parallel type used 3 erect stones. Fifth, the sizes of stone were limited in order to make smooth for the mix and adjustment of its position with the types of other garden ornaments, so the oddly shaped stones in palace have portability. Sixth, the oddly shaped stones in palace which were appreciated as inspirational object basically were a sculpture of the same quality with suiseki (壽石), and the appreciative method, the composition and shape had developed in the same texture. Finally, the even number of stones by parallel type were arranged by equal partition. But odd number of stones followed the method with symmetrical arrangement on its center stone. These principles of stone arrangement are judged as distinguishing methods which oddly shaped stones was made and used in Joseon palaces.

본 연구는 동궐도에 나타난 괴석의 배치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궐에 쓰인 괴석의 배석형식과 활용을 고찰한 것이다. 동궐도에서 축선을 보조하여 정형성을 형성하는 괴석 배열의 종류는 단식, 대식, 연식으로 구분된다. 단식은 기존 건축물을 통해 형성된 축선상에 괴석 1개를 배치하여 시각적 초점을 부여하거나 중심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대식의 경우, 주로 건물 양옆에 괴석 2개를 대칭구도로 놓아 건축물에 질서와 위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세 개의 돌을 나열한 연식은 주석(主石)의 역할을 하는 가운데 돌이 축선 상에 놓여 강한 방향성과 정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괴석 배치법은 수목의 배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수목의 요점식재와 대칭식재 방법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괴석과 수목은 장소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취사선택될 수 있으며, 축 형성과 정형적 공간창출의 효과는 근본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궐도 괴석의 배치 특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괴석은 중요한 건물에 위계를 표현하기 위해 설치되어 구심적인 공간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괴석간 거리는 가운데에 있는 건축물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정되었으며, 이는 중심축과 좌우 대칭물 간의 비례적 균형구도를 통해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불규칙한 괴석의 외형이 규칙적인 대칭성을 형성하는데 제한요소가 되므로 석함을 활용하여 정형성을 더하였다. 넷째, 연식(3입식) 배치에서 가운데 괴석에 변화를 주어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괴석은 타 점경물의 종류와 배합 및 위치조정이 수월하도록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동성이 있었다. 여섯째, 사의적 대상으로 감상되던 궁궐 괴석은 근본적으로 수석과 동질적인 개념의 조형물 이었으며 감상되는 방법, 형태, 구성에서 같은 맥락으로 전개되었다. 일곱째, 연식으로 놓인 괴석은 짝수일 경우 균등분할 식으로 배치되며, 홀수일 경우 중심 괴석을 중심으로 나머지가 대칭하도록 배열하는 방법을 따랐다. 이상의 배석원칙은 조선 궁궐에서 괴석을 제작하고 활용했던 특징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혜(1998). 朝鮮時代 宮苑의 怪石에 대하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세황 원저, 김종진, 변영섭, 정은진, 조송식 역(2010). 표암유고. 파주: 지식산업사.
  3. 민경현(1998). 主․從․添과 不等邊三角形의 美. 서울: 도서출판 예경.
  4. 박경자(2001).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문화재 14: 61-79.
  5. 박경자(2008). 조선시대 삭가산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6.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朝鮮朝 庭園의 原型에 관한 硏究. 서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소.
  7. 윤국병(1982). 문수원 정원의 시대적 배경. 한국정원학회지. 1(1): 77-83.
  8. 윤영조(2009). 한국 전통 석가산의 역사적 발달 양상과 현대 재현 디자인 모색.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윤영활(2009). 高麗時代 石假山의 始原的 考察.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18.
  10. 이상현(2013). 길들이는 건축, 길들여진 인간. 파주: 효형출판.
  11.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한국 전통 조경 식재. 서울: 수류산방.
  12. 이종묵(2005).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집안으로 끌어들인 산수. 서울: 소명출판사.
  13. 장준근(1985). 옛 선비들의 愛石風流. 서울: 석오출판사.
  14. 전영옥(2004). 조선시대 怪石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15. 정우진, 심우경(2012). 동궐도상의 존덕정 영역 나타난 무편액 건물의 조영사적 고찰. 문화재 45(1): 148-173.
  16. 최우영, 윤영조, 서옥하, 윤영활(2013). 한국 전통 석가산에 표상된 함의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1): 1-12.
  17. 한동수(1997). 중국고건축.원림감상입문. 서울: 세진사.
  18. 한영우(2006).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파주: 열화당.
  19. 吉河功(1973). 詳解日本庭園圖說. 東京: 有明書房.
  20. 王其钧(2009). 中國傳統建築小品. 北京: 中國電力出版社.
  21. http://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