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are

검색결과 3,844건 처리시간 0.031초

미국 편모가계의 자녀보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Influence on Child Care Expenses of Single Mother Families in the U. S.)

  • 박선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7-101
    • /
    • 2008
  • Using the 1999 National Survey of America's Families(NSA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child care expenses and examined financial and social support of single mother families in the U. S. In this study, 4,676 single mother families with children aged twelve and under are included for the analytical sample. About half of all single mother families with children under age 12 had some amount of child care expenses in 1999. Monthly child care expenses for those who had child care expenses was an average of $255 and it accounted for about 15 percent of their family earnings. The profile of financial and social support showed that about one-quarter of single mothers receive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one-fifth received free child care by relatives and about 40 percent received child support payments from nonresident fathers. Tobi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were mother'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family income, th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an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국가에 의한 노후보장 기대수준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in Aged Korea)

  • 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59-8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olicy demand for elderly care in aged Korea.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ged over 45 were used (n=10,16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influenced on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controlling the expectations of future life and society. Second, the effects of determninants on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varied by the level of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ADL and IADL, familial support by children, public transfers, and ag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welfare mix of elderly care were provided.

  • PDF

배우자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 for Spouse Caregiving in Korea)

  • 이정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9-479
    • /
    • 2010
  • Using data from the 2001 National Long-Term Care Survey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s of spouse caregiver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stimate factors influencing caregiver burdens of caregiving wives and caregiving husband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bility in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s of spouses who take care of the impaired elderly. ADL functional status of care recipients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or both the caregiving wives model and caregiving husbands model in influencing caregiving burdens. It was noticeable to report that a caregiver's self-rated health status, monthly caregiving expenses, a care recipient's self-rated health status were unique predictors for the caregiving wives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vital for planners and providers to take gender differences in spousal caregiving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d formulating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service programs.

일본의 개호보험체제상의 개호지원전문원제도의 구조와 특징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e Manager System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of Japan)

  • 정재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1-58
    • /
    • 2006
  • 일본은 1990년 이후 사회복지제도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이용자본위의 서비스지원, 자기결정에 따른 서비스이용,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 등을 새로운 개혁이념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실천하는 제도적 장치의 하나로써 서비스에 대안 이용지원제도를 제시하였으며, 개호보험제도의 개호지원전문원이 당해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개호지원전문원의 도입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과정의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조치제도에 따른 서비스이용의 타율성과 서비스의 이용과정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개호지원전문원이라는 단일창구를 통한 서비스의 종합적 상담 지원 그리고 시장기능에 따라서 움직이는 개호지원전문원의 역할을 고려할 때, 요원조고령자의 서비스 선택폭은 크게 확대 강화되었다. 한편, 개호지원전문원제도는 구조적 취약점도 지니고 있다. 즉, 개호지원사업자(소)를 중심으로 한 개호지원기능 개호지원사업자와 서비스사업자간의 병행 운영, 개호지원전문원의 업무내용과 범위의 모호, 개호지원전문원의 겸무허용에 따른 업무과다, 처리역량을 벗어난 사례담당에 따른 어려움, 사회적 지원제도의 부족, 역할과 신분을 초과하는 의무와 처벌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 비슷한 노인수발보장제도와 평가관리원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이와 같은 개호지원전문원제도의 구조와 특징은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시설보호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Link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Youth in Residential Care)

  • 방은미;장신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11-1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esteem on the link between social support(e.g.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youth in residential car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4 nationwide institutions between June 10th to June 20th, 2008. Selfreporting surveys were employed to gather information from 412 sources within these instituti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self-esteem could be used to predict career decision-making level($\beta$ = -.262, p < .001). Furthermore, self-esteem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beta$ = -.749, p < .001). Specifically, self-esteem and the scale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dns or significant others had a moderating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beta$ = - .118, p < .001).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on career decision-making intervention of youth in residential care and future research priorities are discussed.

요양시설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인지기능장애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ies in Care Facilities)

  • 김태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31-540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시설노인의 사회적 지지(MOS-SSS)와 인지기능장애(MMSE-K)정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D 광역시의 일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7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에 조사원이 조사대상 요양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정도는 사회적지지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인지기능장애 점수와 사회적지지 점수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250, p<0.001)를 보여,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인지기능장애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확정적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사회적지지 총점이 매우 높은 군(Q4)보다 낮은 군(Q1)에서 2.8배(ORs=2.75, 95% CI=1.40~5.79)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인지기능장애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요양시설 노인의 인지기능장애는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요양시설 노인의 인지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노케어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epression According to Baby Boomers' Awareness on Elderly care by Elderly: Analysis of inter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성명옥;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32-17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에게 있어 노노케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들의 노노케어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의 변화과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에 거주하는 52세에서 60세에 이르는 성인남녀 250명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자발적 노노케어 참여 활동인식과 노노케어 수여인식의 크기는 3.56점, 3.58점으로 평균이상의 긍정적 평가를 하였으나, 비자발적 노노케어 참여활동 인식에 관해서는 3.17점으로 낮은 평가를 하였다. 둘째, 자발적 노노케어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과 노노케어 수여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으며, 베이비붐 세대의 노노케어에 대한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지녔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베이비붐 세대의 우울예방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적용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의료종사자, 환자, 일반인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지침에 대한 인식과 수행 비교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among Health Care Workers, Patients, and General Public)

  • 허연정;남소희;정재심;김연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55-63
    • /
    • 2021
  • Purpos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among health care workers, patien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to use them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Methods: From October 16 2020 to November 30, 2020,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85 health care workers, 85 patients, and 82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perception of and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s. Results: Pati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public in the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ealth care workers and general public, and patients and health care worker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herence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 were found in women and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and provide additional education in me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son behind why men have low adherence to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guideline.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근무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the Care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정희;장천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33-54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변인에서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요양서비스품질이 향상되는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변인의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 변인이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 변인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사회적 상황을 적극 반영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운영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가점검관리척도'를 사용하여 노인요양시설 서비스품질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개선 방안을 제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