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the Care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근무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김정희 (서울여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장천식 (강북실버종합복지센터)
  • Received : 2016.03.25
  • Accepted : 2016.04.21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the care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high level of average monthly salary and the salary satisfaction theref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 improvement in care service quality in the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verage monthly salary and the salary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on the parameter of social support. Thir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has been confirmed in the effect that average monthly salary and the salary satisfaction level variables have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Thus, this study actively reflects the social situation of an aged society and uses "Self-checking Management Measures" capable of suggesting the management direction for the elderly care facility to measure its service quality and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변인에서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요양서비스품질이 향상되는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변인의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 변인이 매개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월 평균 급여와 급여 만족도 변인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사회적 상황을 적극 반영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운영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가점검관리척도'를 사용하여 노인요양시설 서비스품질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 개선 방안을 제언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2015.
  2. 김광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공성 강화 방안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 김미령,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고찰," 임상사회연구, 제2권, 제1호, pp.99-120, 2005.
  4. 김성옥, 김유리, 정희정, "주요국의 건강보장도 현황과 개혁동향,"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4.
  5. 김진수,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부조화,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학회, 제61권, pp.163-188, 2013.
  6.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219-242, 2013.
  7. 김태성, 김진수, 사회보장론, 청목출판사, 2014.
  8. 권현정, "서비스질의 측면에서 고찰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구조에 대한 시장화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1호, pp.289-313, 2014.
  9. 남희수, "요양보호사의 조직환경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노인복지학회, 제60권, pp.379-402, 2013.
  10. 문동규, 강용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노인복지학회, 제66권, pp.354-375, 2014.
  11. 박경자, 오윤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간관계스트레스, 슈퍼비전 및 직업만족과의 관계 연구 :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학회, 제60권, pp.7-34, 2013.
  12. 박대진, "요양보호사의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복지동향, 7월, pp.16-20, 2014.
  13. 박용권, SPSS 사회복지자료 분석, 신정, 2010.
  14.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15. 박현정, 공공성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질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6. 박옥신, 노인요양시설의 입소자가 지각한 요양보호사 역량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7. http://www.mohw.go.kr/
  18. 선우덕, 최정수, 유근춘, 장숙랑, 김세진, "노인장기요양 서비스의 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9. 서울시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2013.
  20. 선수경,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1. 손덕순, "요양보호사 제도에 관한 고찰," 한국노년학회, 제22권, pp.143-157, 2013.
  22. 손창숙,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균형발전연구, 제2권, 제2호, pp.41-62, 2011.
  23. 오세진,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 '괜찮은 일자리'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20권, pp.101-136, 2010.
  24. 이광석, 최정호, "재가노인복지시설장의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인식 연구," 노인복지학회, 제60권, pp.77-96, 2013.
  25. 임우현, 이창호, 박만원,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학회, 제60권, pp.353-378, 2013.
  26. 이윤형,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 박사학위논문, 2011.
  27. 이윤경, 김세진,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품질 관리 체계화 방안,"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66-93, 2012.
  28. 이원주, "노인요양시설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자가점검관리척도 개발연구," 한국노년학회, 제35권, 제1호, pp.1-17, 2015.
  29. 이원주, "노인요양시설 서비스품질 우수성 관리 방안 연구 : EFQM모형 접근," 비판사회정책, 제48호, pp.329-361, 2015.
  30. 이정석, 이호용, 권진희, 한은정,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임금 및 근로환경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보고서, 2014.
  31. 이태화, 이창원, "우리나라 노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제24권, 제2호, pp.643-672, 2013.
  32. 윤정향, "노인 돌봄 노동시장의 특징과 정책과제," 노동리뷰, 제3월호, pp.31-44, 2013.
  33. 정재훈, "사회보험으로서 수발보험 도입 가능성 모색을 위한 연구 : 독일의 예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8권, 제3호, pp.359-402, 2002.
  34. 정재훈, "한국 노인 수발보험의 구조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학술대회논문집, pp.67-92, 2006.
  35. 정재훈, 독일복지국가론, EM커뮤니티, 2016.
  36. 정승열,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품질 향상 방안 연구 : 재가방문요양서비스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7. 정병열, 노인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사회 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8. 지은구, 이원주, 김민주,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품질척도 타당도 연구," 노인복지학회, 제66권, pp.141-166, 2014.
  39. http://kostat.go.kr
  40. 한국노동연구원, "돌봄 서비스 일자리 근로 조건의 현황과 과제," 2012.
  41. Peter Taylor-Goodby, New Risk, Welfare : The T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sford University Press, pp.1-2, 2004.
  42. W. Broom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3. ILO,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etor-General.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87th, Session(Geneva), 1999.
  44.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Berry,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49(Fall), pp.41-50,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