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ing child care work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 박은정;이성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97-11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ology of child car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type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s well as tim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child care for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ual-earners aged 20 to 59 years completed 1,568 time diaries, which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cluster analysis, and ANOVA analysis. Child care tim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the three categories of child care, household work sharing and leisure sharing for both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ree types for husbands were named "vulnerable", "household work child care predominant" and "leisure predominant". The three types for wives were named "vulnerable", "household work child care oriented" and "household work child c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depended on age, education, weekly working hours, gender role of husbands and age, weekly working hours of wives. The vulnerable type of wiv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ime defici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on child care and various types of education as well as programs were suggested.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The Reinforcement for Policy to Support Child Care Work in Family as the Coping Strategy for Low Fertility Society)

  • 고선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53-77
    • /
    • 2012
  •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증가, 생활수준향상 및 가족유지비용증가, 개인적가치우선의 현상에 따라 최근 저출산현상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 급증을 우려하여 전반적인 대응전략을 마련된 것이 바로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이다. 1차에 이은 2차 기본계획은 일반가족의 양육지원과 종합적인 일가정양립지원 강화가 주요 핵심으로 이는 비단 정책뿐아니라 전방위적으로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가 수반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출산대응정책의 실제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내 돌봄지원정책을 살펴 보았다. 가족내 자녀양육지원사업으로서 아이돌봄지원사업과 가족내 돌봄나눔에 있어 핵심요인인 남성의 자녀양육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남성대상교육, 그리고 지역내에서 가족 돌봄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가족품앗이와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을 통해 향후 저출산 정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일반가족의 자녀양육지원 방향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주 5일 수업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State and Perception of Five-day School Week System, Parenting Role-sharing and Parenting Stress)

  • 오경숙;한유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07-116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rents' experiences of child-rearing on Saturday with no clas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40 parents with first to second grade childre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Second, the Five-day School Week System increased fathers' role-sharing on the Saturday with no class. It was also related with some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Five-Week Workweek System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Third, both the fathers and mothers had more parenting stress on Saturdays with no class than on Saturdays with classes. Their parenting stress on Saturdays with no class was related with some demographic variables and work flexibility.

입원 아동의 가족중심돌봄 개념분석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 정소영;탁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28-36
    • /
    • 2017
  • Purpose: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concept analysis of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concept analysis approach of Walker and Avant was used. A search of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960 and 2016 was undertaken using the keyword 'family centered care' or 'family centered nursing' combined with hospitalized children.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were inductively derived from the citations analyzed (n=19). Results: The attributes of family-centered care included (1) family respect, (2) collaboration, (3) family support, and (4) information sharing. These attributes are influenced by the 'willingness of family to participate', 'competency and willingness of staff,' and 'institution policy and system.' Additionally, family-centered care does significantly impact 'the health of the children', 'family empowerment' and 'work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of staff'. Conclusion: Family-centered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as defin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pplication in pediatric nursing practice.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torytelling bas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 강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135
    • /
    • 2011
  • 본 연구는 팀 구성원들과 관계를 형성하여 협동하는 능력을 길러주고, 자신과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여 모형을 구안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은 P시 D대학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현장적용 하였다. 그 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협동학습에 대한 재인식하기, 팀 구성원의 역할분담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동학습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노동권.부모권 관점에서 본 영국과 스웨덴의 일-가족양립정책 (UK and Sweden Work-Family Policy on Work.Care Citizenship)

  • 김나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79
    • /
    • 2013
  • 이 연구는 노동권 부모권 관점의 일-가족양립정책을 통해서 여성이 노동자로서 어떻게 복지국가에 통합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일-가족양립정책의 노동권과 부모권이 국가차원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는, 돌봄을 둘러싼 젠더체계를 중심으로 돌봄의 사회화방식(탈가족화 탈상품화 가족화 상품화전략)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제로 영국과 스웨덴은 돌봄의 젠더체계를 기본으로 돌봄의 책임주체가 다르게 상정되면서, 돌봄의 사회화도 다른 성격으로 발전하였고, 이것이 여성과 남성의 노동권과 부모권에 주는 함의도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 사회에서 여성을 노동자로 보는가, 혹은 돌봄자(carer)로 보는가는 돌봄의 사회화가 어떻게 발전되는가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었다. 돌봄이 사적문제로 한정되는 영국은 당연히 일과 가족의 양립문제는 개인과 시장이 풀어야 할 문제로 가치가 축소되었다. 스웨덴 사례는 돌봄의 사회적 가치가 합의된 상태에서 탈상품화를 통한 남성의 가족화와 탈가족화를 동반한 여성의 상품화 전략만이 실질적인 노동권과 부모권을 획득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일-가족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Family Culture on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 송종한;김용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396
    • /
    • 2010
  • 본 연구는 은행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일-가족 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일-가족 균형에 대한 종사원들의 욕구에 기업은 어린이와 노인을 돌보는 프로그램, 유연근무시간제, 직무공유제, 단축근무제, 그리고 재택근무의 채택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영역은 조직의 성공과 종업원 개인의 생활에 영향을 주기에 현대조직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족문화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들의 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문헌연구와 더불어 금융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5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가족문화에 대한 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력관리의 경제적 효용성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 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97-116
    • /
    • 2007
  • 저출산 현상의 지속과 심화,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파장이 부각됨에 따라 출산관련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MF 위기라는 전사회적 현상 속에서 개인의 출산행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출산행위에 관련된 요소들을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경제적 상황, 출산관련 생활사건변수, 시부모 및 친정부모 생존여부, 현존자녀 및 이상자녀변수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출산아수가 아니라 출산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한편, 현재의 출산아수별로 출산계획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에서 35세 이하 기혼여성들을 추출해 분석해 본 결과, 첫째아 계획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둘째아 계획에는 가구경제의 안정성, 양육보조자의 존재 등이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다. 이는 둘째아 계획이 주어진 경제와 양육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셋째아 계획은 남아의 존재여부와 이상자녀의 성 구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남아(선호)가 여전히 상당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출산계획의 기제가 차별적임을 의미한다. 출산계획의 출산아수별 차별적인 기제는 출산행위에 대한 깊이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같은 기제를 접근하는 데 있어 계량적인 접근방식과 더불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특히 집단초점토론)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과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The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and the Grounded Theory of their Adjustment Process)

  • 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6
    • /
    • 2013
  •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임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교사에 의한 메모일기, 저널, 보육일지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은 어려운 인간관계, 난감한 업무, 잦은 실수의 긴장, 받았거나 받기를 원하는 도움, 경험을 통한 현장 이해와 자기 성찰, 교사로서 보람이 느껴진 순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의 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과 중재적 조건,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전략과 그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과적 조건은 업무 실수와 인간관계의 미숙함이다. 맥락은 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시간과 공간, 업무의 양과 낯섦, 구성원의 성격 특성 그리고 학부모와의 잦은 만남으로 구성된다. 중재적 조건은 초임교사 안내프로그램, 구성원의 도움과 지지, 보상, 교사의 개인성격 특성으로 구성된다. 초임 보육교사는 부정적 정서를 다루기 위해 잊어버리기, 가족이나 친구와 나누기,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도록 노력하기의 세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 사용의 결과는 성장하기, 살아가기, 이직과 전직 고려로 구성된다.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문제해결력 강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강문숙;김석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2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e problem-solving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ages. First, the draft of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was proposed by performing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Second, the draft model was applied to the actual work. And the draft was modified and developed to the final model on the basis of the draft model's strength and implemented to 28 students who were the sophomore of child care education department and enrolled the profession class of at S University for 6 weeks. From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e model, it was obtained that there was the positive reaction on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 beginning stage of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storytelling consists phases Preparing to perform Storytelling, Building the team and role sharing team, Problem providing, Planning for problem solving, Brend Story structuraliza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nnouncement of the results and evaluating and reflection of general. And then learning supporting components for a facilitator and a learner were prepared for each process. Established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as created based on all-line, how to teach and learning supporting organization. Final Model was suggested as a blueprint for stages actual learning which was consisted of a introductory storytelling part, an main storytelling part and a post storytelling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