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and the Grounded Theory of their Adjustment Process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과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원계선 (제주한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novice teachers' adjustment. The data from five novice teachers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of each subject, as well as reviewing a memo diary, journal and class diar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ovice teacher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s, heavy workload, stress related to making mistakes, obtaining support and assistanc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ir field of work and so on. The model theory for their process of adjustment was found by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causal conditions include mistakes in performance of work and immaturity of managing social relationships. The contexts include age of the children, work conditions(i.e. time and space), amount of workload, unfamiliarity of new work assignments, personalities of colleagues, and high frequency of meeting parents of children.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composed of a guidance program for novice teachers, support from colleagues, work rewards, and the personalities of novice teachers. The novice teacher use three strategies: trying to ignore, sharing difficulties and accessing support from friends or family, as well as willful efforts to transfer negative emotions into positive ones. The consequences of the strategies include: successful career progression, survival, and desire for leaving the field of work.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임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교사에 의한 메모일기, 저널, 보육일지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보육교사의 경험은 어려운 인간관계, 난감한 업무, 잦은 실수의 긴장, 받았거나 받기를 원하는 도움, 경험을 통한 현장 이해와 자기 성찰, 교사로서 보람이 느껴진 순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조직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의 현상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과 중재적 조건,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전략과 그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과적 조건은 업무 실수와 인간관계의 미숙함이다. 맥락은 학급 유아의 연령, 근무시간과 공간, 업무의 양과 낯섦, 구성원의 성격 특성 그리고 학부모와의 잦은 만남으로 구성된다. 중재적 조건은 초임교사 안내프로그램, 구성원의 도움과 지지, 보상, 교사의 개인성격 특성으로 구성된다. 초임 보육교사는 부정적 정서를 다루기 위해 잊어버리기, 가족이나 친구와 나누기,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도록 노력하기의 세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 사용의 결과는 성장하기, 살아가기, 이직과 전직 고려로 구성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혜경(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영옥(2003).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교육발전, 22(3), 65-97.
  3. 김지영(2010). 보육교사의 정서 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남명자(2006). 교사 전문성 맥락에서 본 유아교사의 '돌봄' 실천의 의미-장애유아통합어린이집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0(4), 201-232.
  5. 민혜영, 윤미정(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6. 박선미, 신세니, 조희숙(2009). 교사 발달의 생존기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보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5), 41-55.
  7. 박유미(2011).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변미희(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6(3), 95-117.
  9. 서문희, 이상헌, 임유경(2000). 보육서비스 질 향상 방안 : 가정보육시설과 보육인력 자격관리를 중심으로.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서정림(2005). 유아교사의 초임 교직적응경험의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지영(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소병만(1998).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신혜영, 이은해(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14. 엄정애, 김혜진(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0.
  15. 염지숙(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16. 유계숙, 김수경, 강경화, 박지혜, 황지영(2011).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초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교사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81-104.
  17. 육아정책연구소(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지원을 위한 시.도(교육)청 강사요원 중앙연수 자료집.
  18. 이순자(2009).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10-50.
  19. 이영미, 민하영(2011). 영유아보육.교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20. 이완희(2005). 어린이집 첫 해 교사의 성공 사례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0, 89-114.
  21.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22.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1), 359-373.
  23. 조운주, 최일선(2004).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24. 조하나(2009).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정다운, 김정희(2011). 초임보육교사의 특성과 보육시설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7, 145-166.
  26. Abbott-Chapman, J. (2005). Let's keep our beginning teachers! Principal Matters, Summer 2005, 2-4.
  27. Algozzine, B., Gretes, J., Queen, A. J., & Cowan-Hathcock, M. (2007).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induction program experiences. The Clearing House, 80(3), 137-143. https://doi.org/10.3200/TCHS.80.3.137-143
  28. Berliner, D. C. (2001). Learning about and learning from expert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5(5), 463-482. https://doi.org/10.1016/S0883-0355(02)00004-6
  29. Bezzina, C. (2006). Views from the trenches: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In-Service Education, 32(4), 411-430. https://doi.org/10.1080/13674580601024515
  30. Brock, B. L., & Grady, M. L. (2007). From first - year to first - rate : Principals guiding beginning teachers. 3rd Ed. California: Crowin Press Inc.
  31. Chong, S. (2011).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from pre-service to their first year as novice teachers.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8(2), 219-233.
  32. Conway, C. M. (2002). Perceptions of beginning teachers, their mentors, and administrators regarding preservice music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0(1), 20-36. https://doi.org/10.2307/3345690
  33.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 학지사. (원전출판:2007).
  34. Hargreaves, A. (2005). Educational change takes ages: Life, career and generational factors in teachers' emotional responses to educational chan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967-983.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7
  35. Horn, S. (2008).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 (이상원 역). 경기 : 갈매나무 (원전출판:1996)
  36.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2129
  37. Pietsch, M., & Williamson, J. (2010). 'Getting the pieces together': negotiating the transition from pre-service to in-service teacher.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8(4), 331-344. https://doi.org/10.1080/1359866X.2010.515942
  38. Raffo, C., & Hall, D. (2006). Transitions to becoming a teacher on an initial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7(1), 53-66. https://doi.org/10.1080/01425690500376705
  39.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40. Swick, K., Ros, D., & Pavia, L. (1998). Inquiry as key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75, 66-70. https://doi.org/10.1080/00094056.1999.1052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