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n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문제해결력 강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 개발

  • Received : 2012.10.05
  • Accepted : 2012.12.2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e problem-solving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ages. First, the draft of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 was proposed by performing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Second, the draft model was applied to the actual work. And the draft was modified and developed to the final model on the basis of the draft model's strength and implemented to 28 students who were the sophomore of child care education department and enrolled the profession class of at S University for 6 weeks. From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e model, it was obtained that there was the positive reaction on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 beginning stage of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storytelling consists phases Preparing to perform Storytelling, Building the team and role sharing team, Problem providing, Planning for problem solving, Brend Story structuraliza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nnouncement of the results and evaluating and reflection of general. And then learning supporting components for a facilitator and a learner were prepared for each process. Established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as created based on all-line, how to teach and learning supporting organization. Final Model was suggested as a blueprint for stages actual learning which was consisted of a introductory storytelling part, an main storytelling part and a post storytelling part.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숙(2012).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학습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문숙(2011).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15-135.
  3. 강문숙.김석우(2012).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사고개발 8(2), 83-106.
  4. 강인애(1998). PBL과 '성찰저널',. 산업연구 제4호, .3-27.
  5. 강창동(2003). 지식기반사회와 학교지식, 서울 : 문음사.
  6. 김국선(2008). '스토리텔링'기법을 통한 가구디자인 수업방법 개발, 한국가구학회지 19(3), 163-171.
  7. 김병성(2006). 교육연구방법, 서울 : 학지사.
  8. 김병주.김선연.김정미(2009).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외교육의 비용 효과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1(2), 199-212.
  9. 김영민(1996). 이야기를 통한 영어교육, 초등영어교육 2(2), 194-208.
  10. 김영진(2004). 스토리 텔링-수업조직의 스토리텔링 사례를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28(2), 1-21.
  11. 김형진(2008). 스토리텔링 기반 e-러닝 컨텐츠의 설계 전략 탐색과 프로토타입 설계,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민덕기(2002).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 영어 수업 방안, 초등영어교육 8(2), 175-208.
  13. 박성미(2009). 전문대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진단 도구의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6-27.
  14. 박성미(2012). 학습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272-285.
  15. 박수홍.김두규.강문숙(2010). UCC 프로젝트 학습 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403-420.
  16. 박수홍.이상범(2009).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Goal-Based Scnario(GBS) 학습프로세스 탐색 : 초등 사회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2(4), 379-403.
  17. 박정호(2008).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백조현.박수홍.강문숙(2010). 스토리텔링기반 수학과 수업설계전략 모형 개발, 교육혁신연구 20(1), 113-142.
  19. 신종호.박종효.최지영.김민성(2007). 학습과학. 뇌, 마음, 경험 그리고 교육(3판), 서울 : 학지사.
  20. 안금희(2008). 미술수업에서 내러티브 사고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미술교육논총 8(2), 109-146.
  21. 오은주.김정섭(2007). 온라인 환경에서 정보탐색 활동과 학습자 특성과 상관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415-428.
  22. 윤현상.김삼곤(2001).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 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13(2), 194-211.
  23. 이상수(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24. 이인화.고욱.전봉관.강심호.전경란.배주영.임정훈(2012).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5.
  25. 임정훈(2012). 혼합형 학습(블렌디드 러닝) 전략의 초.중등학교 교육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42(2), 399-431.
  26. 임정훈.임병노.최성희(2003). 교실수업-사이버 학습 연계의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27. 장경원(2008).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이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331-355.
  28. 전현정(2009). Egan의 이야기 形式에 模型에 基盤한 敎育課程 開發 및 適用,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전현정.강현석(2009). 대안적 초등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2(1), 169-198.
  30. 조일현(2004). 스토리텔링 몰입 수업환경(STILE) 설계 전문인력 양성 연구, 한국사이버교육학회 연구보고서.
  31. 한혜원.이정엽(2003). 디지털 스토리텔링, 서울 : 황금가지.
  32. 허균.이규인(2009). 교육용 웹사이트의 교사 사용성 분석 사례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61-172.
  33. 허희옥(2006). 내러티브 사고 양식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육컨텐츠 개발, 교육공학연구 22(1), 195-224.
  34. 허희옥-조일현(2006). 스타일리스트 양성 과정의 개발 연구, 기업교육연구 8(1), 27-57.
  35. Cropley, A. J. & Uran, K. K. (2000).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 K.A. Heller, F.J. Mnks, R. J. Stemberg, & R. E. Subotnik,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ness and ident(2nd) (pp. 485-498), Oxford, UK: Elsevier Science, Programon.
  36. Dziuban, C. D., Hartman. J. L. & Moskai, P. D. (2004). Blended Learning, Educaus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2004(7), 1-12.
  37. Egan Kieran(1986). Teaching as Story 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Fox, M. (2001). The blended promise, E-Learning, March, 27-30.
  39. Gagne', R. M. (1985). The conditions of learning and theory of instruction(4th ed.), NY: Holt, Rinehart & Winston.
  40. Garvin, D. A. (2000). Learning in action: A guide to put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to work.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유영만 역(2001). 살아있는 학습조직, 서울: 세종서적.
  41. Jonassen, D. H. (2004), Learning to solve Problem: An Instructional Design Guide, California: Preiffer.
  42. Korthagen, F, A. J., Kessels, J., Koster, B., Lagerwerf, B., & Wubbels, T. (2001). Linkin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 Inc.
  4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44. Lubart, T. I. & Mouchiroud, C. (2003). Creativity: A source of diffculty in problem solving.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 (Eds.), The Psychology of Problem solving (pp. 127-148),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Mayer, R. E. (1992). Thinking, Problem Solving, Cognition, NY: W. H. Freeman and Co.
  46. Mantyla, K. (2001). Blended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47. Masia, E. (2002). Blended learning: The magic is in the mix, In A, Rossett (ed.), The ASTD E-Learning Handbook. 58-63.
  48. Reay, J. (2001). Blended learning: A fusion for the future, Knowledge Management Review, August, 41.
  49. Richey, R. C. & Nelson, W. A. (1996). Developmental research. In Jonassen, D. H.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 Macmillan 1213-1245.
  50. Rolf Jensen(1999). The dream society : how the coming shift from information to imagination will transform your business. 서정환 역(2010). 드림소사이어티, 서울: 리드리드출판.
  51. Smith, J. m. (2002). Blended-learning: An old friend gets a new name, http://www.gwsae.org/executiveupdate/2001/march/blended.htm.
  52.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3. 스티브 데닝, 안진환 역(2006). 스토리텔링으로 성공하라, 서울: 을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