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 net fishery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연안어업경영의 경제성 평가 -어업권어업을 중심으로- (Economic Analysis of the Coastal Fisheries Business with Emphasis on Fishery Right Fisheries)

  • 최정윤
    • 수산경영론집
    • /
    • 제9권1호
    • /
    • pp.1-27
    • /
    • 1978
  • The paper attempts to analize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e coastal fishing business contering on the fishery right fisheries. Fisheries in Korea are usally divided in 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ishing grounds; namely, coastal fisheries, off -shore fisheries and deep-sea fisheries. The fishery right fisheries fall into the category of the coastal fisheries, and include five typs of fisheries: 1. Class 1 common fishing 2. Class 2 common fishing 3. Class 3 common fishing. 4. Set-net fishing. 5. Aquarculture fishing. These fisheries have been stagnated mainly due to traditional fishing methods, unskilled labor forces, shortage of capital, and lack of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s. Owing to these factors their profitabilities of the fishing businesses have been steadly lowered.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he measures required in developing the fishery right fisheries. Economic performances were estimated for 1976 with data collected in the late 1977.

  • PDF

진도해역 낭장망의 어획물 실태에 따른 어업관리 방안 (Study for fishery management measure on gape net with wings with catch composition in the water of Jin-do)

  • 신종근;최문성;서영일;차형기;이선길;김희용;오택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404-418
    • /
    • 2013
  • In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survey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 of catch from gape net with wings being set in two areas - Masari, Supomri - located in southern part of Jin-do for understanding fishing characteristics of gape net with wings fishery from March to September of 2011. And with those results, we attempted to propose fishery management strategy to harvest fisheries resources continuously. Catch obtained from field surveys comprised total 78 species, which accounted for 53 species of fish, 20 species of crustacean, 4 species of cephalopod and one of polychaete. As to species composition in weight, it showed that there was 88.5% for pisces, 9.0% for cephalopoda and 2.5% for crustacea. As to catch specifics by area, there was 36 species (596,891 individual, 456,551g) of pisces, 17 species (35,815 individual, 12,909g) of crustacea and 3 species (2,876 individual, 3,004g) of cephalopoda in Masari area. In Supumri area, there was 41 species (396,898 individual, 281,457g) of pisces, 15 species (16,113 individual, 7,772g) of crustacea and 4 species (6,792 individual, 72,329g) of cephalopoda and one polychaeta (36 individual, 11g). Catch of anchovy by month recorded on high level on June, July, September in both areas. When considering size composition by month, it was found that new populations recruit to these fishing grounds on June and September. Most of bycatch species including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conger eel (Leptocephalous), Pacific sandlance (Ammodytes personatus),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ere juvenile,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Japanese sardinella (Sardinella zunasi) were also small in size.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gape net with wings fishery which is likely to catch juvenile needs to be set fishing prohibit period for conserving above stocks during the period excluding main fishing periods of anchovy or fisheries management such as expanding mesh size for preventing juvenile catch.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 가능성에 관한 고찰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 정초영;황보규;김성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5-541
    • /
    • 2019
  •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어구 및 어법이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터빈과 해저케이블에 미치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서남해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연구 대상 해역으로 설정하여, 주변 국가어항의 선박 현황을 조사하였다. 어선의 현황을 참조하여 22개의 어구 및 어법에 대하여 위험도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전문가를 통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위험도가 낮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에서도 조업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외줄낚시, 대낚시, 멸치챗배였으며, 위험도가 보통으로서 조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구 및 어법은 바닥주낙, 뜬주낙, 끌낚시, 오징어채낚기, 문어단지, 주꾸미소호, 연안통발, 주목망, 낭장망, 고정자망, 유자망이었다. 위험도가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조업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형망, 빔트롤, 건착망류였으며, 위험도가 아주 높아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이 허용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어구 및 어법은 안강망, 기선권현망, 오터트롤, 외끌이기선저인망, 쌍끌이기선저인망이었다.

멸치 자망 어획양의 분포와 해황 (The Distribution of Catch of Anchovy by the Gill Net Fishery and Oceanographic Condition)

  • 손태준;김진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1-348
    • /
    • 1983
  • 한국 근해에서 최근 14개년간(1969-1982)의 멸치 자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로부터 어장의 평균 분포와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의 중요어장은 어획이 있었던 전 어장면적의 $20\%$에 지나지에 지나지 않은 속초, 구룡포, 기장, 거제도, 및 충무의 인접한 5개 해구에 집중되어 있고, 연평균어획양의 약 $80\%$가 여기서 어획된다. 이 어장에서의 어획양 변동계수는 $0.3{\sim}0.6$으로서 작고, 평균 CPUE가 81.2 kg/set로 비교적 크다. 멸치 자망의 주어기는 일년 중 어획양이 극대치를 나타내는 $4{\sim}6$월의 춘계어기와 $10{\sim}11$월의 추계어기였다. 어장중심은 $37^{\circ}N$ 이북 해역에서는 주문진 동방 약10마일 역이며, $35^{\circ}-37^{\circ}N$ 해역에서는 기장 동방 약 25마일 역에 위치하고, $35^{\circ}N$ 이남 해역에서는 충무 남방 약 35마일 역이다. 일년중 어획양의 변동은 2월에 최소이고 5월에 최대인데, 이것은 냉수역 한계수온으로 생각되는 $10^{\circ}C$등온선과 관계가 깊었으며, $34.0{\sim}34.4\%0$ 등염선역이 주어장이 형성되는 곳이었으나 명확한 관계는 알수 없었다.

  • PDF

제주도 주변해역 고등어 건착망의 연구 - 4 . 어획량의 특성과 어구의 성능 - (Studies on the Mackerel Pures Seine Operating in the Sea Area of Cheju Island - 4 . The Characteristics of Catch and Ability in Purse Seine -)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47-254
    • /
    • 1991
  • 1982~88년 사이 한국건착망 어업의 망선 48척의 어황일보에 의한 조업해구, 어종별 어획량의 자료를 이용하여 5개 해역별로 어획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중 제주도 연안해역(CC)은 양망회수와 어획량은 많으나 양망당어획량이 타해역보다 적으므로, 조업중 어구의 형상에 대해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류에 의한 망형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착망의 평균 CPUE는 31.6톤인데 음 10~4월은 평균보다 높고, 음 5~9월은 낮았다. 2. 건착망 어장 5개 해역중 CC해역은 양망회수비 42.4%로서 가장 높고 CPUE는 25.7톤으로 낮았으며, 각 해역별 CPUE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3. 고등어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음 11~1월에 평균 136.3%였고, 음 5~10월에 평균 63.7%였다. 4. 저층류에 의한 역조시 선망권의 직경은 가장 짧았고, 이때 납줄에 의한 포위면적은 더욱 좁아지며 어군의 포위효율은 낮아졌다. 5. 저층류에 의한 납줄의 형상은, 순조의 경우 유향으로 장원형이 되었고, 역조의 경우 유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원형이 되면서 포위면적이 급히 축소되었으며, 망의 변형은 역조의 경우 가장 심하였다.

  • PDF

제주도 한림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II. 수온 및 염분의 변동과 해수의 유동 (Environmental Character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 in the Coastal Water of Hanlim in Cheju Island II. Fluctuation of Temperature, Salinity and Current)

  • 김준택;정동근;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8-104
    • /
    • 1999
  • 제주도 서부 연안역인 한림 정치망어장의 해황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1995년과 1996년에 실시한 정선, 정점조사의 수온, 염분자료, 시계열분석, 해수유동 상황 둥을 정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림 정치망어장은 하계에 수온, 염분의 일교차 (수온 $0.4\~9^{\circ}C$, 염분 $0.20\~7.50\%_{\circ}$)가 매우 크고 단기적인 수온, 염분변화가 심하다. 즉 이 어장은 외측의 중$\cdot$저층수 (저온, 고염분수)와 연안 수 (고온, 저염분수)가 조류 방향에 따라 교호로 출현하고, 조류의 강약이나 바람 등에 의한 연직혼합의 정도에 따라 수온, 염분변화의 크기에 차가 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2. 한림 정치망에서 실시한 22일 (1996년 8월 19일$\~$9월 10일)간의 mooring 결과에 의하면 소조기의 썰물과 밀물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각각 9.1cm/sec의 남서류, 11.6cm/sec의 북 또는 북동류이며 최강유속은 썰물 때 157cm/sec, 밀물 때 22.6cm/sec 이다. 대조기의 썰물과 밀물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각각 10.4cm/sec의 남서류, 12.3cm/sec 북 또는 북동류이며 최강유속은 썰물 때 19.4cm/sec, 밀물 때 20cm/sec로 대조기와 소조기의 유속차가 크지 않고 밀물의 유속이 썰물의 유속보다 약간 빠르다. 반일주조 ($M_2$)의 장축방향의 유속벡터가 일주조. ($K_1$)의 그것에 비해 1.5정도 크며 두성분의 장축방향은 서북서$\~$동남동이고 북서방향으로 3.25cm/sec의 항류성분이 나타났다. 비양도와 차귀도 사이의 제주도 서부 연안역에서 3일간 (1996년 7월 25일$\~$27일)실시한 TGPS Buoy 추적결과에 지하면 연안역의 평균유속과 유향은 썰물 때 1.6 knot의 남서류, 순간 최대 유속은 4.8 knot 밀물 때 1.3 knot의 북동류, 순간최대유속은 3.7 knot였으며 외해측 (연안에서 2mile정도)의 밀물 때 평균유속과 유향은 1.7 knot의 북서 내지 북동류였고 0.3 knot 정도의 북동방향의 항류가 나타났다.

  • PDF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3. 구조개량을 위한 각멍어구 모형실험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Fishing System of Set Net in the Coast of Jeju Island 3. The Mode| Experiment of Fyke Net for Construction Improvement)

  • 김석종;구명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37-46
    • /
    • 2004
  •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 시스템 개량과 개발분야에서 연안해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망어구의 구조개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망을 1/20로 축소하여 개량된 입구 구조를 갖춘 모형 어구 8종류를 제작하고, 실험 수조에서 고등어 어군을 이용하여 모형 어구에 대한 어군의 입 ${\cdot}$ 출망 행동을 관찰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통그물내에서의 어군의 행동 패턴은 원형 모양으로 한쪽 원통그물내에 체류하는 행동과 긴 타원형 모양으로 좌 ${\cdot}$ 우 원통그물내를 왕복 유영하는 행동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모형 어구 내에서의 고등어 어군의 평균 유영 속도는 원통 그물 중간 부분에서 24.9cm/sec, 오른쪽 원통그물내에서 12.6cm/sec, 입구에서 32.0cm/sec였다. 3.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47%였고, 깔대기 그물이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4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7% 정도로 그다지 크지 않았다. 4.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69%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 의 모형 어구에서는 1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로 그 폭이 컸다. 5. 어군의 잔여율은 경과 시간 60초일 때 표준 모형 어구에서는 31%였고, 깔대기 그물의 길이가 35cm의 모형 어구에서는 90%로 나타났는데, 양자의 차이는 59% 정도였다.

한국 남해와 동해 연안역 주요 먹이 어종의 풍도변화에 따른 삼치 개체군의 변동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진영;김영순;김희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11-820
    • /
    • 2021
  • The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was analyzed using monthly catches of coastal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waters off Gyeongsangnam-do and eastern waters off Gyeongsangbuk-do of Korea from 2006 to 2019.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and its prey species fluctuat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ime lags of +2 to -2 months between the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and eastern waters.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revealed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was influenced by its prey species such as hairtail and anchovy in southern waters, and common mackerel and horse mackerel in eastern waters. The model deviance explained 49% and 42% of Spanish mackerel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water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is affected by seasonal migratory prey fish species in the coastal areas and can be linked to their northerly migration.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 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Fishery Resources off Youngkwang 1.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Stow Net)

  • 황선도;임양재;김용철;차형기;최승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7-738
    • /
    • 1998
  •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 사이에 서해 영광 연안에서 주목망으로 채집한 부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에 따른 양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한 시기 정점간의 종조성 변화가 적어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서해에서는 강한 조류를 이용한 수동어구의 자료는 우점종에 대해서 정량화가가능하였다. 조사기간중 총 98종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어류가 $52.0\%$, 새우류 $44.6\%$, 두족류 $2.0\%$, 게류 $1.4\%$ 및 복족류가 $.1\%$ 미만을 차지하였고, 청멸 (Thryssa kammalensis),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중하 (Metapenaeus joynezi), 민태 (Johnius grypotus) 등이 전체의 $68\%$ 이상을 차지하여 소수종에 의해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개체수 및 생체량의 계절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부영생물의 종조성이 정점간의 변화보다는 계절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서해 남부의 영광 연안 해역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해역으로 서해 중부 해역과는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 PDF

어획특성을 이용한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회유경로 추정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h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using Catch Distributions)

  • 김희용;임유나;송세현;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6-384
    • /
    • 2016
  • Seasonal catch distributions of large purse seines and daily landings of coastal set ne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migration path of th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round Korean waters. The Spanish mackerel start to move toward the coastal region in the South and West Sea in May for spawning and stay until July, when spawning finishes. Afterwards, they start to migrate to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ern East Sea and are found irrespective of the onshore and offshore regions. Therefore, they disappear from the offshore region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une and July, and a new recruitment population of age 0 begins to inflow into the coastal fishing grounds in the South Sea and West Sea in August, one month earlier than in the Japanese coastal region of the East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