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tial mediating effec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비난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기능적 메타인지신념과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Blame on Learned Helplessnes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nd Rumination)

  • 강지윤;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01-120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blame (criticism) on learned helplessness and to examine whether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nd ruminat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lame and learned helplessness. The participants were 316 adolescents (Mean age=16.7, SD=0.75; 137 male, 179 female) attending grades 1st and 2nd in high school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a snowball sampling method, while the data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This survey was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using SPSS 28.0, Amos 26.0 (IBM Co., Armonk, NY), and PROCESS macro version 4.2 (Model 6; Hayes, 2022).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dolescents' perceived paternal and maternal blame indicat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earned helplessness. Secondly, rumination mediated the effect of paternal and maternal blame on learned helplessness. Lastly, paternal and maternal blame significantly affected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nd rumination. This study elucidates the causal structure among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learned helplessness in adolescents, focusing on parental blame,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nd rumina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verifi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blame and learned helpless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difying maladaptive metacognitive beliefs may help to reduce learned helplessness among adolescents who perceive high levels of parental blame.

프랜차이즈 본부의 가맹비용이 기업영속성에 미치는 영향: 가맹만족과 경영성과의 순차 매개효과 (The Impact of Franchise Costs at Franchise Headquarters on Corporate Permanenc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ranchisee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 채희준;강병오;채희원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4권3호
    • /
    • pp.37-5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e headquarters' franchise cost and franchise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e cost and corporate permane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edium-sized franchisees in Seoul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identify the impact of franchise costs on corporate performance with the Amos 28.0 program. Result: Franchise cos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franchise satisfaction and corporate permanence. It was confirmed that franchis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manence. Franchise costs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franchise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permanence. Conclusions: This study expanded the theoretical scope by applying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to corporate transactions. In addition, the franchise headquarters proposes ways to create a culture of franchise business with trust by presenting appropriate franchise cost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manence through franchise satisfaction.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 박동진;김송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0-1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 조사(2018)의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진로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함의와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Hope)

  • 장민;김예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31-141
    • /
    • 2020
  •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성격 변인인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르게 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19세부터 만65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분석에 적합한 3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은 자기효능감, 인지 유연성의 대안과 통제, 그리고 희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의 증가는 희망의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증가된 희망은 증가된 대안과 자기효능감 수준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대안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 그릿과 진로 적응의 순차적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and Academic Adap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Adaptation)

  • 전향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15-624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 진로 적응의 매개 효과를 순차적으로 검증하여 대학생의 학업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 3개 대학의 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학업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각각 그릿과 진로 적응이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학업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진로 적응의 순차적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적응은 성장마인드셋, 그릿, 진로 적응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과 상담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맞벌이 가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외로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Upper Elementary Children's Parentification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 김두영;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59-47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ouble-income families and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sequen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participants were 311 upper-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to 6th graders; 126 boys, 40.5%) in doubleincome household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plus 8.7 softw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the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smartphone dependency, while loneliness did not. Lastly, parentification influenced smartphone dependenc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chann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for smartphone-overdependent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should place emphasis on children'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tributed to parentifi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the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to address the issue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suggesting possible involvement and support at both household and societal levels.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직렬매개 효과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 이선희;이은경;박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5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between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Methods: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4) was used to analyze 1,113 preschooler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Results: Warmth parenting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by yielding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self-esteem and peer play interaction. Namely, warmth parent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but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schooler self-esteem, which positively affected peer play interaction. This path increases the social competence(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preschooler to consider themselves a worthy person and to learn positive interaction techniques through warmth parenting.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 김선민;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2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동일한 상사와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377명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Hayes의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간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상사의 코칭리더십 발휘로 이어지고,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더 많은 혁신행동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문화와 상사의 리더십인 환경적 변인이 어떻게 개인의 동기적 변인인 욕구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행동적 변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외에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인지적인 측면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인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협동학습역량과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향, 인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협동학습역량은 인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보고된 창의성 변인을 인지적 능력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 특성인 창의적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인성이 함양되는 순차적인 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어머니의 부적절한 스마트기기 이용습관이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및 자기조절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Mothers' In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Habits on Preschoolers' Cognitive Ability: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and Self-regulation)

  • 안수미;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157-16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ways between mothers' in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habits, preschoolers' immersion tendency and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cognitive 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8 preschoolers aged 4 and 5 yea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Gangwon-do, Daejeon, Busan, and Mokpo.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25 program.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AMOS 22 program. Mothers' in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habi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this association was mediated by the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y. These findings show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mothers' inappropriate smart device usage habits negatively affect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and self-regulation which, in turn, has a negative impact on cognitiv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