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mployed worker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우울과 피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황은희;이현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3-1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are workers employ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3 care workers who worked in 11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patient-related job stress was the greatest stressor among care workers' job stress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 quality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care workers. The care workers' sleep qua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r=-.16, p=.018), depression (r=-.31, p<.001) and fatigue (r=-.29,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of sleep quality were depression (${\beta}=-0.22$, p=.001) and fatigue (${\beta}=-0.15$, p=.047).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and sleep quality of care workers by developing and apply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fatigue of the care worker. This will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care for the patients.

직장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예측 요인 (Middle-aged Female Worker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김자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4-12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female work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middle-aged female worker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SS/WIN version 23.0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articipants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iving standards, and hobby. These explained 39% of the varianc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We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iving standards, and hobby influenced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o improve middle-aged female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ing a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is necessary.

사무직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 심리적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Perceived Fatigue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 박승필;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01-311
    • /
    • 2011
  • 본 연구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피로수준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수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인 이상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 42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 872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2009년 2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피로수준은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피로수준은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근무경력, 결근횟수, 직장생활만족도, 규칙적 운동유무, 수면시간, 외래진료유무, 업무요구도, 상사의 지지도 및 자기존중감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직장인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의 실천여부 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일부 기혼 치과위생사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요인 (Parenting stress in married dental hygienists)

  • 황윤숙;김수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5-44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enting stress of married dental hygienists having preschool and school aged childre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42 married dental hygienist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via e-mail and ordinary mai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13.0 program. Results: As for job-related characteristics, 36.6% of the subjects answered 'not possible' in work hour flexibility. The reasons why family-work balance is difficult were 'parenting and education(58.7%)' and 'burden of family-work balance(32.4%)'. Family life satisfaction was 3.03, and parenting stress was 2.41. Parenting stress gets higher if their children are younger, monthly income is lower, and mother/father's age are lower. And parenting stress becomes higher if their career as dental hygienists is less, they are contract worker, and frequency to change jobs is higher. Concerning the reason why work-family balance is difficult, parenting stress is found to be high when they choose 'parenting and education', 'burdens of work-family balance', and 'relationship in workplace'. Family life satisfaction reduce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to change job influences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Parenting stress increases turnover and career interruption of married dental hygienists. It is hard to improve work environment without policy support.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policy for employed mothers and create a work atmosphere where the policy can be utilized without difficulty.

<극한직업>,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며 살아남을 것인가? -코믹 모드의 부활과 자기경영 시대의 코미디영화 (Extreme Job, How Will We Survive Since "Candlelight Protest"? -A Revival of Comic Mode and a Comedy Film in the Age of Self-Management)

  • 정영권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221-254
    • /
    • 2020
  • 본 논문은 영화 <극한직업>의 1,600만 흥행에 질문을 던지면서, 절묘한 개봉 시기, 코미디영화의 부활, 이병헌 감독 코미디의 매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회적 맥락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극한직업>의 놀라운 흥행은 해당 영화에 대한 텍스트 분석만으로는 도저히 설명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공론장으로서의 코미디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한 후 보수정권이 집권한 2008년 이후 코미디와 타 장르에 나타난 대중의 욕망과 염원을 진단한다. 2008년 이후 어두운 톤의 액션 스릴러·사회문제영화·재난영화 등이 부상했고 이들 장르는 치안의 부재, 민주주의의 위기, 지배층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그에 비해 같은 시기 흥행한 코미디영화는 대체로 신파, 노스탤지어, 판타지 경향으로서 현실도피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격 코미디는 아니지만 <베테랑>(2015)의 커다란 성공 이후 대중영화에서 '코믹 모드'는 서서히 부활했다. <도가니>(2011)가 파생시킨 진지한 사회문제영화 대신 장르 관습에 더 충실한 밝은 톤의 영화들이 사회의 개혁과 변화에 대한 대중의 열망을 담기 시작했다. <극한직업>은 이러한 분위기의 산물이다. 한편, '촛불혁명'은 위기에 처한 정치적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경제적·일상적 삶에서 변화한 것은 거의 없었다. <극한직업>은 민주주의의 회복이라는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고 살 것인가의 문제로 읽힐 수 있다. 형사들이 잠복근무를 위해 치킨집을 인수하면서 벌어지는 자영업자로서의 삶은 끝없는 경쟁 속에 생존해야 하는 서민들의 모습이다. 또한 맛집으로 유명해지는 '대박신화'의 꿈과 브랜드 네이밍, 프랜차이즈 확장이라는 자기경영의 면모도 담고 있다. 조폭이 치킨 프랜차이즈를 통해 암암리에 마약을 배송하는 것은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거대 유통산업으로 독해 가능하다. 경찰이 자영업자의 정체성을 갖고 이들을 소탕하는 것에 보내는 박수는 나와 다르지 않은 평범한 이웃에 대한 응원이자 오늘날 점점 사사화(私事化)하는 시장에서 공권력의 공공성 회복을 열망하는 대중의 염원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극한직업>을 2008년 이후 영화장르의 지형도와 코믹 모드의 부활이라는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규명하고, 미시적 수준에서는 이 영화를 '촛불혁명'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경제적·일상적 삶의 문제로 읽어내는데 있다.

석유계 솔벤트를 사용하는 세탁소 작업자의 노출평가 (An Evaluation of Exposure to Petroleum Based Dry Cleaning Solvent Used in Commercial Dry Cleaning Shops)

  • 정지연;이광용;이병규;이나루;김봉년;김광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6
    • /
    • 2005
  • In previous report, we presented that petroleum based solvents used in dry cleaning shop was almost similar to stoddard solvent defined by ACGIH and NIOSH, and the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 of stoddard solvent could be used in total exposure assessment of those solvents. The specific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the solvent exposure used in commercial dry cleaning shops by using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 of stoddard solvent. We conducted first survey of 8 self-employed dry cleaning shops and 5 factory type dry cleaning shops from July to August, and second survey of the same shops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2. The exposure concentration to the solvent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activity of vented dry cleaning machine was 489.2ppm(GM), 270.3ppm(GM), respectively, which was almost excursion limit(500ppm) of ACGIH, and exceed the ceiling limit(312ppm) of NIOSH. The time-weighted average (TWA) worker exposure to the solvent was 21.3ppm(GM) at self-employed shops, 20.7ppm(GM) at factory type shops on first survey, and 31.1ppm(GM), 33.7ppm(GM), respectively on second survey. The TWA exposure concentration of workers with spotting and cleaning machine operating job was 25.4ppm(GM), which was 2.9 times higher than the TWA exposure concentration, 8.8ppm(GM) of press workers. All TWA exposure concentrations was lower than OEL(100ppm) of stoddard solvent. We found that the most heavy exposure process at dry cleaning was loading, unloading process, and the vent of dry cleaning machine was the main emission source for workers exposure to petroleum based solvent.

미국에서 한인 자영업에 관한 연구 (Toward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s in Small Business in the United States)

  • 최병목
    • 한국인구학
    • /
    • 제19권2호
    • /
    • pp.139-173
    • /
    • 1996
  • 본 연구는 중간상인이론(Middleman Minority Theory)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이용이 가능한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1)순수 소수민족 중간상인의 전형의 하나로 한국인 이민자들의 소규모 사업자그룹을 연구대상으로 했고, 2)이민 후 소규모 사업가로의 전환이 이론적 측면에서 나타난 부정적 요인 또는 긍정적 요인 때문인가를 밝혀 보고자 했으며, 3)한국이민 자영업자들의 경제구조에 나타난 역할 및 사회적 위치와 특성은 무엇인가를 분석했다. 연구자료는 1980년 미국센서스의 5%표본인 일반공개자료를 사용했다.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자영업자와 임금노동자를 각각 중심부(core sector)와 주변부(periphery sector)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총 분석대상은 25세 이상 64세 이하의 6,435명(주변부 자영업: 1,087명, 중심부 자영업: 222명, 주변부 임금노동자: 3,192명, 중심부 임금노동자: 1,934명)이었다. 분석방법은 이변량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종전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연구대상 중 재미 한국이민자들의 20%는 소규모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나머지 80%는 사기업에 종사하는 임금노동자였다. 그러므로 자영업 참여율만 가지고 볼 때 미국에 이민온 한국인들이 소수민족 중간상인이론으로 모두 설명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연구분석결과에 나타난 한국이민의 소규모 사업종사는 단순히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기 때문이거나 교육정도가 낮기 때문에 재미 한국이민들이 자영업에 들어갔을 것이라는 설명도 최근 한국인의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상당수 한국인 자영업자들은 사기업에 종사하는 임금노동자들보다 더 많이 대학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재미 한국인 자영업자들은 사기업 임금노동자들보다도 더 높은 직업명성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인 자영업자들은 자영업 개설에 민족적 자원이 긍정적 측면의 혜택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인 자영업자들은 열심히 일하고(매일 오랜 시간 일하고) 부지런하며, 값싼 임금으로 가족들이 자영업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영업자와 임금노동자를 각각 주변부와 중심부로 나누었을 때 한국 이민자들의 산업활동 상태는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재미 한국이민들이 미국사회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업을 놓고 볼 때 한국인 자영업자들은 중간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분석그룹 중에서 중심부 자영업자들이 가장 많은 가구수입을 올리고 있고, 그 다음이 주변부 자영업자, 중심부 사기업 임금노동자, 그리고 마지막이 주변부 사기업 노동자 순으로 수입정도가 나타났다. 가구당 노동자수는 임금노동자 경우 가구수입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그 밖에 재미 한국이민 중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더 많은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인 자영업 종사자들은 민족자원 이용의 유리한 점과 수입, 산업 및 직업종류, 직업명성도 측면에서 본 사회적 위치는 중간(middle strata)에 놓여 있어서 소수민족 중간상인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지만, 언어문제나 낮은 교육수준 때문에 자영업에 종사하게 된다는 기존의 소수민족 중간상인 가설은 재미 한국이민의 경우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소수민족 중간상인이론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행동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moking Behavior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09-8515
    • /
    • 2015
  • 본 연구는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2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흡연율은 35.2%이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과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총점과 하위영역(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의 스트레스요인 점수가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현재 흡연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에서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스트레스군에서 흡연과의 관련성이 더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신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경제활동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고용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Type, Severeness, Economic Act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Using the Employment Panel Data in Everyday Discrimination)

  • 이성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81-3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 장애인에 대한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매개역할 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가운데 장애를 가지고 있고 직장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할 수 있는 결혼을 한 장애인 3,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 신체내부장애)과 장애정도(중증, 경증), 경제활동상태(임금근로자, 자영업주, 무급가족종사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는 실업자와 중증을 제외하고 결혼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부분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줄이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