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distance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Assessment o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 Tests in the Bago Yoma Region, Myanmar

  • Lwin, Ohn;Hyun, Jung-Oh;Yahya, Andi Fadly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86-692
    • /
    • 2010
  • This study described the general pattern of genetic variation among ten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s in Myanmar and determined the most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Bago Yoma region. Seeds of ten provenances were collected to cover the whole teak natural distribution in Myanmar and planted at four trial sites in Bago Yoma region in 1998. Seven years after planting, variation was assessed for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eoclimatic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traits measured among provenances, trial sites and provenance ${\times}$ site interaction at five percent level.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was found among most of the traits. Th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all traits and geoclimatic factors indicated the existence of ecoclinal variation in teak. Most of the trai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atitude while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ongitude and C/B ratio, crown-diameter, average branch angle and leaf-rem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temperature and any other traits in this study. Furthermore, growth traits and crown diame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annual rainfall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growth traits. Results indicate that the latitudinal pattern of teak genetic variations in growth performance was attributed to the limit of mean annual rainfall. Comparative assessment showed that local provenances were generally the best and could be use as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the Bago Yoma region.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서 상록활엽수의 확산패턴 (Spreading Patter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Forest Community adjacent to the Camellia japonica Stands)

  • 정재민;정혜란;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89-94
    • /
    • 2011
  •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 대한 상록활엽수종의 치수발생량과 종자산포량을 분석하였다. 치수밀도와 비율의 경우, 동백나무림과 동백나무림 가장자리, 동백나무림내 해송아래, 편백림에서 발생하는 전체치수의 약 90%이상이 동백나무를 포함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 돈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는 동백나무림에서 200 m 정도 떨어진 해송림과 낙엽활엽수림에까지 밀도는 낮지만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시작되고 있었다. 흉고 직경급 분포에서 동백나무는 역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고 후박나무, 참식나무, 광나무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동백나무 종자는 동백나무림 주변 50 m 이내에 주로 산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한국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권용삼;홍지화;최근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2-329
    • /
    • 2011
  • 국내 육성된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arker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 70품종을 20개의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립유전자의 수는 2~9개로 비교적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124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PIC 값은 0.498~0.882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734로 나타났다.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작성된 보리70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10~0.91의 범위로 나타났고, 유사도 지수 0.15를 기준으로 할 때 70개 품종은 2조 보리 그룹과 6조 보리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공시 품종 모두 microsatellite marker의 genotype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보리의 유전적 다양성 및 품종식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사과 품종 간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of Apple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홍지화;권용삼;최근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1-727
    • /
    • 2013
  • 본 연구는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국립종자원 서부지원에 수집된 사과 42품종에 대한 품종 간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사과 품종식별에 적합한 마커를 선정하기 위하여 8개 품종을 대상으로 총 305개의 마커를 분석하였다. 8개 품종 간에 다형성이 높고, 반복간 재현성이 있으며 밴드패턴이 선명한 26개의 마커를 최종 선발하여 42품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총 165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대립유전자의 수의 분포는 2~12개를 나타내었으며, 마커당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6.4개로 조사되었다. PIC 값은 0.461~0.849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665로 나타났다. 165개의 대립유전자를 Jaccard 방법에 의해 유사도를 산출하고 비가중 산술방식에 의해 집괴 분석한 결과 공시품종의 유전적 거리는 0.27~1.00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총 42품종 중 41품종은 microsatellite 마커의 유전자형에 의해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사과 품종의 식별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복원 소재로서 지역 종자 적용을 위한 억새와 갈대의 유전적 변이분석 (Genetic Difference Analysi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Miscanthus sinensis and Phragmites australis to Apply Regional Seed for Restoration in Korea)

  • 홍선희;박상용;민경도;김재윤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463-470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염습지 해안 복원의 주요 식물인 갈대와 내건성 대표 식물인 억새의 지역별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복원종자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고자 하는 연구로서, SNP를 활용한 근연관계 분석 결과 억새는 홍성군 집단이 다른 지역과 상이한 유전적 변이를 보인 반면, 갈대는 모든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인 변이양상이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억새의 경우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하는 건조지에서 억새시료를 사용할 때는 지역별로 수집한 종자를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부득이하게 다른 지역의 식물 자원을 사용한다고 해도 유전적인 교란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갈대의 경우 전 지역에서 유전적 변이가 다양하며 억새에 비하여 유전적 변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염류 피해지의 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인 갈대의 경우 종자를 지역별로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향후 복원 사업에 대비하여야 한다.

매실의 다변량에 의한 양적 형질 분석 (Mutivariate Analysis o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 최갑림;현규환;신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9-94
    • /
    • 2014
  • 양적 형질을 중심으로 다변량 분석법에 의해 매실 품종들 간의 유전적 거리를 추정하고 이에 기초한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여 품종을 분류하였다. Mahalanobis's distance (D)에 의하여 공시한 20개 품종을 5개 군으로 대별해 볼 수 있었는데, 제1군이 2품종, 제2군이 4품종, 제3군이 5품종, 제4군이 5품종, 제5군이 4품종으로 그룹을 형성하였다. 제1군과 제2군은 꽃잎 수와 암술 수가 많은 품종인 반면에 제3군과 제4군은 엽장과 엽폭은 높으나 꽃잎 수와 암술 수가 낮은 품종군이었다.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변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품종군 내, 품종 간의 $D^2$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형질은 암술 수와 엽장 및 엽폭이었다.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멜론 시판품종의 품종식별과 F1 순도검정 (Use of Microsatellite Markers to Identify Commercial Melon Cultivars and for Hybrid Seed Purity Testing)

  • 권용삼;홍지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525-534
    • /
    • 2014
  •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멜론 58품종의 식별과 멜론 육종 계통 '10H08'을 이용하여 $F_1$ 종자 순도를 평가하였다. 412개의 microsatellite 표지 중 다형성 정도가 높은 29개는 품종 그룹 내에서도 다양한 유전 변이를 나타내었으며 분자표지의 유전자형에 의해 모든 품종을 식별할 수 있었다. Microsatellite 표지의 대립유전자를 이용하여 멜론 58품종에 대한 계통도를 작성하였을 때 멜론의 형태적 특성과 일치하면서 2개의 대그룹으로 구분되었다. $F_1$ 종자의 순도 검정에 microsatellite 표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29개의 표지를 '10H08' 계통의 양친에 대하여 검정하였을 때 5개의 프라이머가 다형성을 보였으며, 이 중 한 개의 프라이머 'CMGAN12'는 양친간에 뚜렷한 다형성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 프라이머를 192개의 $F_1$ 종자에 대하여 검정하였을 때 자식주로 보이는 개체가 분석된 종자 내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선정된 멜론 품종 식별용 microsatellite 표지는 멜론 품종의 지문화뿐만 아니라 $F_1$ 종자의 순도 검정이 가능하여 종자회사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truction of a linkage Map in Capsicum annuum L. Using RAPD Markers and Identification of Two QTLs.

  • Yang, Tae-Jin;Kim, Yong-Jae;Park, Hyo-Gue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09-115
    • /
    • 1999
  • A linkage map of Capsicum annuum L. was construct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followed in a backcross population of an intraspecific cross between cultivars HDA210 and Yatsufusa. A total of 420 random primers were tested and 311 polymorphic bands were generated by 158 random primers. Among them, 86 Yatsufusa specific bands generated by 52 primers were examined for mapping. Most bands except three segregated in Mendelian fashion fitting the expected 1:1 ratio. The total length of the map was 533 cM distributed in 15 linkage groups. The map distance between adjacent markers ranged 0 to 32.8 cM, with an average distance of 9.1 cM (63 markers). Some markers were clustered and this may be due to the amplification of a repetitive sequence by the RAPDs. Primer pairs for a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were developed and the segregation scores by the SCAR primer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RAPD data. Two QTL markers for number of axillary shoots and for early flowering were developed. One QTL for early flowering located in the linkage group 3 and explained 61 "io of the phenotypic variation. The other QTL for the number of axillary shoots located in the linkage group 4 explained 55 % of the phenotypic variation.tion.

  • PDF

한국 조릿대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Spatial Autocorrelation within Three Populations of Sasa borealis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9-364
    • /
    • 2005
  • 조릿대(Sasa borealis)집단에서 미세지리적 변이에 대한 공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각 거리등급당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연결계수(하나의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전자형의 조합)를 산출하였으며 그 계수가 임의 예상 값에 유의성을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150 경우 중 25 경우$(16.7\%)$가 예상 값과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값 중에서 8경우$(4.7\%)$는 음의 값으로 거리등급에서 개체쌍이 유전적 비친화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조릿대는 죽세공에 쓰이므로 인위적 별채에 의해 한국내 자연집단은 유효 집단이 유지되지 못하는 등 집단 파괴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조릿대가 잘 발달되어온 지리산 집단의 경우 공간적 유전 구조가 결여되어 있었다.

Genetic Diversity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of Goosegrass [Eleusine indica (L.) Gaertn] Ecotypes in Malaysia

  • Saidi, Nazreen;Kadir, Jugah;Hong, Lau Wei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44-154
    • /
    • 2016
  • Goosegrass [Eleusine indica (L.) Gaertn] has been a nuisance to growers in Malaysia due to its increased resistance to commercial herbicides, rapid growth and dissemination, and interference with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an apt integrated management to control goosegrass, more information of this weed is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variations among the goosegrass ecotypes sampled throughout Malaysia from the aspects of genotype and phenotype.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markers were employed in investigating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18 goosegrass ecotypes. Consequently, 5 primer combinations amplified 13 fragments with the polymorphism rate of 69.23%. At 74% similarity, the ecotypes were clustered into 6 groups. Phenotypic variability of the goosegrass ecotypes was assessed by observing their morphology, growth and seed traits. Goosegrass ecotypes were sorted into 3 major groups at the genetic distance (DIST) of 0.37. Concurrences of the evaluated genetic distance, ecotypes with the closest and most distant relationships were assembled together in Group I which showed high variation even among ecotypes in the same group. Results obtained thus implied high molecular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goosegrass ecotypes in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