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w removal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임플란트 지대주나사 코팅이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Coating Materials on Joint Stability)

  • 임현필;박영선;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숙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9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코팅처리의 기계적 성질과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코팅처리가 고정체와의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Megagen 임플란트 시스템과 직경 15 mm, 높이 1 mm의 티타늄원판을 사용하였다. 지대주 나사와 원판에 TiN, TiCN, 및 TiC를 코팅하여 실험군으로, 코팅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지대주나사를 32 Ncm로 체결한 후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측정하고, 10만 번씩 저작 모방 시험을 실시하여 풀림회전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임회전각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풀림회전력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저작 모방 시험후 코팅한 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풀림 회전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풀림회전력은 건조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TiC 코팅군은 저작 모방 시험 전에는 풀림회전력이 낮았지만 저작 모방 시험 후에는 낮은 마찰계수로 인한 높은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가져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결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다른 연결 시스템을 갖는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조임술식에 따른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Removal Torque Values of Retaining Screws Tightened to Implant-Supported Prosthesis with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by Various Tightening Technique)

  • 김동욱;최유성;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43-358
    • /
    • 2011
  • 임플랜트 치료가 보편화되고,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상부 구조물이 보급되었다. 그리고 실패에 대한 보고도 다양하며, 그 중 지대나사의 풀림현상이 가장 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와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비교하여 나사조임순서와 나사조임방법이 서로 다른 연결구조에 따라 나사풀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완전 무치악 하악모형을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하고 이공간 부위에 중심간 거리가 약 15 mm 되도록 네 개의 임플랜트 고정체 유사체를 고정한 후 바 타입으로 납형 형성하여 상부 구조물을 주조 제작하였다. 상부 구조물과 정확한 적합이 되는 주모형을 제작한 후 연결 인상법으로 외부연결구조, 내부연결구조를 가지는 연구모형을 각각 5개씩 제작하였다. 각 모형에서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가장 왼쪽에 조여지는 나사를 1번 나사로 하고 가장 오른쪽의 나사를 4번 나사로 명명하였다. 먼저, 나사조임순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2-3-4, 2-3-1-4, 2-4-3-1의 순서로 15 Ncm의 힘으로 조이고, 다시 같은 순서로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2-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나사조임방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3-1-4의 순서로 한 번에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1-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같은 순서 (2-3-1-4)의 2-step 방법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외부연결구조에서 2-3-1-4군이 2-4-3-1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그리고 내부연결구조에서도 2-3-1-4군이 2-4-3-1군과 1-2-3-4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나사조임순서와 무관하게 몇 번째 조여진 나사인지에 따른 풀림 토크값을 비교해 본 결과, 외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가 두 번째 조여진 나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내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에서부터 마지막에 조여진 나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간에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결구조에 대한 비교에서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의 풀림 토크값은 각각 16.27 Ncm, 14.25 Ncm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다수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나사조임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가운데부터 조인 경우에서 풀림 토크값이 낮았고, 연결구조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풀림 토크값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하중 조건에서의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경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 - 증례 보고 - (Arthroscopy Assisted Percutaneous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of a Displaced Intra-articular Glenoid Fracture - A Case Report -)

  • 고상훈;전형민;신승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27-131
    • /
    • 2010
  • 목적: 저자들은 관절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고식적인 관절 절개술이 아닌 관절경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내 고정한 증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66세의 남자로 좌측 견관절의 쇄골 골절 및 관절와의 전위된 횡 골절 및 견갑골 골절이 있는 환자였으며 관절경을 이용하여 골절을 정복하고 유경나사로 내 고정 하였다. 결과: 술 후 9개월 째 좌측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완전히 회복 되었으며 환자는 일상 생활에 불편감이 거의 없었다. 술 후 12개월째 전신 마취 하 내 고정물의 제거 술을 시행 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은 고식적인 수술보다 적은 통증, 적은 출혈량, 술 후 입원기간의 단축 및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고 술 후 견관절 운동 범위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임상적 평가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물에서의 지대주 나사 풀림 현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incidence of the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posterior implant restorations)

  • 홍수정;배정윤;김현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2-217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식립 임플란트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 및 지대주 나사 풀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208명의 환자에서 구치부에 식립한 391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복물은 고정성으로 단일 혹은 연결 크라운, 브릿지로 제작되었으며, 임시 시멘트로 합착하였다. 전체 수복물 중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고,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 보철물의 유형, 지대주 연결 유형, 매식체의 지름이 지대주 나사 풀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2 - 5년의 관찰 결과, 총 29개(7.4%)의 임플란트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이 발생하였다. 최종 수복 후 지대주 나사 풀림이 발생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3개월부터 48개월(평균19.5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3개의 임플란트에서 매식체의 파절이 발생되었다. 고려 요인들 중,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따라 대구치(9.4%)와 소구치(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19), 대합치에 따라 자연치(9.9%), 임플란트(1.0%), 가철성 보철물(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8). 다른 고려 요인에 따른 지대주 나사 풀림 발생 빈도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에서 지대주 나사 풀림의 발생 빈도는 7.4%로 나타났다. 소구치보다 대구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으며, 대합치에 따라서는 임플란트, 가철성 보철물과 비교 시 자연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척추교정 티타늄 앵커나사 파단 손상원인 분석 (Failure Analysis of Ti alloy Screws in Fixing Fractured Spines)

  • 최병학;김문규;김승언;심윤임;이영진;정효태;최원열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9권12호
    • /
    • pp.983-988
    • /
    • 2011
  • Failure analyses of the screws in spinal fixation devices were carried out. The fractured screws were retrieved from a patient who had spinal surgery in the thoracic vertebrae from number 10 to 15. The failure occurred one month after the removal of the braces. Microstructures and fracture surfaces were examined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icrostructures of the screws corresponded to annealed Ti-6Al-4V bar. However, in the vicinity of the screw surface, there was an insufficient number of fine precipitates. Fracture surfaces showed typical fatigue failure modes. Regarding the fact that no machining defects were detected, fatigue crack initiation might have been caused by the lack of precipitates near the screw surfaces. Only the fourth of five fixed screws was severely stress-concentrated by the action of the spinal bones, while the stress of the 4th screw was decreased to half of its acceptable level when the screw was supplemented by one more, which might have been fixed in the 6th vertebra under the 5th position by the switching of its position. The stress simulation was conducted by ANSYS with 3D CAD of PRO/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ess concentration behavior and to provide an effective spinal surgery guide.

임플란트 나사의 안정성 (Stability of implant screw joint)

  • 정재헌;곽종하;장두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7
    • /
    • 2003
  • The use of screw-retaind prosthesis on an osseointegrated implant is a popular treatment modality offering relative ease in the removal of the restoration. One of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is modality is the loosening of the abutment and coping screws. Loosening of the screws results in patient dissatisfaction, frustration to the dentist and, if left untreated, component fracture. There are several factors which contribute to the loosening of implant components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restorative dentist and lab technician. This article offers pratical solutions to minimize this clinical problem and describes the factors involved in maintaining a stable screw joint assembly. To avoid joint failure, adherence to specific clinical, as well as mechanical, parameters is critical. With respect to hardware, optimal tolerance and fit, minimal rotational play, best physical properties, a predictable interface, and optimal torque application are mandatory. In the clinical arena, optimal implant distribution; load in line with implant axis; optimal number,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s; elimination of cantilevers; optimal prosthesis fit; and occlusal load control are equally important.

Evaluation of stability of interface between CCM (Co-Cr-Mo) UCLA abutment and external hex implant

  • Yoon, Ki-Joon;Park, Young-Bum;Choi, Hyunmin;Cho, Youngsung;Lee, Jae-Hoon;Lee, Keun-Wo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6호
    • /
    • pp.465-47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interface between Co-Cr-Mo (CCM) UCLA abutment and external hex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external hex implant fixture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CCM and Gold group) and were embedded in molds using clear acrylic resin. Screw-retained prostheses were constructed using CCM UCLA abutment and Gold UCLA abutment. The external implant fixture and screw-retained prostheses were connected using abutment screws. After the abutments were tightened to 30 Ncm torque, 5 kg thermocyclic functional loading was applied by chewing simulator. A target of $1.0{\times}10^6$cycles was applied. After cyclic loading, removal torque values were recorded using a driving torque tester, and the interface between implant fixture and abutment was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SD) between the CCM and Gold groups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Fractures of crowns, abutments, abutment screws, and fixtures and loosening of abutment screws were not observed after thermocyclic loading.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recorded removal torque values between CCM and Gold groups (P>.05). SEM analysis revealed that remarkable wear patterns were observed at the abutment interface only for Gold UCLA abutments. Those patterns were not observed for other specimens. CONCLUSION. Within the limit of this study, CCM UCLA abutmen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bility of interface with external hex implant, compared with Gold UCLA abutment.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시행 후 3차원 재구성CT영상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efulness of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ve computed tomography images after pedicle screws fixation)

  • 김현주;장현철;조재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53-559
    • /
    • 2010
  • 본 연구는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고정술 전, 후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의 원 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구성 기법을 적용하여 나사못의 정확한 위치파악과 수술의 정확도 등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에서 주로 이용 하는 재구성기법인 다평면재구성(MPR), 최대강도투영(MIP), 체적묘사기법(VRT)과 변형 제적묘사기법(modifying VRT)을 적용하여 영상데이터를 각 각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재구성 영상의 분석 및 평가결과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재구성 기법 중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후 나사의 정확한 위치파악과 금속에 의한 인공음영을 최소화 시키는데 가장 유용한 재구성 기법으로는 변형 체적묘사기법으로 사료된다.

Efficacy of Spinal Implant Removal after Thoracolumbar Junction Fusion

  • Kim, Seok-Won;Ju, Chang-Il;Kim, Chong-Gue;Lee, Seung-Myung;Shi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3호
    • /
    • pp.139-142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pinal implant removal and to determine the possible mechanisms of pain relief. Methods: Fourteen patient~with an average of 42 years (from 22 to 67 year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patients had posterior spinal instrumentation and fusion, who later developed recurrent back pain or persistent back pain despite a solid fusion mass. Patients' clinical charts, operative notes, and preoperative x-rays were evaluated. Relief of pain was evaluated by the Visual Analog Scale (VAS) pain change after implant removal. Clinical outcome using VAS and modified MacNab's criteria was assessed on before implant removal, 1 month after implant removal and at the last clinical follow-up. Radiological analysis of sagittal alignment was also assessed. Results: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8 months (from 12 to 25 months). There were 4 patients who had persistent back pain at the surgical site and 10 patients who had recurrent back pain. The median time after the first fusion operation and the recurrence of pain was 6.5 months (from 3 to 13 months). All patients except one had palpation pain at operative site. The mean blood loss was less than 100ml and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The mean pain score before screw removal and at final follow up was 6.4 and 2.9, respectively (p<0.005). Thirteen of the 14 patients were graded as excellent and good according to modified MacNab's criteria. Overall 5.9 degrees of sagittal correction loss was observed at final follow 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For the patients with persistent or recurrent back pain after spinal instrumentation, removal of the spinal implant may be safe and an efficient procedure for carefully selected patients who have palpation pain and are unresponsive to conservative treatment.

전방 정복술 및 경피적 후방 압박나사 내고정술을 이용한 전위성 거골 경부 골절의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s of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Screw Fixation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 박지강;김용민;최의성;손현철;조병기;차정권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6-114
    • /
    • 2013
  • Purpose: Posteroanterior screw fixation is biomechanically stronger than anteroposterior screw fixation. However, there are few literature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results and more strength by posteroanterior fix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accelerated rehabilitation following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screw fixation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case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posteroanterior fixation using headless compression screw for talar neck fracture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Hawkins criteria. As radiographic evaluation, the degree of fracture displacement, period to union, and occurrence rate of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through MRI were measured. Results: The AOFAS score was average 90.4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re were 7 excellent, 9 good, and 2 fair results according to the Hawkins criteria. Therefore, 16 cases(88.8%)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The degree of fracture displacement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5.6 mm to 1.2 mm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maintained to 1.1mm at the last follow-up. All cases achieved bone union, and the period to union was average 12.4 weeks. There were 3 cases of avascular necrosis of talar body and 2 cases of post-traumatic arthritis. Conclusion: Anterior open reduction and posterior percutaneous headless screw fixation seems to be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ccurate restoration of articular surface, fixation strength enough to early rehabilitation, and needlessness of hardware remo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