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of fieldwor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ieldwork Course in LIS in South Korea

  • Cha, Sung-Jong;Bae, Kyung-J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32-44
    • /
    • 2020
  • This study attempt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fieldwork cours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rogram in South Korea by determin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students with practicums at a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agency. LIS students with fieldwork experience were surveyed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atisfaction. Results fro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rom among factors of practicum settings, major-related attributes, and general attributes of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practicums. Examining the six components of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revealed that "practicum program" and "practicum setting"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A sel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factors influencing overall satisfaction, focus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majors.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 조사 (The Surveys of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Clinical Practice for Dept. of Health-related Students)

  • 이나정;박성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7-85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ieldwork satisfaction of Dept. of Health-related students, and to ascertain a change of perception on deciding on a course after fieldwork, and on a desired field and facility. Methods :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 of Dept. of Health-related(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Dental hygiene) from March 2 to April 30 of 2011. The questionnaires of 15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es, cross- and multi-reply analyses using SPSS ver. 12.0. Results : In fieldwork satisfaction, highly satisfied items were diversity of therapeutic equipment and tools, regula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ieldwork. The awareness of their decisions on employment and desired field changed positively for 52.7% students and negatively for 13.3%.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the awareness of one's decision on employment and desired field changes through fieldwork.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 이춘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43-352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해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58개의 의료기관에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117명의 작업치료사와 신입 작업치료사 1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실습 지도자는 실습생을 평가할 때 기본적인 소양과 매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신입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직무에서 중요도는 10점, 수행도는 7점, 만족도는 6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중요도는 중재계획의 문제 확인과 치료계획 수립이 1위와 2위로 나타났지만, 신입 작업치료사의 수행도는 2위를 제외한 5위 내의 4개가 모두 평가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작업치료사가 겪는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상실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Clinical Fieldwork in Occupational Therapy)

  • 차수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33-44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RISS, KISS, Google Scholar,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Clinical Fieldwork"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연구 8편(100.0%) 모두가 Level IV(조사연구)에 해당하여 질적 수준이 낮은 편이었다. 또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주제는 임상실습만족도가 4편(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상실습교육체계와 임상실습에 따른 변화가 각각 2편(25.0%)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향후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확립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A Focus Group Interview(FGI) on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강진호;남영옥;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9-309
    • /
    • 2019
  • 본 연구는 작업치료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심리적 경험, 전문적 경험, 환경적 경험, 가치관의 변화, 행동적 변화이었다. 심리적 경험으로 참여자들은 부정적 측면에서 부담감과 불안을 경험하였으며 긍정적 측면에서는 기대감과 설렘을 경험하였다. 전문적 경험으로는 이론과 임상을 연계에 대해 경험하였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환자를 접해보는 경험을 하였다. 환경적 경험으로는 다양한 치료 접근을 경험하였고, 임상실습 지도 관리 체계 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임상실습을 통해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행동적 변화를 경험하여 임상실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는 전공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론적 지식의 적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임상기관에서는 효율적 임상실습을 위해 학생중심의 실습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최적의 실습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와 적용: 경주 양동마을을 사례로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quiry-based Fieldwork Program using Wireless Mobile Devic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ourism on Yangdong Village)

  • 이종원;오선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893-9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양동마을의 지속가능발전을 주제로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를 위해서는 탐구질문, 조사대상 지역,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역할, 학습활동 및 산출물 설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양동마을은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양동마을에서 가옥의 변화를 조사하고, 주민들을 인터뷰하고, 마을에서 변해야 하는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조사한다. 학생들의 야외 데이터 수집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테크놀로지(예, Collector for ArcGIS)가 활용되었다. 프로그램은 2016년 2월 고등학교 답사동아리 학생들(N=21)이 참여해 현장적용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사전-사후활동, 야외에서의 데이터 수집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와 제작한 산출물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생들은 양동마을에 대한 지식과 가치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과정에 대해서도 만족과 즐거움을 표시했다.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에서 학습활동의 실제성을 높여주고, 학생들 간 협력을 원활하게 하며, 공유가 가능한 디지털 형태의 산출물 생산을 지원한다.

  • PDF

EU 회원국 근로자들의 근무강도 및 작업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Impacts of Working Condition on Job Satisfaction of European Employee)

  • 노승재;최항석;임효창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4호
    • /
    • pp.391-411
    • /
    • 200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on effect of working time and physical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is based on a representative survey carried out in the 15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in 2,000 on behalf of the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by Infratest Burke Sozialforschung and a consortium of national fieldwork institutes. In the course of the survey, a total of 21,703 people drawn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s in the 15 countries were questioned about their working time, overtime, weekend work, physical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supervisor and co-worker and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es. It was found that weekend work, overtime and physical work environment associate negatively with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of supervisor and co-worker moderated only 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prior quantitative studies partly. Based on thes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의 3D 파노라마 가상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3D Panorama Virtual Fieldwork Courses on Water Spider in Eundaeri)

  • 윤마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07-619
    • /
    • 2019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물거미와 그 서식 장소를 교육 콘텐츠로 하여 물거미의 생태 관찰과 가상야외학습장(VFC) 개발을 통해 과학적 소양과 은대리 습지에 대한 아름다운 추억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5개정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고, STEAM 수업 모델에 따라 7차시 학습자료로 개발했다. 학생들은 협력학습으로 물거미에 관한 3D 파노라마 VFC를 제작하면서 물거미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감성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6명의 교육 전문가 패널이 개발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4.20(CVI=.88)로 매우 합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과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불일치 정도를 줄이기 위해 중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수업에 적용한 결과, 수업 만족도는 평균 4.24이었으며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참신한 학습 내용, 융합교육 수업의 적합성 등에서 매우 만족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생태와 가상현실 관련 융합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of New Fire Officers on Job Implementation)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131-140
    • /
    • 2020
  •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의 효과가 현업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한 검증작업은 극히 미미한 상태이며,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는 직무만족에 따른 현업적용의 실증적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신임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이 재난현장과 소방행정 집행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특성과 학습성과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 교육프로그램, 학습성과와 학습자특성이 현업적용도에 유의미한 영향(P < 0.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종 모형을 이용한 간호 학습전이의 개념 분석 (A Concept Analysis on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Using the Hybrid Model)

  • 손해경;김효진;김동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4-36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fine and clarify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Methods: This study used a hybrid model to analyze the concept of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through three phases. For the theoretical phase, learning transfer attributes were identified through a scoping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work phase,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velop attributes. Purposive sampling was performed with ten participants(five nursing students, two nurses, three nursing faculty members). In the analysis phase, the attributes and final analysis of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were extracted and integrated from the previous two phas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learning transfer was represented in two dimensions with eight attribut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dimension had three attributes: 1) theory acquisition, nursing skills, professional attitude, 2) integration, and 3) analysis competency. The competency change dimension had five attributes: 1) appropriateness in patient care, 2) proficiency in patient care, 3) satisfaction, 4) achievement, and 5) confidence. Conclusion: The concept analysis might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learning transfer, a development framework toward a measurement of nursing learning transfer and effective educational nursing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