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6.01
  • Accepted : 2015.07.10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117 fieldwork supervisor and 104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58 domestic hospitals were chos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0.0 statistics package for Window which determin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and rang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ieldwork supervisor considered that basic refinement and manners are most important when they evaluate student. Seco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responded that importance is 10 points, conduction is 7 points, and satisfaction is 6 points in general job. Third, importance of fieldwork supervisor for the job were problem identification and established intervention plan in intervention plan appears over the first 2 above. But, conduction of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job were evaluation in all 4 of the top 5 except 2 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irection guidance of fieldwork to the solve difficulty of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해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58개의 의료기관에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117명의 작업치료사와 신입 작업치료사 1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실습 지도자는 실습생을 평가할 때 기본적인 소양과 매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신입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직무에서 중요도는 10점, 수행도는 7점, 만족도는 6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중요도는 중재계획의 문제 확인과 치료계획 수립이 1위와 2위로 나타났지만, 신입 작업치료사의 수행도는 2위를 제외한 5위 내의 4개가 모두 평가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작업치료사가 겪는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상실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 Jung, S. Sainsbury, R. M. Grum, S. Wilkins, and J. Tryssenaar, "Collaborative Fieldwork Education with Student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tudent Occupational Therapist Assistants," Can. J. Occup. Ther, No.69, pp.95-103, 2002. https://doi.org/10.1177/000841740206900205
  2. J. T. Cavanaugh and S. K. Cohe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erson-centered Healthcare Communication Skills: An Interprofessional Shared Learning Model," J. Prev. Assess. Rehabil, No.41, pp.293-301, 2012.
  3. D. M. Costa and A. Burkhardt, "The Purpose and Value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Education," Am. J. Occup. Ther, Vol.57, No.6, p.644, 2003. https://doi.org/10.5014/ajot.57.6.644
  4. 한국작업치료교육인증위원회, 한국작업치료교육 인증위원회 인증심사지침서, 2014.
  5. 이미자, 김경미, 이재신, 이택영, 강대혁, 이경식, 유은영, "작업치료 교육에 있어서 임상실습교육 현황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05-117, 2004.
  6. 이향숙, 장기연, 우희순, 윤여용,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2권, 제3호, pp.37-56, 2014.
  7. 이재신, 전병진, 김수경, 장기연, 정민예, 유은영, 백영림, 함보현, "신입 작업치료사의 국가시험 실기과목 점수와 직무능력의 상관성",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81-93, 2013.
  8. 김경미, 이재신,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과목과 직무와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09-118, 2002.
  9. 홍은경, 김경미,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9-42, 2012.
  10. 강영한, 박종삼,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223-2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223
  11. 구인순, 정민예, 유은영, 박지혁, 이재신, 이향숙,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37-149, 2015.
  12. 이향숙, 송영진, 이미영, 우희순, 김지현, 차유진, 권이영, 윤여용, 박지은, 정준식, "작업치료 임상 용어체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작업치료 의무기록 시스템 현황 및 용어체계 표준화 요구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2권, 제4호, pp.121-133, 2014.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4.10
  13. 정민예, 이재신, 유은영, 김정란, 박혜연, 유인규,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과목개선 실행방안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11-124, 2008.
  14. 이택영, 강대혁, "현행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63-170, 2002.
  15. 이향숙, 장기연, 정민예, 구인순, 우희순, "2013년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2권, 제2호, pp.89-112, 2014.
  16. 이향숙,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14, 2011.
  17. 용준환, 최혜숙, 정원미, 이지연, 박혜연, 조범영, 이미영, 이지영, 홍승표, "DACUM 기법을 통한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97-109, 2011.
  18. 이향숙, 정민예, 정보인, 유은영, 박수현, 강대혁,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조사 및 직무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21, 2010.
  19. 김진경, 강대혁,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pp.91-103, 2004.
  20. 김진경, 박소연, 이택영, 강대혁,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습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69-82, 2004.
  21. 송지호, 김미원, "간호학 임상실습교육 실태 조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51-26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51
  22. 안성자, 안소윤, "물리치료 임상실습 교육의 현황과 인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제19권, 제2호, pp.43-53, 2012.
  23. http://www.kuksiwon.or.kr
  24. 정민예, 차유진, "국내 작업치료 인력 현황 및 수급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13-127, 2009.
  25. R. Lysaght and J. Wright, "Professional Strategies in Work-related Practice: An Exploration of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y Roles and Approaches," Am. J. Occup. Ther, No.59, pp.207-217, 2005.
  26. 김금이, 이보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885-89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85
  27. C. H. Hsieh, K. Putman, D. Nichols, M. E. McGinty, G. DeJong, R. J. Smout, and S. Hor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In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The Contribution of Therapy Extenders," Am. J. Phys. Med. Rehabil, Vol.89, No.11, pp.887-898, 2010. https://doi.org/10.1097/PHM.0b013e3181f70fb1
  28. C. R. Johnson, K. P. Koenig, C. V. Piersol, S. E. Santalucia, and W. Wachter-Schutz, "Level I Fieldwork Today: A Study of Contexts and Perceptions," Am. J. Occup. Ther, Vol.60, No.3, pp.275-287, 2006. https://doi.org/10.5014/ajot.60.3.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