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thinking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8초

환경심리 측면에서 본 불교의 대상인식(I) -개념설정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Cognition of Buddhism in the View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I) -Formation of Concept-)

  • 김태경;최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32
    • /
    • 1992
  •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gnition on accordance with the oriental(especially Buddhism) process of thinking. The Yeongiron(theroy : one of th most famous philosophy of Buddhism, the theory of cause and occasion) consists of the upgam-yeongi, the aroeyasik-yeongi, the chinyeo-yeongi and the pupkye-yeongi. And the concept of these theory are as follows: The conceptural elements of upgam-yeongi consist of sack(色), soo(受), sand(想), hand(行), sik(識). The elements connects with the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such as sack and objects, soo and stimuli, sand and perception, hand and cognition, sik and behavior. Similarly, aroeyasik-yeongi that consist of sangbun(相分), kyunbun(見分), chajungbun(自證分), chungjajungbun(證自證分) connects with objects, perception, cognition, behavior too. The chinyeo-yeongi divide into smase(三細) and yukchu(육추), the samse consist of mumyungupsang(無 明業相), nungyunsand(能見相), kyungyesand(境界相) and the yukchu consist of chisang(智相), sangsoksang(相續相), chipchisang(執取相), kyemyungjasang(計明字相), kiupsang(起業相), upgyegosang(業繫苦相). These elements are relates with the concept of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from objects to behavior too. Pupkye-yeongi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objects itself rather than a process of environmental cogniti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the religion and scientific methods should be compare. sack(色) : an elements of it's derivation, all kinds of material soo(受) : a function of reception, feeling sang(想) : a representation of a thought in the mind hang(行) : mental operation sik(識) : a function of judgement sangbun(相分) : the thing in itself kyunbun(見分) : a reflection in the mind chajungbun(自證分) : confirmation of kyunbun chungjajungbyn(證自證分) : self-consciousness through self-examination mumyungupsang(無明業相) : a state of mixture with the object and the subject nungyunsang(能見相) : an operation of the subject kyungyesang(境界相) : a formation of object chisang(智相) : the beginning of distinction sangsoksang(相續相) : a judgement chipchisang(執取相) : a rsponse kiupsang(起業相) : have a influence to the next behavior upgyegosang(業界苦相) : retribution

  • PDF

수학올림피아드 유형의 다변화 방안 (A Scheme to Diversify of Mathematics Olympiads Types)

  • 남승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3-83
    • /
    • 2009
  • 수학경시 대회는 수학분야에 남다른 재능을 가진 학생을 확인하고 인정을 해 주며, 수학에 대한 흥미와 도전 의식을 자극하는 과정에서 수학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키고, 자기 반성을 통한 학습의욕을 자극하며, 수학적 재능을 개발 촉진시키는 데 있다. 올림피아드를 통하여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접해 봄으로써 수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논리력 및 추론력 등 수학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그리고 학부모들은 학교수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으며, 자녀의 수학적 능력 및 지도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올림피아드 유형은 다양성이 지원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올림피아드 유형은 문제풀이 중심의 단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수학의 대중화와 올림피아드 다변화 방안의 하나로 문제의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력 대회, 수학 탐구형 대회, 과제해결력 대회, 수학 박람회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라이트의 주택에 나타난 대지와 하늘의 인식에 관한 연구 (Frank Lloyd Wright's Houses in relation to the Earth and the Sky)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8
    • /
    • 2016
  • Frank Lloyd Wright(1867-1959) had the confident concept that architecture should be at home in nature. His architecture was meant to bear an intimate relation to the earth and the sky, and should look as though it began there at the ground and contrasted with the sky. In handling all the details of house design elements, his efforts for being married to the ground was to conceive the void of the sky. This study is to research his thinking process and its development to the earth and the sky, and to analyze how such thought could reflect his houses. The mass of house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the foundation or base, body, and roof. These parts are respectively related to the earth and the sky. This study goes on regarding them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Prairie hou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Usonian houses after 1930's.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earlier foundation as a platform appeared as a base and water table, and a strong baseline pressed the structures into the soil in the Prairie houses. The direct contact of wood and brick to ground were dominant details after Wiley house(1934). The base was almost invisible to the eye in the Usonian houses. Secondly, the pierlike shapes and delicate friezes of walls were anchored to the ground, and horizontal bands as trims or copings also got close to the earth. These characters had disappeared after the Allen house(1917), all components including exterior walls had been unified with the grid patterns in the Usonian houses. Thirdly, the overhanging cantilever roof had got to the earthbound by the reflection of shadow as well as their evident horizontal. He lowered the roof, lengthened and brought it closer to the ground. In this way, Frank Lloyd Wright intended his houses to be at home in nature. And also he tried to bind the houses to the earth and contrasted them with the sky. The houses would perform their highest function in relation to the earth and sky.

고등학생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ction Competence on Climate Change within High School Students)

  • 백성희;신현정;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33-54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과 두 차례의 조사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고, 본조사는 전국의 고등학생 1~2학년 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 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검사도구는 7가지 영역의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분 내외이다. 이 검사도구의 영역별 구성은 기후변화 관련 지식, 기후변화 감수성, 성찰능력, 통합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의지이다. 이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의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있으며, Cronbach-α 값은 전체 0.953, 하위요소의 경우 0.786~0.862의 범위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The Experiences of Virtual Reality-based Simulation in Nursing Students)

  • 이순희;정승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기술적 질적 연구이다.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성인간호학 I, II'를 수강하면서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시행한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생들이 익명으로 작성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주제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으며, 5개의 주제범주는 "필요한 간호역량을 깨달음", "지식이 확장됨", "심리적으로 안전함을 느낌", "문제 중심으로 사고함", "만족감을 얻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상현실 온라인 실습이 안전한 실습 환경에서 사고와 지식을 확장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가상현실 실습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SW·AI 요소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f SW·AI elements of Prim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17-32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학교 국어, 사회, 도덕, 수학, 과학 교과서 총 44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SW·AI 요소와 CT 요소의 반영 정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CT 요소인 자료수집, 자료분석, 자료표현 활동이 대부분이었으며, SW·AI 내용요소중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요소는 반영되지 않았고, CT 요소중 추상화, 자동화, 일반화 요소도 없었다. 그러므로 초등 교과에서 SW·AI 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ICT 활용 활동을 SW·AI 활용 활동으로 확대하고,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SW·AI 융합교육의 이해와 SW·AI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내실 있는 SW·AI 교육을 위해 정보교과 신설 및 별도 시수 확보가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학과 캡스톤 디자인 기반의 임상치위생학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Qualitative evalu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Capstone Design in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 최용금;전현선;박향아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8
    • /
    • 2021
  •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Capstone Design was applied to the clinical dental hygiene course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its effect was confirmed by qualitatively evaluating the students' reflection on the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linical Dental Hygiene and Practice III" course, in which third year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judge and plan dental hygiene based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By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within the core curriculum of the class, the students analyzed problems based on their major knowledge of dental hygiene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y to manipulate periodontal instruments, and focused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ntents of periodontal instruments by using them. Results: The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on clinical dental hygiene and practice III classes increased studen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through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udents' learning and confidence improved. Conclusion: The Capstone Design can be viewed as a teaching method that promotes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can effectively help their learning and confidence through a problem-solving process.

실제 수업 및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lass and learning community)

  • 정혜윤;서유민;한주호;서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79-30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 및 수업 전후 진행된 학습공동체 회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징의 변화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초등 예비교사와 연구진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분석 자료로 초등 예비교사의 실제 수업과 학습공동체 사전, 사후회의 과정 전체에 대한 녹화 및 녹음 자료와 이들에 대한 전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일지와 사후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학생의 학습지 등이 수집되었으며, 분석 방법으로 해석적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의 특징이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의 각 요소에서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학습공동체가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주의 기울이기 대상이 과제 결과물에서 학생의 통계적 사고로 변화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해석하기가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근거의 다양성과 구체성이 갖추어진 상태로 변화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의 반응 결정하기가 생산적이지 못한 반응 결정하기에서 생산적인 반응 결정하기로 변화하였다.

일개 대학 시나리오 기반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PBL 적용 수업 모듈 개발 및 융합적 적용 경험 (Development of PBL Application Class Module and Convergence Application Experience in one university Scenario-based Adult Nursing Simulation Training)

  • 정영희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3-41
    • /
    • 2023
  • 본 연구는 문제 중심학습법(PBL, Problem Based Learning)을 적용한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모듈 개발과 적용 경험 분석을 통해 수업의 질 향상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간호학과 68명 학생에 대해 PBL을 접목한 시뮬레이션 실습 모듈 적용 후 만족도, 타당도, 자아성찰지와 강의 평가 등의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만족도는 5점 중 4.64점으로, '나는 이 수업을 다른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 내용의 타당성 검토 항목에 대해 64.7%~100%로 타당하다고 답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으로부터, '생동감 있는 수업 환경과 관련된 몰입감 증대', '학습자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로 체화된 지식과 술기의 성장', '팀 기반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상호협업 능력 향상', '상황적 위기 대처 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향상', '소규모 밀착 지도에 따른 개인의 이해력 향상'의 5개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 되었다.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추후 지속적인 PBL 학습전략 개발 및 다양한 시나리오 개발이 요구된다.

Research on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Design Implications for Problem Solving Instruction

  • KWON, Suk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93-11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acilitating novice learner to represent the problem. For the purpose, we mainly focused on three aspects of problem solving. First, learner should represent the targeted problem and its solutions for problem solving. Second, from crucial notions of cognitive load theory, learner's mental load should be optimized for problem representation. Third, for optimizing students' mental load, experts may support making their thinking more visible and mapping from their intuition to expert practice. We drew the design principles as follows. First, since providing worked examples for the targeted problem has been considered to minimize analogical errors as well as reduce cognitive load in problem representation at line of problem solving and instructional research, it is needed to elaborate the way of designing. The worked example alternatively corresponds to expert schema that consists of domain knowledge as well as strategies for expert-like problem representation and solution. Thus, it may help learner to represent what the problem is and how to solve it in problem space. Second, principle can be that expert should scaffold learner's self-explanations. Because the students are unable to elicit the rationale from worked example, the expert's triggering scaffold may be critical in that process. The unexplained and incomplete parts of the example should be completed not by expert's scaffold but by themselves. Critical portion of the expert's scaffold is to explain about how to apply and represent the given problem, since students' initial representations may be reached at superficial or passive pattern of example elaboration. Finally, learner's mental model on the designated problem domain should be externalized or visualized for one's reflection as well as expert's scaffolding activities. The visualization helps learner to identify one's partial or incorrect model. The correct model of learner could be constructed by expert's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