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claimed rice field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8초

간척지에서 이앙기 및 수확시기가 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 and Harvest Time on Grain Quality of Rice in Reclaimed Paddy Field)

  • 채제천;정명식;전대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34-539
    • /
    • 2003
  • 이앙기 및 수확시기에 따른 쌀 품질을 식미 관점에서 검토하여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1년 서진벼, 일품벼, 추청벼를 공시하여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에 위치한 농업기반공사 김포간척지에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수량은 이앙시기간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3품종 모두 조기, 보통기재배가 만기재배보다 수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2.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이앙기와 수확시기간 고도의 상호작용이 있어서 발의 단백질 함량이 저하되는 수확시기는 이앙기에 따라 달랐다. 3. 이앙기에 따른 식미값은 서진벼와 일품벼는 조기와 만기재배에서 유의하게 높으나 추청벼는 만기재배에서도 떨어지지 않는 경향이었다. 4. 백미의 식미치는 등숙적산기온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0.43$^{**}$ )이 있어서 적산기온이 높을수록 식미치가 저하하였다. 5. 수량과 품질을 동시에 고려할때 조기 또는 보통기재배를 하되 수확시기는 출수후 40일로 다소 빠르게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수처리수의 관개가 벼의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지역환경 \circled3) (Effect of Reclaimed Sewage Irrigation on Paddy Rice Culture and Yields)

  • 우선호;윤춘경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611-616
    • /
    • 2000
  • Effect of reclaimed sewage on the paddy rice culture was examined by field experiment for two consecutive years. The domestic sewage was treated by the comstructed wetland, and the effluent of the treatment wetland was used for irrigation water. Growth components and yields were compared against the CONTROL plot where conventional fertilization was applied. In general, addition of the reclaimed sewage irrigation which contained high nutrient concentration didn't affect paddy rice culture adversely, and even better growth and more yields were observed. Overall, reclaimed sewage irrigation was thought to be one of practical alternatives for irrigation water.

  • PDF

Characteristics of TN and TP in Runoff from Reclaimed Paddy Field of Fine Sandy Loam

  • Lee, Kyung-Do;Hong, Suk-Young;Kim, Yi-Hyun;Na, Sang-Il;Lee, Kyeong-B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17-42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unoff from rice paddy located on reclaimed fine sandy loam soil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protect water quality of estuaries. Total N (TN), Total P (TP) concentrations and runoff loads at outlet were monitored from 2006 to 2008. Soil phosphate adsorptiv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ypical paddy soil in watersheds. TP concentration of the paddy water and TP runoff load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of typical paddy field in watershed because phosphate adsoptivity in reclaimed paddy field of fine sandy loam appeared to be a third of those of typical paddy soils by relatively low soil OM and high sand content of the reclaimed soil. Thus, nutrient runoff, particularly phosphate from the reclaimed paddy field needs to be managed more thoroughly to protect estuarine water quality.

호남평야지 숙답과 간척답의 수량 및 미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Mature and Reclaimed Paddy Fields in Honam Plain Area)

  • 정진일;이선용;김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82-390
    • /
    • 1995
  • 우리나라 서남부평야지의 숙답과 간척답간 미질의 변이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 표준 재배법에 따라 재배한 동률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과 미질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간척지에서는 지역간 변이폭이 1~2cm였으나 숙답에서는 4~5cm로 컸으며, m$^2$당 수수는 숙답에 비하여 간척답에서 많았으나, m$^2$당 수수, 등숙비율 및 천입중은 간척답에 비하여숙답에서 많거나 높은 편이었다. 2. 쌀수량은 숙답평균(511kg/10a)에 비하여 간척답이 12%정도 감수경향이었고, 숙답에서는 대전(511kg/10a)이, 간척답에서는 영암(530kg/10a)이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3. 현미 완전입율은 숙답의 쌀이 놓았고 미숙입과 피해입은 간척지 쌀이 많아, 외관상 미질은 숙답의 쌀이 우수한 경향이었다. 4. 전분함량과 알칼리 붕괴도는 숙답미에 미하여 간척답미가 높았고, 단백질과 지방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간척미가 낮았다. 5. 간척답미가 숙답미에 비하여 Ca, Mg,Na 및 K등 무기성분 함량이 높았고 Mg/K 및 Na/K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6. 호화개시온도는 지역간 및 숙답과 간척답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정도는 대체로 간척답미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외관상 쌀품질은 숙답미에 비하여 간척답쌀이 떨어지는 편이었으나 식미는 약간 우수한 경향이었다.

  • PDF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농도별 적정 파종량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박홍규;남정권;박광근;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47-51
    • /
    • 2006
  •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분농도별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2003{\sim}2004$년에 걸쳐 호남 농업 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인 문포통(세사양토)의 저영답(토양 염농도 0.1%)과 중염답(토양 염농도 0.3%)에서 서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별 입모수, 생육, 수량 및 백미 외관 품위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는 중염답보다 저염답에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다. 2. 간장과 수장은 중염답이 저염답보다 파종량이 증가할 수록 짧았으며, 도복은 토양염농도에 상관없이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심했다. 3. 완전미 수량은 저염답에서는 파종량 5 kg/10a까지, 중염답에서는 파종량 7 kg/10a까지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파종량에 서는 수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4. 백미의 외관상 품위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저염답보다 중염답에서 완전미율이 낮았다. 5. 따라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입모, 벼 생육, 완전미 수량 및 백미의 외관상 품위 등을 고려할 때 적정 파종량은 저염답은 $5{\sim}7kg/10a$, 중염답은 $7{\sim}9kg/10a$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담수심과 오수처리수 관개가 벼재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nded-Water Depth and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Paddy Rice Culture)

  • 윤춘경;황하선;정광욱;전지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5-65
    • /
    • 2003
  •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nded-water depth and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paddy rice culture. For the ponded-water depth effect, three treatments of shallow, traditional, and deep water depths were applied, and each treatment was triplicated. The irrigation water for the treatment pots was an effluent from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while the control pot was irrigated with tap water kept traditional ponded-water depth. Irrigation water quantity varied with ponded-water depth as expected and drainage water quantity also varied similarly, which implies that shallow irrigation might save irrigation water and als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on downstream water quality. Rice growth and production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onded-water depth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stead there was an indication of increased production in shallow and deep ponded-water depth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practice. Raising drainage outlet to the adequate height in paddy dike might be beneficial to save water resources within the paddy field. There was no adverse effect observed in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the rice production, and mean yield was even greater than the control pots with tap water irrigation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Water-saving irrigation by shallow ponded-water depth, raising the outlet height in diked rice paddy fields, minimizing forced surface drainage by well-planned irrigation, and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are suggested to save water and protect water quality. However, deviation from traditional farming practices might affect rice growth in long term, and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commended before full scale application.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Content on Soil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 권병선;백선영;신정식;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2003
  •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간석지 벼 입모율 향상을 위한 건답직파 방법 비교 (Comparison of Dry-Seeding Methods for Improving Rice Seedling Stand on Reclaimed Saline Soil)

  • 이인;성기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0-375
    • /
    • 1996
  • 포승통의 미사질식양토인 간척지에서 벼 건답직파재배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서안벼를 공시하고, 간이온실에서는 시용 및짚의 양과 토양수분조건을 달리 하여 파종심도별 벼의 출아율을 조사하고, 실제 포장 시험에서는 산파후 로타리 복토 유무에 따른 벼의 입모 및 수량성의 차리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볏짚 처리(특히, 4ton, 6ton/ha)가 무처리보다 출아율이 높았다. 2. 헥타르 당 볏짚 4ton을 처리하고 파종심도가 얕을수록 출아율이 높았으며 초장도 현저히 커졌다. 3. 토양수분의 적습조건은 과습조건보다 출아율이 높았으며, 초장은 적습조건에서 파종심도가 얕을수록 커졌다. 4. 산파후 로타리 복토유무별 입모수는 로타리무복토(73개 /m$^2$)가 로타리복토(44개 /m$^2$)보다 많았다. 5. m$^2$ 당 수수는 로타리무복토가 로타리복토보다 많았고, 수량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재처리수 관개후 지표미생물의 농도변화 조사 (Investiga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after Reclaimed Water Irrigation in Paddy Rice Pots)

  • 정광욱;윤춘경;장재호;김형철;전지홍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4호
    • /
    • pp.75-85
    • /
    • 2005
  • A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claimed-water irrigation on microorganism con-centration in ponded-water of paddy rice plots. Several treatments were used and each one was triplicated to evaluate the change of indicator microorganisms (total coliforms (TC), fecal coliforms FC), and E. coli) concentrations in 2003 and 2004 growing seasons. Their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irrigation, but decreased about $45\%$ in 24 hours. It implies that agricultural activities such as plowing and fertilizing should be practiced one or two days after irrigation considering health-risks. Treatments with UV-disinfected water irrig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s than others including control plots where natural surface water was irrigated. The monitoring results from actual paddy rice fields and experimental paddy plots showed that concentrations of indicator microorganisms ranged from $10^2\;to\;10^5$ MPN/100mL.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existing agricultural practices and a thorough monitoring in the field as well as treatment-plots are recommended to make more realistic national guidelines more applicable. UV-disinfected water irrigation reduced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in paddy fields down to below the concentration of conventional paddy rice culture, and is thought to be an effective and feasible measure fur agricultural reuse of secondary effluent.

간척지에서 수도 및 기타작물의 내염성에 관한 연구 6. 염분간척지에서 직파법과 이앙법에 의한 수도생육의 비교 (Study on the Salt Tolerance of Rice and Other Crops in Reclaimed Soil Areas. 6. The Comparison of Growth in the Direct Sowing and Transplanting of Rice Culture in the Reclaimed Salty Areas)

  • 임형빈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1-12
    • /
    • 1970
  • The Nongkwang variety was sown directly in the field by the three methods of dibbling, drill seeding and broad-casting in non-, low- and high-salty areas, and compared with the growth of transplanted rice in each areas. The yield of rough rice was increased remarkably by direct sowing when compared with that produced by transplanting inboth salty areas, but in non-salty area, the forme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ields of rough rice resulting from three seedling methods of direct sowing in each area. The direct sowing method was predominated in number of panicle, weight of panicle, ratio of matured grains, milling recovery percentage, and straw weight in both salty areas, and dicreased in panicle weight and ratio of matured grain in nonsalty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