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 carcinoma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초

항암화학치료 후 발생한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 1예 (A Case of Syndrome of Inappropriate Secretion of Antidiuretic Hormone Following Chemotherapy in a Patient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 이경주;문재영;이승룡;이상엽;김제형;신철;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324-328
    • /
    • 2009
  • 상기 환자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고 carboplatin과 gemcitabine의 전신적 항암치료 후에 전신 쇠약 동반한 저나트륨혈증으로 병원에 내원하여 SIADH로 진단받고 carboplatin 약제 중단 후 호전되었다. 이러한 항암제 투여 후에 유발된 SIADH는 여러 가지 원인과의 감별을 요하며, carboplatin에 의해 유발된 SIADH의 보고는 드물기에 증례로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암환자(癌患子)의 복수(腹水) 및 늑막액(肋膜液)이 마우스의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에 대(對)한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scitic and Pleural Fluids from the Cancer Patients on the Immune Responses of Mice to Sheep Red Blood Cells)

  • 정을삼;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97
    • /
    • 1979
  • 암환자(癌患者)에서 세포성면역반응(細胞性免疫反應)이 대체적(大體的)으로 억제(抑制)되었다는 사실(事實)은 여러 항원(抗原)에 대(對)한 피부반응(皮膚反應)의 감소(減少), 임파구(淋巴球)의 mitogen에 대(對)한 임파아구형성반응저하(淋巴芽球形成反應低下) 및 임파구(淋巴球)와 면양적혈구(緬羊赤血球)(SRBC)와의 자연로젤형성(自然로젤形成)의 감소(減少) 등에 의(依)하여 구명(究明)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現象)에 대(對)한 기전(機轉)의 설명(說明)은 많은 연구(硏究)에도 불구(不句)하고 아직 미흡(未洽)하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저자(著者)는 간암(肝癌) 및 폐암환자(肺癌患者)로부터 무균적(無菌的)으로 채취(採取)한 복수(腹水) 및 늑막액(肋膜液)을 마우스에 SRBC로 면역(免疫)하기 2일전(日前), 항원조사(抗原注射)와 동시(同時) 또는 항원주사(抗原注射) 2일(日)에 투여(投與)하여 마우스의 SRBC에 대(對)한 세포성(細胞性) 및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結果) SRBC로 면역(免疫)하기 전(前)에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비(比)하여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인데 비(比)하여,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을 SRBC와 동시(同時) 및 항원주사(抗原注射) 후(後)에 투여(投與)받은 마우스군(群)의 면역반응(免疫反應)은 대조군(對照群)의 그것과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따라서 이상(以上)의 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는 암성삼출액(癌性渗出液)이 면역억제인자(免疫抑制因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억제인자(抑制因子)는 면역계(免疫系)의 afferent arc을 억제(抑制)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한 증거(證據)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객혈환자의 외과적 처치에 대한 임상적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Surgical Treatment for Hemoptysis Patients)

  • 이성주;문승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097-1104
    • /
    • 1997
  • 객혈은 항상 환자들에게는 두려운 경험이고 담당 의사에게는 고심거리가 되고 있는데 이는 객혈 자체가 심각한 질환의 징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한 출혈이 있을 때에는 폐결핵이나 기관지확장 증 또는 폐암의 가능성을 즉시 생각해 보아야 하겠지만,오늘날 진보된 진단방법으로 인해 객혈환자의 감별 진단이 가능해 졌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6년간 서을 위생병원 흉부외과에서 객혈로 인해 응급 개흉술을 시행받은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환자의 연령은 19세부터 68세까지로 평균연령은 36.6세였고 가장 호발한 연령층은 30대 였다. 객혈유발의 가장 흔한 질환은 결착(44%)이었고, 병소부위를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던 검사는 객혈시의 기관지경 검사로 95%의 환자에서 병소부위를 밝힐 수 있었으며, 우중엽 및 하엽(17.3%)이 가장 흔한 병소 부위였다. 가장 많이 선택된 수술 방법은 폐엽절제술(50%)이었으며, 객혈의 재발(31.6%)이 가장 흔한 술후 합병증이었다. 수술후 환자의 예후는 82.6%에서 완전회복을 보였다. 저자들은 위의 결과를 통하여 객혈환자의 적절한 치료는 정확한 진단, 약물 보조치료와 더불어 외과적 치 료방법으로 완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MicroRNA-23a: A Novel Serum Based Diagnostic Biomarker for Lung Adenocarcinoma

  • Lee, Yu-Mi;Cho, Hyun-Jung;Lee, Soo-Young;Yun, Seong-Cheol;Kim, Ji-Hye;Lee, Shin-Yup;Kwon, Sun-Jung;Choi, Eu-Gene;Na, Moon-Jun;Kang, Jae-Ku;Son, Ji-Wo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1호
    • /
    • pp.8-14
    • /
    • 2011
  • Background: MicroRNAs (miRNAs) have demonstrated their potential as biomarkers for lung cancer diagnosis. In recent years, miRNAs have been found in body fluids such as serum, plasma, urine and saliva. Circulating miRNAs are highly stable and resistant to RNase activity along with, extreme pH and temperatures in serum and plasm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rum miRNA profiles that can be used as a diagnostic biomarker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We compared the expression profile of miRNAs in the plasma of patients diagnosed with lung cancer using an miRNA microarray. The data from this assay were valid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Results: Six miRNAs were overexpressed and three miRNAs were underexpressed in both tissue and serum from squamous cell carcinoma (SCC) patients. Sixteen miRNAs were overexpressed and twenty two miRNAs were underexpressed in both tissue and serum from adenocarcinoma (AC) patients. Of the four miRNAs chosen for qRT-PCR analysis, the expression of miR-23a was consistent with microarray results from AC patient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es were done and revealed that the level of serum miR-23a was a potential marker for discriminating AC patients from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Conclusion: Although a small number of patie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from our study suggest that serum miR-23a can be used in the diagnosis of AC.

체외순환을 이용한 흉부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수술 (Surgical Treatment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Acute Dissection of Descending Thoracic Aorta)

  • 최종범;정해동;양현웅;이삼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81-487
    • /
    • 1998
  • 하행대동맥의 급성박리에 대한 외과적 치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병변이 수술적응이 될 경우 대동맥 차단시간은 30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므로 척수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대동맥 차단부위 하방에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저자들은 파열(혈흉) 및 쇼크의 합병증을 동반한 하행 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8예를 체외순환법을 이용하여 수술하고 그 방법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찾고자 하였다. 체외순환방법에 있어서는 대동맥병변의 상하에 2개의 동맥카뉼라를 넣어 대동맥 차단으로 수술 도중 상하체의 혈류공급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산화기로 정맥혈의 환류를 위해 우심방이나 좌대퇴정맥에 정맥관을 삽입하였다. 비교적 장시간의 대동맥 차단에도 불구하고 수술후 8예 모두에서 척수손상은 없었다. 2예(25%)의 병원사망(각각 술후 31일과 41일)은 비교적 고령에서 지연성 합병증인 폐농양, 호흡부전증 등에 의해 발생했다. 주위조직의 부종 및 연약함 때문에 수술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급성 하행동맥 박리증에서 체외 순환방법하의 인공혈관 대치술은 대동맥 차단시간의 연장에 의한 척수 허혈손상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외과적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hibits MUC5AC Expression by Smad3/HDAC2 Complex Formation and NF-κB Deacetylation at K310 in NCI-H292 Cells

  • Lee, Su Ui;Kim, Mun-Ock;Kang, Myung-Ji;Oh, Eun Sol;Ro, Hyunju;Lee, Ro Woon;Song, Yu Na;Jung, Sunin;Lee, Jae-Won;Lee, Soo Yun;Bae, Taeyeol;Hong, Sung-Tae;Kim, Tae-D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1호
    • /
    • pp.38-49
    • /
    • 2021
  • Airway mucus secretion is an essential innate immune response for host protection. However, overproduction and hypersecretion of mucus, mainly composed of the gel-forming MUC5AC protei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atients with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signaling pathway negatively regulates MUC5AC expression; however,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is not fully understood. Here, we showed that TGFβ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ression of MUC5AC mRNA and its protein in NCI-H292 cells, a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 This reduced MUC5AC expression was restored by a TGFβ receptor inhibitor (SB431542), but not by the inhibition of NF-κB (BAY11-7082 or Triptolide) or PI3K (LY294002) activities. TGFβ-activated Smad3 dose-dependently bound to MUC5AC promoter. Notably, TGFβ-activated Smad3 recruited HDAC2 and facilitated nuclear translocation of HDAC2, thereby inducing the deacetylation of NF-κB at K310, which is essential for a reduction in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Both TGFβ-induced nuclear translocation of Smad3/HDAC2 and deacetylation of NF-κB at K310 were suppressed by a Smad3 inhibitor (SIS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GFβ-activated Smad3/HDAC2 complex is an essential negative regulator for MUC5AC expression and an epigenetic regulator for NF-κB acetyl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modulation of the TGFβ1/Smad3/HDAC2/NF-κB pathway axis can be a promising way to improve lung function as a treatment strategy for asthma and COPD.

위릉채 추출물 및 생물전환 분획물의 만성호흡기 질환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Potentillae Chinensis Chinensis Herba extract and bioconversion fraction on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 김동희;김보애;강윤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54-1463
    • /
    • 2023
  • Potentillae Chinensis Herba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를 위해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양이온 라디칼 활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세포 실험에서 항염증 평가를 위해 호흡기 점막 상피세포 NCI,H292와 RAW264.7 세포 대상으로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양이온 라디칼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MTT 분석 결과, 각 농도 100 ㎍/ml로 처리한 경우 NCI-H292 세포의 생존율이 70%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이후 실험은 50 ㎍/ml로 진행하였다. 항염증 효능 평가에서는 NO생성, TNF-𝛼, IL-1𝛽, PGE2가 감소하였고, COX-2도 50 ㎍/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otentillae Chinensis Herba 추출물과 생물전환 추출물의 뮤신 단백질 발현은 MUC5AC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Potentillae Chinensis Herba의 호흡기 점액 단백질 발현을 도와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Risk Factor Analysis of Morbidity and 90-Day Mortality of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Stage IIIA-N2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Induction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 Ga Hee Jeong;Junghee Lee;Yeong Jeong Jeon;Seong Yong Park;Hong Kwan Kim;Yong Soo Choi;Jhingook Kim;Young Mog Shim;Jong Ho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4호
    • /
    • pp.351-359
    • /
    • 2024
  • Background: Major pulmonary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nCCRT) is associated with a substantial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suitable surgical candidates following nCCRT in stage IIIA-N2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linical stage IIIA-N2 NSCLC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llowing nCCRT between 1997 and 2013. Peri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analyzed using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574 patients underwent major lung resection after induction CCRT. Thirty-day and 90-day postoperative mortality occurred in 8 patients (1.4%) and 41 patients (7.1%), respectively.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6, 4.5%) was the primary cause of in-hospital mortality. Morbidity occurred in 199 patients (34.7%). Multivariable analysis identified significant predictors of morbidity, including patient age exceeding 70 years (odds ratio [OR], 1.8; p=0.04), low body mass index (OR, 2.6; p=0.02), and pneumonectomy (OR, 1.8; p=0.03). Patient age over 70 years (OR, 1.8; p=0.02) and pneumonectomy (OR, 3.26; p<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urgical outcomes following nCCRT are less favorable for individuals aged over 70 years or those undergoing pneumonectomy. Special attention is warranted for these patients due to their heightened risk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In high-risk patients, such as elderly patients with decreased lung functio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s like definitive CCRT should be considered instead of surgical resection.

동백엽차와 화차의 세포독성 및 다제내성 극복효과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Tea Extracts)

  • 황은주;차영주;박민희;이장원;이숙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87-493
    • /
    • 2004
  • 동백나무의 생엽과 생화, 그리고 이를 재료로 제다한 단일 동백엽차$.$화차 및 혼합 동백차의 세포독성과 다제 내성 극복을 규명하기 위하여, 4종의 인간암세포(MCF-7, Calu-5, SNU-601, AML-2/WT)와 1종의 다제내성 세포주(AML-2/ D100)를 이용하여 MTT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동백의 어린엽 추출물은 Calu-6($IC_{50}$/: 79.8 $\mu\textrm{g}$/mL), SNU-601($IC_{50}$/: 39.0 $\mu\textrm{g}$/mL)에 대해 성엽과 꽃에 비해 세포독성 효과가 높았다. 단일 동백엽 차중, 찐차는 덜음차나 차차에 비해 상당한 생육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혼합 동백 차의 경우, Cahemix보다는 Catemix추출물이 MCF-7, Calu-6에 대한 $IC_{50}$/: 100 $\mu\textrm{g}$/mL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 억제 및 사멸 효과가 현저히 상승됨을 보여주었다. 특히 Catemix-2를 첨가하였을 때 MCF-7과 Calu-6 암세포에서 $IC_{50}$/값이 각각 75.3과 74.6으로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에 대하여 감수성 세포인 AML-2/WT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감수성 세포에 비하여 내성 세포에 대하여 선택적 세포독성 여부를 관찰한 결과, 대체적으로 $IC_{50}$/의 차이가 없거나 내성세포의 $IC_{50}$/이 높게 나타내어 그다지 선택적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혼합 동백차의 경우, 내성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독성은 Catemix-2(녹차와 동백엽의 덜음차의 혼합)와 Catemix-3(녹차와 동백화차의 혼합)에서 0.9로 다소 효과를 보였으며, 내성 극복 효과는 Cahemix-1(CR: 1.7)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식도암 환자의 병기 결정 -전산화단층촬영술(CT)과의 비교-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Comparing to Computed Tomography)

  • 심영목;박승준;김병태;김성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88-393
    • /
    • 1999
  • 배경: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수술전 병기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절제 가능성을 알기 위해서 흉부 단층 촬영과 내시경등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어떤 검사도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식도암 환자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0월까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상 식도 편평 상피암으로 확진된 20명(남 19명, 여 1명, 평균연령 61세)의 환자에서 림프절절제를 포함한 근치적 절제를 시행한 후, 수술전 [F-18]FDG-PET 및 CT 소견과 수술 후 조직 병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원발 종양 진단에 대한 PET와 CT의 민감도는 90%로 동일하였다. PET와 CT 모두 1 cm 크기의 상피내암종 1예와 T1 병기의 종양 1예에 대하여 위음성을 보였다. 총193개의 절제된 림프절군에 대한 병리 조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PET와 C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chi$2 p < 0.005)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PET 55.6%(30/54) 97.1%(135/139) 85.5%(165/193) CT 13.0%(7/54) 98.6%(137/139) 74.6%(144/193) PET에서 위양성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명중 1명의 환자는 활동성 폐결핵을 동반한 환자였으며, PET에서 위음성을 보였던 24개의 림프절군중 14개는 감쇠보정을 실시하지 않은 부위에, 5개는 원발 종양과 근접한 부위에 있었다. 결론: PET에서 위양성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명중 1명의 환자는 활동성 폐결핵을 동반한 환자였으며, PET에서 위음성을 보였던 24개의 림프절군중 14개는 감쇠보정을 실시하지 않은 부위에, 5개는 원발 종양과 근접한 부위에 있었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F-18]FDG-PET는 식도암의 림프절 전이 및 병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CT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