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forest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 Jiyoon YANG;Myungsun YANG;Yeonjung HAN;Myungkil KIM;Won Joung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555-568
    • /
    • 2023
  •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were establish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prepare a diffusion plan of wood culture and wood utiliz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Standardization of wood culture', 'Valuation of wood culture', and 'Habituation of wood culture' were set as three major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priorities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order: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for each age group for rational and efficient use of eco-friendly wood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wood education standard guidelines linked to the curriculum', 'Preparation of scientific basis data on human compatibility and eco-friendliness of woo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wood and wood products',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and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designation as a model school'.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n public attitudes through publicity, and expanding opportunities to use wood and wood products were necessary for wood culture diff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rive the diffusion strategies of wood culture and establish a roadmap and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to revitalize wood culture.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 김동훈;강병훈;이은지;강희지;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13
    • /
    • 2024
  •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 및 결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산림복지 시설·공간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립자연휴양림, 국립숲체원, 국가숲길, 국립치유의숲 등 4개 시설을 대상으로 범주형 자료분석인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교통수단,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응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숲체원과 치유의숲이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이용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숲길 이용객의 교통수단은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차이점을 보였으며, 숲체원은 공적인 성격의 단체방문 유형과 관련기관 및 시설 홈페이지 및 온라인 포털사이트로부터 정보 습득, 그리고 교육 및 학습·체험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과 연관성을 보이는 등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이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과 결합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대응분석을 통해 산림복지시설 이용객 자료 활용성의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판단된다.

백합나무 판재의 VOCs 및 Aldehydes 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Emission from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 이민;박상범;이상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7-366
    • /
    • 2014
  • 백합나무 판재를 벽판재로 이용하기 위해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알데히드류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VOCs 및 formaldehyde를 포함한 aldehyde류의 방출량 측정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공시된 20 ${\ell}$ Chamber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의 생재 및 건조재에서는 30여 가지 이상의 VOCs가 검출되었다. 백합나무의 Total VOC 구성 비율 가운데 천연VOC (NVOC)의 비율은 11.1%로 다른 침엽수종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백합나무의 aldehyde류 분석 결과, 심재 및 변재에서 같은 3종(acetaldehyde, ketone, propionaldehyde)이 검출되었으며, formaldehyde의 방출량은 $4.01{\mu}g/m^3$ 이하로 나타났다. m-Tolualdehyde의 경우 백합나무 건조재의 심재에서만 $33.6{\mu}g/m^3$의 방출량을 보였으며, 심재와 변재 모두 ketone의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합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는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와 기타 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조한 백합나무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ketone의 방출량이 증가하였다.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by Watershed Unit: Gyeongsangnam-do)

  • 김형호;박영규;노혜정;전준헌;황진영;강현득;박준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73
    • /
    • 2011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로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국 공 사 유림 기능평가의 통합방안, GIS 자료의 문제점 및 구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경상남도의 산림기능의 분포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산림기능평가의 통합방안으로 평가단위를 유역단위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유역구분도 상에서 나타나는 몇몇 오류의 형태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한 GIS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평가에 이용되는 GIS 자료 중 갱신이 필요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나들목 위치도, 인구분포도를 전국단위로 구축하였다. 유역단위로 경상남도 20개 시 군을 대상으로 산림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목재생산기능, 산림휴양기능은 잠재력 '고' 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능에 있어서 잠재력 '저' 가 낮게 나타났다. 각 시 군별 우선순위를 적용한 산림기능도에서는 산림휴양기능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목재생산, 자연환경보전,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면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분석 결과는 전국단위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유림경영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on the Local Community)

  • 윤여창;손철호;이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38-49
    • /
    • 1994
  • 산지의 점유율이 높은 지역중 국유림의 비중이 큰 세 지역을 대상으로 국유림관리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그 영향은 지역사회와 국유림과의 연계 정도, 그리고 해당 국유림이 갖는 경제적 자원의 부존량과 가간시설의 존재여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국유림경영의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는 토지자원제공, 산물공급, 고용기회제공, 사회간접시설제공 등의 측면에 있다. 지역사회내에서 공익사업의 증가로 국유림으로부터의 토지자원제공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국유림의 산물공급은 주로 산림부산물로서 지역주민들의 연간소득중 21.6%가 이러한 국유림의 임산물 생산으로부터 얻어지고 있었다. 국유림내에서 이루어지는 산림작업에 의한 지역사회의 고용기회 창출은 매우 적었고, 국유림내에 시설된 임도는 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의 역할이 미약하였다. 따라서 자원이용의 한계와 낮은 수익성으로 인하여 국가의 투자정책 우선순위에서 소외되었던 국유임 소재 지역사회의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유림을 경영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이용자(利用者)의 특성(特性) 및 이용행태(利用行態) 분석(分析) (II) - 이용자(利用者)의 만족도(滿足度)를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in Recreation Forest (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Users' Satisfaction -)

  • 이창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52-364
    • /
    • 1997
  •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의 자연휴양림 시설의 이용, 자연휴양림 이용에 대한 기대 및 성취도 등을 분석하여 차후 자연휴양림의 조성은 물론 기존의 자연휴양림에 대하여 이용자들이 원하는 바를 더욱 보완하고 보다 질 좋은 자연휴양림을 조성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의 시설물 이용행태와 자연휴양림 이용의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이 휴양림내 시설물 중 화장실, 야영장, 산림욕장 등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시설물은 화장실, 매점, 급수대 등이었다. 자연휴양림의 이용 전에는 아름다운 자연풍경 감상과 피로를 풀고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기대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후의 성취도는 기대도와 마찬가지로 아름다운 자연풍경 감상과 피로를 풀고 휴식을 취하는데 가장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자연휴양림 이용자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설명변수로서, 자연휴양림 시설물의 배치 및 조화 측면에서는 청결 및 보수상태, 시설물의 유지관리, 시설물 주변 이용자들의 소음정도, 시설물 이용의 편리도, 주변의 자연경관 등이 작용하였고, 자연휴양림의 식생상태에 대한 측면에서는 주변식생의 다양도, 녹음의 양, 자연림 보호관리, 식생과 주변과의 조화 등이 만족도 결정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였다. 또한 자연휴양림 시설상태에 대한 측면에서는 휴식시설, 화장실의 이용편리도 및 청결상태, 쓰레기통의 배치상태, 취사장의 이용편리도 등이 작용하였고, 자연휴양림의 운영관리실태에 대한 측면에서는 산림의 보호와 육성, 관리인의 이용자 행락지도, 휴양림에 대한 안내와 홍보수준이 만족도 결정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였다.

  • PDF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당산제 공간의 전통생태경관적 특성 및 의미 고찰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of a Traditional Ecological Landscape as Dangsan Forest and Dangsan Ritual Place in Seoseong-ri, Wando-gun)

  • 최재웅;김동엽;김미희;조록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5-145
    • /
    • 2012
  •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비보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경관(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이며, 국가적문화자산이다. 중국의 feng-shui forest(풍수림, 風水林), 일본의 satoyama(里山), shinto shrine forest(신사림, 神祠林) 등은 '전통생태지식'(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으로서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 일본이 많은 연구 축적과 노력을 통해 유지 관리하고 있는 이러한 전통문화경관은 세계로부터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연결되고 있다. 마을주민들이 수백 년 간 대(代)를 이어 보전 관리해 온 한국의 전통마을숲 특히, 당산숲은 feng-shui forest와 satoyama에 필적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일반 시민들이 당산숲 비보숲이라는 이름과 그 실상을 잘 인식하고, 반드시 보전 관리 활용되어야 할 훌륭한 문화유산으로 간직한다면 중국, 일본의 예와 같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은 마을 위쪽 산이 시작되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류 옆에 위치한 수변림으로서 상록활엽수림과 서어나무 군락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성리 당산숲 공간의 특징은 당산제 후에 샘물, 당산나무 등 10곳에서 지내는 헌식제 공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헌식제를 지내는 10곳 중 2곳은 해안가 쪽에 있는 당산나무로서, 해안 지역에 위치한 전통마을숲의 유형 측면에서 넓게 보면, 당산숲이 두 개 있는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문화유산이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새로운 축조, 파괴, 변형이 허용되어서는 안되고, 거기에 부여된 의미, 가치가 변질되지 않아야 한다는 진정성(authenticity) 측면에서 볼 때, 매년 음력 1월 8일 새벽 4시에 정확하게 시간을 맞추어 산신바위에서의 산신제 및 당집에서 당산제를 지내고, 당산제를 지낸 후 마을의 10곳을 찾아 헌식제를 지내는 완도군 서성리의 당산숲은 물활론(物活論, animism)을 철학적 기반으로 하는 우리나라 당산문화의 원형(原形)을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문화유산의 보전 관리와 관련한 국제적 논의에서 중요시 하는 것이 문화유산 향유권의 지속가능성 여부이다. 그 존재가 부각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는 실정의 서성리 당산숲 공간이 한국 고유 전통생태경관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변형된 당집의 복구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 메커니즘과 당산숲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Prediction of the number of public bicycle rental in Seoul using Boosted Decision Tree Regression Algorithm

  • KIM, Hyun-Jun;KIM, Hyun-Ki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4
    • /
    • 2022
  • The demand for public bicycles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size of the Seoul public bicycle project, which first started with about 5,600 units, increased to 3,7500 units as of September 2021, and the number of members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as the size of the project grows, excessive budget spending and deficit problems are emerging for public bicycle projects, and new bicycles, rental office costs, and bicycle maintenance costs are blamed for the deficit. In this paper, the Azure Machine Learning Studio program and the Boosted Decision Tree Regression technique are used to predict the number of public bicycle rental over environmental factors and time. Predict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public bicycles was high in the season except for winter, and the demand for public bicycles was the highest at 6 p.m. In addition, in this paper compare four additional regression algorithms in addition to the Boosted Decision Tree Regression algorithm to measure algorithm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high accuracy in the order of the First Boosted Decision Tree Regression Algorithm (0.878802), second Decision Forest Regression (0.838232), third Poison Regression (0.62699), and fourth Linear Regression (0.618773). Based on these predictions, it is expected that more public bicycles will be placed at rental stations near public transportation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commuting hours and that more bicycles will be placed in rental stations in summer than winter and the life of bicycles can be extended in winter.

AHP분석을 이용한 산림치유마을 대상지 평가기준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Criteria for a Forest Healing Village Using AHP Method)

  • 김성학;허윤서;서정원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117-127
    • /
    • 2015
  • This study evaluated properties and items for selecting on a forest healing village. In order to assign a weight value-between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primary survey first and then the secondary survey for measuring the importance of items. Experts'surveys were conducted on 3 items on level 1, 9 items on level 2, 35 items on level 3 with use of AHP technique. In level 1, the main analysis result was that physical resource properties(0.387) indicated the highest importance. in level 2, healing resources of physical properties(0.402), community participation of human resource properties(0.425), and business competency in part of vision(-.438)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The analysis result of 35 items on level 3 was that in physical resources properties, securing public land in the village(0.220), possessing recreation space(0.440) and resources available for link with healing(0.413)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part of human resources properties, the average age of residents(0.465), commitment to the promotion of the villagers(0.367) and support of local leaders(0.318)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dequacy of development plan(0.274), forest work experience-related(0.293), and building profit sharing system(0.282) were also evaluated to have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도시숲의 환경거버넌스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지자체 담당자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round Urban forest in Korea : With a Focus on the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 김재현;태유리;장주연;김경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80-589
    • /
    • 2010
  •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 성장과 함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숲은 시민들의 생활환경의 질을 높여주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조성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시숲 조성 관리에 있어 정부, 주민, 기업,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기대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을 둘러싼 환경거버넌스의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행정을 중심으로 앞으로 요구되는 거버넌스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정의 담당자들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도시숲의 조성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의 구성과 지원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이 도시숲 조성 관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