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round Urban forest in Korea : With a Focus on the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도시숲의 환경거버넌스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지자체 담당자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Kim, Jae-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Tae, Yoo-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 Chang, Chu-Yo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 Kim, Kyung-Mok (Urban Forest and Landscape Division, Korea Forest Service)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In Korea, Public demand for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gradually with socioeconomic growth. It is really necessary urban forestry because urban fores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citizen's living environment. There is expected to participate government, citizen, NGOs and the corporate sector in urban forestry.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urban forestry focused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urban forestry officia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rban forestry by partnership. In order to manage urban forest efficiently, the committee must be comprised of various stakeholder and researcher have need to develop support system for management. Especially, it shows that they prefer corporations participate to create and manage urban forest.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 성장과 함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숲은 시민들의 생활환경의 질을 높여주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조성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시숲 조성 관리에 있어 정부, 주민, 기업,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기대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을 둘러싼 환경거버넌스의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행정을 중심으로 앞으로 요구되는 거버넌스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정의 담당자들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도시숲의 조성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의 구성과 지원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이 도시숲 조성 관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경, 황원실. 2008.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거버넌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9(1): 113-140.
  2. 고재경. 2009. 지역 환경거버넌스 역량 구축을 위한 과제의 우선순위 연구. 환경정책 17(2): 73-114.
  3. 구도완. 1995. 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 한국사회학 29(1): 347-370.
  4. 권숙표. 1992.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와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1(1): 1-4.
  5. 김기호, 문국현. 2006.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 랜덤하우스중앙. 서울 pp. 255.
  6. 김동춘. 2001. 2001 NGO리포트. 아르케: 서울 pp. 611.
  7. 김미나, 심정선, 김효정, 김용근. 2009. 서울 숲 공원관리참여 활성화를 위한 관리주체와 공원이용객 인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1): 223-234.
  8. 김상민. 2005. 주민환경운동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배수지건설반대운동"을 사례로. 시민사회와 NGO 3(2): 155-193.
  9. 김선길, 박종화. 2006. 도시근교림 관리상의 갈등사례 분석을 통한 합의형성 방안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행정논집 18(4): 1233-1257.
  10. 김원주. 2007.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의 조성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 168.
  11. 김인호, 최석진, 이수현. 2000. 학교 숲 가꾸기 운동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환경교육 13(1): 111-121.
  12. 김재현 등. 2008. 도시숲 조성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산림청 pp. 237.
  13. 김재현 등.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을 통한 산림조성 및 관리활성화 방안. 산림청.
  14. 김종순. 2002. 지속가능한발전과 환경거버넌스. 대영문화사. 서울 pp. 404.
  15. 박상필. 2006. NGO와 현대사회-비정부.비영리.시민 사회.자원 조직의 구조와 동학. 도서출판 아르케. 서울 pp. 545.
  16. 박은실. 2006. 새로운 공원문화운동의 시도. 서울그린트러스트 도시숲 심포지움 : 시민과 함께 만드는 공원문화 자료집 pp. 125-138.
  17. 배인명, 장매희. 2006. 공원관리에 대한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9(4): 155-162.
  18. 배태영, 이재호. 2001. 환경거버넌스의 범주와 주체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5(2): 18-34.
  19.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3. 효율적인 도시숲 조성 및 보전.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산림청 pp. 208.
  20. (사)환경정의시민연대. 2002. 다음을 위한 아름다운 선물대지산. 도서출판 환경정의. 서울 pp. 400.
  21. 산림청. 2007. 전국 도시림 현황 통계 pp. 141.
  22. 산림청. 2008. 도시림 기본계획 2008-2017. pp. 71.
  23. 앨빈토플러, 원창엽 역. 2006. 제3의 물결. 홍신문화사. 서울 pp. 627.
  24. 오수길. 2006. 지방정부 환경 거버넌스의 진단 : 경기도내 지방의제21 추진기구들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9(4): 151-170.
  25. 유리화. 2002.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지역의 산림관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64.
  26. 유재현. 1993.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환경정책 1(1): 19-34.
  27. 윤순진, 차준희. 2009. 공유지 비극론의 재이해를 토대로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강릉 송림리 마을숲 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19(2): 125-166.
  28. 이규목, 이준미. 2004. 도시공원녹지관리의 자발적 공동체내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 271-284.
  29. 이명석, 배재현, 양세진. 2009.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8(4): 145-437.
  30. 이미홍, 김두환. 2006. 환경거버넌스 모형구축 연구.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pp. 165.
  31. (재)서울그린트러스트. 2009. 2008 서울숲사랑모임 애뉴얼리포트 & 4년 사업보고서 - 자연과 함께 숨쉬는 서울숲 pp. 21.
  32. 전경숙. 2009.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관점에서 본 광주 광역시 폐선부지 푸른길공원의 의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13.
  33. 정현석. 2003. 한국적 신사회운동의 위치정립에 관한 연구-환경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3): 426-444.
  34. 조병완, 박봉우. 2006. 학교구성원의 학교숲 인식과 바람직한 숲 조성방안 - (사)생명의숲 강원영서지역 시범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9(2): 96-104.
  35. 차재권. 2008. 지방자치단체 환경 거버넌스의 비교연구: 부산과 인천의 "지방의제 21" 실천 과정과 성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39(1): 119-157.
  36. 통계청. 2010. 2009 한국의 사회지표. pp. 728.
  37. 內閣府國民生活局. 2002. NPO支援組織レポ一ト<2002>中間支援組織の現狀と課題に關する調査報告書. 財務省印刷局 pp. 149.
  38. 神野直彦, 澤井安勇. 2005. ソ一シャル.ガバナンス 新しい分權.市民社會の構圖. 東洋經濟新報社. pp. 263.
  39. (財)日本國際交流センタ一. 1998. ガバナンスの課題. pp.294.
  40. FAO. 2006. Food for the Cities - Forest and Trees, Improving Livelihood through Healthy Greencities. ftp://ftp.fao.org/docrep/fao/011/ak003e/ak003e04.pdf (2010/04/20).
  41. Janse G. and Konijnendijk C.C. 2007. Communication between science, policy and citizens in public participation in urban forestry - Experiences from the Neighbourwoods project.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 23-40. https://doi.org/10.1016/j.ufug.2006.09.005
  42. Kim J.H., Park M.S. and Tae Y.L. 2006.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Model for Urban Forest Management : Case study of Daejisan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2): 149-154.
  43. Kim J.H. 2007. Status of Korea's Environment Movement and its Direction Toward a Network-type Regional Movement : Focusing on the Opposition to Urban Sprawl and Activities by Forest for Life. Democracy for the Sustainable Future :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SD Governance. pp. 118-134.
  44. Konijnendijk C.C. 2000. Adapting forestry to urban demands - role of communication in urban forestry in Euro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2: 89-100. https://doi.org/10.1016/S0169-2046(00)00125-0
  45. Konijnendijk C.C. and Schipperijn J. 2001. Neighbour Woods for Better Cities - Tools for Developing Multifunctional Community Woodlands in Europe. Danish Centre for Forest, Landscape and Planning.KVL. pp. 34.
  46. Konijnendijk C.C., Randrup T.B. and Schipperijn J. 2003. Urban and Per-urban Forestry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World Forestry Congress. http://www.fao.org/ DOCREP/ARTICLE/WFC/XII/0976-B5.HTM (2010/04/ 20).
  47. Mclnroy N. and MacDonald S. 2005. From Community Garden to Westminster: Active Citizenship and the Role of Public Space. Ground Work.CLES.pp. 44.
  48. Miller R.W. 1997. Urban Forestry -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spaces. Prentice-Hall, Inc. pp. 502.
  49. Natural Economy Northwest. 2008. The economic benefits of Green Infrastructure. pp. 40.
  50. Davies et al. 2006. North North East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Guide - version 1.1. The North West Green Infrastructure Think Tank. pp. 33.
  51. The Countryside Agency. 2003. Community Forest Programme: Evaluation overview - a report by the Countryside Agency. pp. 7.
  52. The Countryside Agency. 2005. Evaluation of the Community Forest Programme - Final Report. pp. 112.
  53. 일본국토녹화추진기구 http://www.green.o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