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by Watershed Unit: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 Kim, Hyung-Ho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chool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Kyu (Warm Temperate Forest Research,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Roh, Hye-Jung (Division of Forest Carbon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eon, Jun-Heon (Division of Forest Carbon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Jin-Yeong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chool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Hyeon-Deug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chool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n-Hyung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chool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형호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박영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 노혜정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과) ;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과) ;
  • 황진영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현득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박준형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1.07.08
  • Accepted : 2011.09.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paper, as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nationwide-unit forest functions, targeting the entire Gyeongsangnam-do region, examined the integration measures for the evaluation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forest functions, as well as GIS data problems and GIS data building methods. Also,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nam-do's forest functions were examined. First, as integration measures for forest function evaluation, evaluation unit was proposed as watershed unit, and GIS techniques were proposed to correct some patterns of errors shown in the watershed maps. Also, of GIS data used for forest function evaluation, maps of locations of saw mills to be revised, expressway interchange location maps, and population distribution maps were built nationwide. Based on watershed units, the forest functions of 20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wood production function and forest recreation function potentials, high-ranking was high distributed throughout the site, while most functions potentials, low-ranking was low distributed. In forest function maps with the application of priority by city and gun, the area size was ranked in the order of forest recreation, timber production, natural conservation, water yield, living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 Case analysis results for large areas can be used in evaluating nationwide forest functions.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로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국 공 사 유림 기능평가의 통합방안, GIS 자료의 문제점 및 구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경상남도의 산림기능의 분포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산림기능평가의 통합방안으로 평가단위를 유역단위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유역구분도 상에서 나타나는 몇몇 오류의 형태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한 GIS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평가에 이용되는 GIS 자료 중 갱신이 필요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나들목 위치도, 인구분포도를 전국단위로 구축하였다. 유역단위로 경상남도 20개 시 군을 대상으로 산림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목재생산기능, 산림휴양기능은 잠재력 '고' 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능에 있어서 잠재력 '저' 가 낮게 나타났다. 각 시 군별 우선순위를 적용한 산림기능도에서는 산림휴양기능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목재생산, 자연환경보전,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면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분석 결과는 전국단위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덕, 박영규, 김은희. 2008a.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0-21.
  2. 권순덕, 장광민, 설아라, 정주상. 2008b.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한국임학회지 97(1):71-76.
  3. 김형호. 2005. GIS를 응용한 산림기능의 체계적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2쪽.
  4. 김형호, 박준형, 황진영, 강현득. 2010. 산림기능구분 현지실연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290쪽.
  5. 김형호, 정주상, 김종호. 2003. 산림기능유형별 잠재력 평가를 위한 주요 산림입지환경인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2(4):333-339.
  6. 박영규, 권순덕, 이경학, 성규철, 김형호. 2006. 국유림 영림계획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작성.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6-04:69쪽.
  7. 박영규, 김형호, 김종호, 전준헌, 성규철, 권순덕, 정세경, 정주상. 2005. 공간분석모델링을 이용한 산림기능 유형별 잠재력 평가. 산림과학논문집. 68:23-33.
  8. 박영규, 노혜정, 전준헌, 김형호. 2010. 사유림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기능유형 및 우선순위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6):51-59.
  9. 산림청. 1998. 제 4차 산림기본계획. 45쪽.
  10. 산림청. 2006. 2006년 사업체기초통계 명부 (내부자료).
  11. 산림청. 2010a. 산림청 녹색성장 추진계획 및 주요업무 세부추진계획. 142쪽.
  12. 산림청. 2010b. 임업통계연보. 40:42-43.
  13. 손차범. 2003. GIS를 이용한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결정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쪽.
  14. 양인태, 김연준. 1997. 수문해석을 위한 DEM에 의한 지형의 경사도분석에서 격자크기의 영향. 한국측지학회지 15(2):221-230.
  15. 임업연구원. 2002. 2002년도 임업연구사업보고서(산림경영분야, 5-3). 284-293쪽.
  16. 정인주, 서규우, 김가야. 2005.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23-34.
  17. 정주상, 김의경, 이헌호, 신원섭. 1999.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산림청. 344쪽.
  18. 한국도로공사. 2008. 고속도로 정밀생태조사 및 야생동물 교통사고 예방종합대책. 295쪽.
  19. 根布谷楨一. 2005. 森林計劃制度と森林の機能區分につて. 森林科學 43: 27-31.
  20. Fuhrer, E. 2000. Forest 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2(2000):29-3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377-7

Cited by

  1. A Study on a Macroscopic Evaluation Method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 vol.104, pp.2, 2015,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2.267
  2. Application of InVEST Water Yield Model for Assessing Forest Water Provisioning Ecosystem Service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1.120
  3. Classification of Forest Management Units using GIS and Cluster Analysis vol.48, pp.4, 2014, https://doi.org/10.14397/jals.2014.48.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