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in South Korea

1990년대와 2000년대 건조계절의 산불발생 시공간 변화 분석

  • Won, Myoung-S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on, Suk-Hee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oo, Kyo-Sang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ong-Ha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윤석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Received : 2011.07.13
  • Accepted : 2011.08.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For the period between 1991 and 2009, the annual average of 448 forest fires occurred in Korea. Above all, approximately 94% of the total fires frequently occurred during the spring and fall seasons. Therefore, we need to minimize the damage of forest fire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for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s by each city and gun during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using GIS. Then we compar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by ten-day intervals in 2000s with that in 1990s. As a result of analysis, early Apri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both 1990s and 2000s. Compared to the 1990s and 2000s, the regional change of forest fire showed the most frequent fire events around Chungcheong province. Especially extra 27 fires increased in Daejeon city, and the second most frequent fire had more than 10 fires in Jeolla province and Incheon. However, the number of fire frequency decreased by 12 fires at the end of April in Hongcheon-gun(the province of Gangwon). This is the largest drop over the study period. We consider that this paper will utilize usefully to establish regional counterplan for forest fire prevention by understanding regional forest fire patterns from seasonal change.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19년 동안에 연평균 448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체 산불발생건 수의 약 94%가 봄 가을철 건조계절에 동시다발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국가적인 산림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불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9년간 발생한 건조계절 산불을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순기에 따른 각 시군별 산불발생빈도의 시공간적 패턴을 GIS로 분석 후 1990년대 대비 2000년대의 순기별 산불발생빈도 변화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가장 높은 산불발생빈도를 나타낸 순기가 4월 초순으로 같았지만 이에 대한 지역별 산불발생빈도가 한반도 서쪽인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대전에서 27건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호남 및 인천지역에서 10건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강원 홍천에서는 4월 하순에 최대 12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기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산불에 대한 지역별 맞춤형 산불방지대책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2010.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259-266.
  2.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구교상 2008. 산불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인자간의 관계 분석. GIS 2008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지. 465-470쪽.
  3. 산림청. 2009. 산불통계연보. 182쪽.
  4. 성미경, 임규호, 최은호, 이윤영, 원명수, 구교상. 2010.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지 20(1):27-35.
  5.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2004.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57-64.
  6. 원명수, 구교상. 2011. 산불발생위치정보 웹 서비스 시스템 개발(산림조합중앙회편'월간 산림 2월호', 79-81쪽). 산림조합중앙회, 서울.
  7.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2006. 우리나라의 봄철 순평년 온습도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성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4):250-259.
  8. 이병두, 이명보. 2009.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 23(1):15-20.
  9. 이병두, 이요한, 이명보, Albers, H.J. 2011. 한국 산불 발생에 대한 확률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한국임학회지 100(1):70-78.
  10. 이시영, 안상현, 원명수, 이명보, 임태규, 신영철. 2004.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2):37-46.
  11. 이시영, 이해평. 2006.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지 20(2):54-63.
  12. Chuvieco, E. and J. Salas. 1996. Mapp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fire danger using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0(3):333-345. https://doi.org/10.1080/02693799608902082
  13. Hessburg, P.F., R.B. Salter and K.M. James. 2007. Re-examining fire severity relations in pre-management era mixed conifer forests: inferences from landscape patterns of forest structure. Landscape Ecology 22(1):5-24. https://doi.org/10.1007/s10980-006-9026-x
  14. Kasischke, E.S., D. Williams and D. Barry. 2002. Analysis of the patterns of large fires in the boreal forest region of Alask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1(2):131-144. https://doi.org/10.1071/WF02023
  15. Lentile, L.B., Z.A. Holden, A.M.S. Smith, M.J. Falkowski, A.T. Hudak, P. Morgan, S.A. Lewis, P.E. Gessler and N.C. Benson. 2006.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3):319-345. https://doi.org/10.1071/WF05097
  16. Pew, K.L. and C.P.S. Larsen. 2001. GIS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human-caused wildfires in the temperate rain forest of Vancouver Island, Canad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0(1):1-18. https://doi.org/10.1016/S0378-1127(00)00271-1
  17. Shepard, D. 1968.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Proceedings of the 1968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New York, NY, USA, pp.517-524.
  18. Ware, C., W. Knight and D. Wells. 1991. Memory intensive statistical algorithms for multibeam bathymetric data. Computers & Geosciences 17(7): 985-993. https://doi.org/10.1016/0098-3004(91)90093-S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vol.13, pp.23, 2021, https://doi.org/10.3390/rs13234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