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difficulties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초

창의 환경심리적 요소와 거주자 의식 특성에 관한 연구 -아파트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Determinant Factors of Window Design and the Residents' Preferences -Focused on Apartment Houses-)

  • 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1-1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hychological determinant factors of window design and the relationshiops between preferences over those factors.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focused on residents in apartment houses, were used to research the residents' preferences. Sunlight inflow, view privacy, and spaciousness can be assumed as major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windows. But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all those factors' requirements in a window design lie in the fundamental mutual contradiction such as providing both optimum privacy and openness. Those difficulties can be solved to a certain degree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son between those factors based on residents' preference tendency in a specific space. Othe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preference research shows that sunlight inflow stands first in living room, and followed by view, privacy, and spaciousness: privacy ranks first in bedroom and followed by sunlight inflow, view, and spaciousness: the elderly over sixties prefer the sunlight inflow first both in the living room and the bedroom. 2) Satisfaction degrees on sunlight inflow, privacy, spaciousness are increasing along with the dwelling height, while the view is not showing any relationship with the dwelling height. 3) Natural elements, as the object of view, are preferred to artificial elements such as buildings and roads. 4) Windowsill heights in bedrooms have relevance to the state of satisfaction with sunlight inflow, privacy, and view, while they show no relationship with spaciousness.

  • PDF

수학 서술형 평가의 어려움과 지도 방안: 고교 1학년 노력형 학생의 쓰기 활동 사례 연구 (Student difficulties in constructed-response mathematics assessments: A case study of writing activities for low-performi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

  • 배미희;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18
    • /
    • 2024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노력형 학생들이 (1) 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에 대한 분석과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쓰기 활동 지도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술형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수행한 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15회에 걸쳐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서술형 평가에서 20가지의 어려움을 보였다. 이를 '수학적 어려움'과 '서술형 어려움' 등 2가지 범주로 분류한 결과 수학이라는 과목 특성에서 보이는 어려움은 수학 개념과 원리의 이해 부족, 수학 기호 사용의 어려움, 문장제 문항에 대한 어려움, 수학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었다. 서술형 문항이라는 특성에서 보이는 학생의 어려움은 객관식 문항과는 다른 평가 방법에서 오는 어려움, 서술형 문항의 풀이 과정 기술의 어려움, 기타 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노력형 학생들이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학습전략의 일환으로 개별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고 (1) 수학적 개념의 내면화, (2) 관계적 이해를 통한 정당화, (3) 다양한 풀이 시도, (4) 수학적 기호 사용, (5) 반성적 사고, (6) 심리적 방해 요소 극복으로 범주화하고 지도 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 이영화;지연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49-168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EE)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depressed affect, posit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Data were taken from 233 middle school students (128 boys, 105 girls) and their mothers. Regression analyses showed vary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AEE had lower positive affect, and higher depress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whereas girls' moods were not influenced by maternal AEE. In addition, boys with problems in mother-dolescent communication exhibited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depressed affect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but open communication was not related to any depressive symptoms.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ype did not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girls either. Both boys and girls both had less open communication and mor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experiencing high AE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EE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boys only. Examination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rovides a deeper context for our understanding of negativ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especially in mother-adolescent boy dyads.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The Cultural Adaptation of Korean-Chinese Working Women to South Korea)

  • 박준성;허성호;전미연;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1호
    • /
    • pp.21-4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여성이 직장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갈등 그리고 그것에 대한 대처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에서(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한국사회에서의 적응과 관련하여 면담을 하였다(평균 연령 = 34, SD = 9.25, 평균 한국거주 = 4년, SD = 2.24). 이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 중, Giorgi(1985)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225개의 응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23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상위범주를 구성하였다. 문화적 차이와 적응상의 어려움들에는 정체성과 언어적 의사소통, 정치경제적, 관계적 및 성적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조선적 여성이 한국사회에서 대처하는 방법 중에는 순응형, 도구형, 도피형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직장 내 조선족 여성의 적응에 필요한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PDF

코로나19 상황에서의 64세 이하 인구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방역수칙 실천과 심리적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2020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actice of Quarantine Guidelines and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the Population Aged Under 64 years (Young Group) and Over 65 years (Elderly Group):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 한명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01-41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actice of quarantine guidelines and psychological influence between the young (aged under 64 years) and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group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pandemic.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20, Korean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 total of 229,296 (young group: 156,314, elderly group: 72,812)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 Elderly group showed lower adherence to wearing face-mask, maintaining social distance when outgoing and practicing handwashing rules than the young group. The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influence than the young group. In addition, the elderly group had fewer supporters when they were isolated than the young group. Also, the elderly had difficulties in following the quarantine guidelines related to COVID-19. Conclusion: To prevent infection and death from COVID-19 in the elderly, proper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are needed. Also, support groups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to relieve their psychological impact related to COVID-19.

암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서 심리적 요인 (Psychologic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and Course of Cancer)

  • 전우택
    • 정신신체의학
    • /
    • 제2권1호
    • /
    • pp.10-21
    • /
    • 1994
  • The author review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and course of cancer. Cancer is a bilogical disease, but it also has a large number of psychological aspects. There have been no reports that specific personality types had tendency to cause cancer. In some studies, however, type A personality was reported to have relevance to a higher incidence of cancer and a better prognosis. And in other studies, type C personality was reported to have relevance to a higher incidence of cancer. It was reported that people who had strong tendency to control their anger and regarded the rationality and antiemotionality in their behavior as important things were susceptable to cancer. In the course of cancer, the patients who had more positive and aggressive attitude and 'fighting spirit' to their disease tended to have a better prognosis than those who accepted their disease as fate. Some studies showed that feeling of helplessness and loss of control had a negative offset on cancer. It was reported that, in the early stage of cancer, the psychological factors had great influence on the prognosis, but in the middle and late stage, the influence decreased. For the future studies, cancer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ingle disease and a single condition. The kinds and stages of cancer should be difined for studies. The scale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cancer patients should be sensitive and selected carefully,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the cancer patients mind. The need for prospective studies is emphasized. Finally, as the cured cancer patients have great difficulties in returning to their work and daily life, rehabilitation of cancer patients is also emphasized.

  • PDF

교대근무 간호사의 정신신체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The Psychophysicosocial Distresses in Nurses with Shift Work)

  • 강범모;양창국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61-67
    • /
    • 1999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그리고 사회적 적응에 대한 교대근무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 299명(교대근무 179, 비교대근무 120)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고안된 56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는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수면관련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심인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비교대 근무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부정적이었다. 교대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교대근무와 관련된 사회생활의 장애 및 사회활동의 제한을 호소하고 있었고, 수면과 관련된 장애들을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결과는 교대근무가 정신생리적 기능의 일주기 리듬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교대근무자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뒷받침 한다. 또한 교대 근무자들은 가족 및 일반적인 사회관계에서 여러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교대근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아파트 단지내 지하주차장의 이용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Behaviors on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 in an Apartment Complex)

  • 이상구;윤충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65-172
    • /
    • 2003
  • With the rate of spread of motors rapidly increased, but parking difficulties in an apartment complex was aggravated due to an insufficient parking lot. Visual interference on residential environment, various kinds of pollution and noise, decrease of open space in an apartment complex are also causes of parking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y of desirable direction for planning of the parking space by study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ers' behaviors by the type of the circulation of motors and pedestrians. Consider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real conditions of underground parking space and the consciousness and parking habit of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required in this study.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졸이상 고학력 워킹맘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Scale of Working Moms)

  • 정현;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2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 워킹맘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문헌연구와 함께 경력의 단절이 없으며 학력이 4년제 대졸이상이고 미성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워킹맘을 대상으로 인터뷰,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7개요인 69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워킹맘 306명에게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12개요인 64문항을 추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638명에게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638명을 임의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G1)의 319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다른 집단(G2)의 319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G1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에 대한 미안함, 업무평가에서의 차별, 몸과 마음의 탈진, 불공평한 육아와 가사 부담, 도우미와의 갈등, 역량개발의 한계, 사회적 편견, 근태의 어려움 총 8개요인 48문항이 추출되었다. G2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 요인구조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한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다중 역할 부정경험의 상관이 유의미해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워킹맘 심리적 어려움과 준거변인인 삶의 만족, 조직몰입, 직무열의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타당도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 의의, 이론·실무적 시사점,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학업 적응에 관한 연구 (The narrative inquir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djustment in College Life)

  • 정연숙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4권1호
    • /
    • pp.57-83
    • /
    • 2024
  •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등급이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IRB의 승인을 거쳐 모집한 학생은 모두 7명으로 이들의 면담 내용은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 (이동성, 김영천, 2014)의 6단계를 활용해 분석했으며 그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업, 생활, 심리·정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업적 측면에서 인터뷰 대상자들은 적응하기 힘들었던 전공 용어와 전공 공부를 지적하였고, 한자 및 한자어에 큰 어려움을 경험했다. 다음으로 생활 측면에서는 고급 수준의 토픽 등급 소지자인 연구 참여자들도 대학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었고 한국 생활에 제대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표현과 풍부한 어휘 지식이 필요함을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심리·정서적인 범주에서는 이들이 한국인들과의 대화나 발표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 문화 및 일상 생활 문화에 관한 지식도 부족했기 때문에 한국어를 잘하더라도 화용적인 면에서 실수나 오류를 범하기도 했고 이것이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에 처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근거로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의 다양한 기회 부여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전공 관련 학업 능력 강화, 한국어 숙달도 향상, 학내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계획·설계하여 시도해 볼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