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 care worker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4초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전문직종사자의 수요 예측 -간호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Demand Prospect of Professional Workers in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 Care Insurance -Nurse, Social Welfare, Care Probation Professional workers-)

  • 박명선;강상목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3호
    • /
    • pp.423-44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7월에 실시된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라서 보건 복지 전문직 종사자의 수요모형을 구축하고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인프라구축이 필요한 교육기관의 학과개설과 증원에 대비하고자 함이다. 2009년 5월 현재 노인 장기요양 보험 시행 1주년 주요 통계 현황을 바탕으로 2010부터 2030년까지 장래 노인인구의 노인 장기요양 인정자 추계와 이에 따른 시설 요양기관, 재가 서비스기관, 가족급여등의 요양보험 이용자로 인한 보건 복지 전문직 종사자의 수요를 측정하였다. 사회복지사는 2020년 16,624명 2030년 24,688명으로 전망되었다. 간호사는 2020년 11,287명, 2030년에는 16,764명으로 수요증가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요양보호사의 경우 2009년에 필요한 인원은 44,824명이며 8월 31일 현재 1,078개의 교육기관에서 1년간 약 50만명 이상을 양성함으로써 소요인원의 10배 이상으로 과다 양성되었다.

전문성이 강화된 지속가능한 요양보호사 제도 연구 (Study for a Sustainable Program of the Professional Long-term Care Workers)

  • 경승구;장소현;이용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90-304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강화와 중장기적으로도 지속가능한 양성교육체계 논의모형을 하나의 사고실험차원에서 대안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요양보호사 자격취득자 및 취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행 요양보호사 양성교육과정과 병행하여 전문대학교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요양보호사 양성교육과정 개설, 양성교육 의무시간 확대, 경력과 전문성이 강화된 가칭 '전문요양보호사' 제도 도입과 제공기관에서의 의무고용, 보수교육의 법정 의무화와 보험자의 보수교육강화 등으로 구성된 전문성이 강화된 지속가능한 대안적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들도 제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 김운정;최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57-26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관리자와 실무자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를 증진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및 생활복지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전문성 인식은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내적 만족도에 비해, 직무외적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보상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전문성 인식과 그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기술, 전문적 가치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직무내적 만족도, 직무외적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수행도, 교육요구도 및 전문직업성 인식 (Job Performance,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송민선;김진학;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6-17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and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are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9 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1 to June 7, 2019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performance aspects of the job were as follows: care for safety and infection-related, communication and leisure support, and excretion. The most demanded educational needs were in first-aid. Care workers had more than average professional recogni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veral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areas with low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were high. First-aid is low in frequency, but it is important to cope with emergencie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on. 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career.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care workers.

지역사회 보건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제공을 위한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in community health department and social workers in welfare services department)

  • 김미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14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Korea. Data that i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95 provider respondents by questionnaire, additionally from telephone survey and secondary data re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health and social ca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community health and social care.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collaboration. It reveals whether or not the inter-professional works and shows the level of collabor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in: the client characteristics (frailty of client, client-provider relationship); the provider characteristics (specialization, perception of interdependence, perception of the other professional); th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closeness of the other professional, autonomy, on-the-job training, evaluation-reward); and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urbanization, capacity of resourc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appear to have the strongest impact on whether or not inter-professional working of respondent sampled are: the perception of other professional; the perception of interdependence; closeness of, the, other professional; and the frailty of client. Secondly, the factors that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level of cooperation are: the perception of, the other professional; on-the-job training; evaluation-reward; and the closeness of the other professional.

사회복지사의 역량과 숙련도 표준에 관한 탐색적고찰: 영국 사회복지사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etency and Proficiency Standards for Social Workers: Focusing on the Case of British Social Workers)

  • 윤희숙;최소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29-33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역량 및 숙련도에 관한 영국 사례 검토를 통해 한국 사회복지사의 전문역량과 숙련도 기준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별히 초고령사회를 앞둔 시점에서 노인돌봄과 관련된 영국 사회복지사협회와 보건보호전문직협의회의 역량 및 숙련도 기준 고찰을 통해 한국 노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제고 하고자 하였다. 영국은 전문역량구조를 제시하므로 사회복지사의 자격 단계별 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역량에 기반한 사회복지사 자격취득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보건 및 보호 분야 전문가의 자격 단계별 숙련도 기준을 일반 기준과 세부 기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숙련도 기준에 준거해 돌봄분야 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제시하고 있다. 영국의 사례 고찰을 통해 한국 사회복지사의 역량과 숙련도 제고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공통 역량-사회복지 전문분야의 역량-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연결하는 표준제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협회와 사회복지사협회의 역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호스피스 완화 돌봄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다학제적 팀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전문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Hospice Palliative Care Multidisciplinary Team - Focused on Professional Identities -)

  • 최희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201-23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제도화를 앞두고 있는 호스피스 완화 돌봄에서 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전국의 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소속된 11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다학제적 팀 내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정체성에 대해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66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10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병원 현장이라는 환경적 특성과 더불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지원사업의 문제가 근본적 원인으로 설정되었으며, 사회복지사 업무의 모호성과 사회복지사 자격 및 양성문제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에 맥락적 조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다학제적 팀 활동은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중재조건이 되었다. 사회복지사들은 대인적, 개인적 대응전략을 통해 전문가로서의 존재의 의미를 인식하고 보람과 인간적 성장을 경험하였다. 범주들을 관통하는 핵심범주는 "호스피스 사회복지사로서 다른 전문직과 클라이언트에게 인정받는 전문가로 성장하기" 로 설정되었다. 호스피스 완화 돌봄의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문가로서의 재가를 얻기 위하여 제도적 여건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의 관계 - 직무관련 삶의 질 매개효과 - (Effect of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 이영선;송명섭;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36-3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관련 삶의 질, 서비스 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11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모형은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을 독립변수,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 공감피로)을 매개변수, 서비스 질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모형의 적합성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이었으며,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에서 서비스 질로 향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내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 표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질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질에 대한 임상적,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trategies of Korean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이영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13
  • 본 종설의 목적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했고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해야 할 미래전략 제시한다.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전개해 온 활동을 과거, 현재, 미래전략으로 나눠서 역할 및 자격 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의 네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첫째,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고 자격기준이 미비하다. 사회복지사의 불명확한 역할과 미비한 자격기준은 전문성 발휘를 어렵게 한다. 미래 전략은 역할의 재정립과 인력 및 자격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가 부족하다. 미래전략은 전문교육의 강화와 교육자 개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학술지 게재 편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타 전문직에 비해서 학술활동의 참여도가 낮다. 미래전략은 연구 및 학술활동의 활성화와 개입효과성 증명 등 정책반영에 필요한 근거 중심의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제도적으로 인력확보 및 수가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미래전략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전담 인력확보, 수가인정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활동이 필요하다.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는 전략적인 접근을 가지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이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관련 학회, 협회, 학교와 네트워킹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며, 실행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실행 주체를 강화해야 한다.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lement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 이명희;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7권1호
    • /
    • pp.15-28
    • /
    • 2007
  • This study was focused on figure out what kinds of elements are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with approach of the educational system. It was also to figure out how work characteristics and role conflicts of employee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bjects of study were employeeswho had been working in Hospice and Palliative medical center at least for 6 months, and they were doctors, nurses, ministers, and welfare workers.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The first,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medical center were 3.36, and this numerical value is pretty high over all. For saying from the higher to the lower satisfaction level, there were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satisfaction with co-workers, satisfaction with seniors (superiors), and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s, satisfaction with salaries was turned out as the lowest level among those. The second, role conflict was 2.63, and it is considered as the medium level. after inquiring into it by elements of role conflict, they felt many environmental difficulties compared to other workers in different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difficulty, role ambiguity, insufficient ability, process obscurity, etc. The third, work environment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Professional environment among characteristics of work environmen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Job satisfaction of ministers was the highest; others were in the order of doctors, welfare workers, and nurses. For employment history, job satisfaction was higher as they have more and longer job experience including whole professional experience both in hospice and palliative medical center. In addition, participating in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s, intensive training regularly was significantly. Job Motivation was also significant statistically. Especially, job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people decided to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medical center because of individual desire (self-realization). Lastly, influence of role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s. Environmental difficulty, role ambiguity, insufficient ability, process obscurity, etc showed the significant meaning statistically, and the lower role conflict was related with the higher job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next study based on su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or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hospice/palliative medical centers. The first, to expand education opportunity of employees is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of hospice/palliatives medical centers. Participating in intensive programs and seminars by types of occupation an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are very important since employees are motivated by those activities. For that, developing and activating intensive education/programs by professional occupations are suggested. The second, dividing roles of employees and determining each job's limit clearly in hospice/palliative medical centers are required. For that, study developing standard job regulations is suggested for each professional job. Lastly, developing and providing reasonable salaries is needed because low salaries of hospice/palliative medical centers are the absolute reason lowering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improving the salary level of employees of hospice/palliative medical centers and developing practical plan for 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