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 김운정 (한림해피존 지역아동센터) ;
  • 최유석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4.01.14
  • Accepted : 2014.02.07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221 community child care worker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Korea.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re over intermediate.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 values and ethics are slightly higher than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e workers are more satisfied with intrinsic job factors such as achievement and responsibility than extrinsic job factors such as compensation and working conditions.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work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o enhance the work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hich will contribute the quality of services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관리자와 실무자의 전문성과 직무만족도를 증진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및 생활복지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전문성 인식은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직무내적 만족도에 비해, 직무외적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보상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전문성 인식과 그 하위영역인 전문적 지식/기술, 전문적 가치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직무내적 만족도, 직무외적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계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4호, pp.23-48, 2010.
  2. 구은미,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질과 전문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제19권, 제2호, pp.5-15, 2010.
  3. 변숙영, "방과후 아동보육시설 종사자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 제4권, 제2호, pp.129-152, 2010.
  4. 이경림, 지역아동센터 운영 및 설립방안, 부스러기사랑나눔회 설명회 자료집, 2004.
  5. 박세경, "사회서비스 돌봄 일자리의 쟁점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62권, pp.32-41, 2010.
  6. 이상준,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 정수진,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이재숙,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기능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지역아동센터 운영 현실화를 위한 예산확보, 종사자 처우개선, 질적향상, 지역아동센터의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008.
  10. 김행열, 김용민, "한국 사회복지사의 윤리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북아논총, 제16권, 제1호, pp. 209-232.
  11. 이중민,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천효숙,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현 연구: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3. 이종명,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 연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논문, 2007.
  14. 김윤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5. 한도희, 방과후사업 종사자의 직업전문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6. 이서연, 임효연,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38-2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38
  17.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지역아동센터 업무매뉴얼, 2013.
  18. 윤형환,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영향 요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9. R. L. Barker, The Social Work Dictionary, Washington: NASW Press, 1995.
  20. 김용민, 사회복지관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1. A. E. Fortune, "Field Education," in Reamer ed,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Knowledge,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22.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윤리강령, 2010.
  23.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4. 강현주, 조상미,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2권, 제1호, pp.301-335, 2010.
  25.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pp.1279-1349 in M.D. Dunnette(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1976.
  26. 방하남, 김상욱,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한국사회학, 제43권, 제1호, pp.56-88, 2009.
  27. 김용민, "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328-338,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328
  28. T. S. Bateman and S. Strasser,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7, pp.95-112, 1984. https://doi.org/10.2307/255959
  29. C. Glisson and M. Durick,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3, pp.61-81, 1988. https://doi.org/10.2307/2392855
  30. A. L. Kalleberg,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2, No.1, pp.124-143, 1977. https://doi.org/10.2307/2117735
  31. K. L. Rusell, "Variations in Orien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Sociology of Work and Occupations, Vol.2, pp.299-322, 1975. https://doi.org/10.1177/073088847500200401
  32. J. E. oulin, "Job task and organizational predictors of social worker job satisfaction change: a panel study,"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8, No.1, pp.21-38, 1994. https://doi.org/10.1300/J147v18n01_02
  33. S. Jayarten and W. A. Ch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Social Work Administration: A National Survey,"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7, No.2, pp.11-22, 1983. https://doi.org/10.1300/J147v07n02_02
  34. Vinokur-Kaplan, D. Jayaratne, and W. A. Chess,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social workers in public agencies, non profit agencies, and private practice: the impact of workplace conditions and motivato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8, No.3, pp.93-121, 1994. https://doi.org/10.1300/J147v18n03_04
  35. 김예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6. 김규나,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37. 송기숙,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만족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8. 박석돈, 정운, "직업재활기금사업 전문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16권, 제1호, pp.167-191, 2006.
  39. 이인재, 사회복지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40. 김은경, 방과후 아동지도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1. 박상덕, 방과후 아동지도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2. 성미영, 서영숙,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연구", 방과후아동지도연구, 제5권, 제1호, pp.49-65, 2008.
  43. 성미영,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헌신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