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Case Management Implementation Factors on Quality of Life for the mentally Ill -Based on Mental Health Total Care voucher agencies-

사례관리수행요소가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 토탈케어 바우처 기관을 중심으로-

  • 민은희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11.13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ase management implementation factors on mentally ill person's quality of life based on case managers and clients who are from Mental Health Total Care voucher agencies. Hierarchical Lineral Model was used to verify client factors, case manager factors, agency factors and service providing factors. For the first time in our nation, major findings were found that case manager's career and intervention range have influence on mentally ill persons's quality of life, and that there is no influence for the caseload below 20 cases per one person. The practical implication was suggested about usefulness of case manager's career, caseload and intervention range within local social community system.

정신건강 토탈케어 바우처 기관의 사례관리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수행요소가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클라이언트 요인, 사례관리자 요인, 서비스 전달 요인과 기관요인을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ral Model)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최초로 사례관리자의 사회복지경력과 사례관리 개입범위가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담당 사례수가 1인당 20케이스 이하일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사례관리자의 사회복지경력, 담당 사례수, 지역사회환경체계 개입범위의 유용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小高 真美, "地域で生活する精神障害者のニーズと生活の質に関する研究", ルーテル學院大學大學院總合人間學研究科 社會福祉學専攻博士後期 課程, 博士論文, 2006.
  2. J. J Parks, T. Swinfard, and P. Stuve, "Mental Health Community Case Management and Its Effect on Healthcare Expenditures," Psychiatric annals, Vol.40, No.8, pp.415-423, 2010. https://doi.org/10.3928/00485713-20100804-08
  3. R. P. Stanard, "The Effect of Training in a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n Client Outcomes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35, No.2, pp.169-179, 1999. https://doi.org/10.1023/A:1018724831815
  4. A. F. Lehman,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reformed health system," Health Affairs Vol.14, pp.90-101, 1995. https://doi.org/10.1377/hlthaff.14.3.90
  5. 민소영,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소비자 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제8권, pp.103-127, 2009.
  6. 권진숙, 사례관리론, 학지사, 2012.
  7.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0권, 제1호, pp.39-65, 2008.
  8. 정순둘, 사례관리실천의 이해, 한국적 경험, 학지사, 2005.
  9. 우국희,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 사회복지정책, 제30권, 제9호, pp.287-310, 2007.
  10. 서혜미,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수행요소가 사례관리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네트워킹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12.
  11. 민소영,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사례관리 구조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21집, 제2권, pp.139-163, 2005.
  12. 민소영, "만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모형과 수행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제30권, 봄호, pp.215-242, 2006.
  13. 차민호, 유미예, 서인해, "사례관리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pp.389-390, 2006.
  14. 도광조,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수행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숭실대 박사논문, 2009.
  15. 함철호, 윤원일, "공공전달체계내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사례관리수행과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5권, pp.231-262, 2010.
  16. 손지현,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 수행요소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탐색, 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2013.
  17. S. Simmons,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mental health care-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31, No.2, pp.183-193, 1994. https://doi.org/10.1016/0020-7489(94)90044-2
  18. F. Baker and J. Intagliata, "Quality of life in the evaluation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5, pp.69-79, 1982. https://doi.org/10.1016/0149-7189(82)90059-3
  19. WHO,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The World Health Report, 2001.
  20. C. T. Mowbray, D. P. Moxley, C. Jasper, and L. Howell(Eds), "Consumers as provider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Columbia, M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1997.
  21. J. Bobes and M. P. Gonzaez,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In H. Katsching, H. Freeman and N. sartorius (Eds), Quality of life in mental disorders, New York: John Wiley & Sons, pp.165-178, 1997.
  22. R. Chamberlain and C. A. Rapp, "A decade of case management: A methodological review of outcome research,"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27, No.3, pp.171-188, 1991. https://doi.org/10.1007/BF00752419
  23. F. Holloway and J. Carson, "Intensive case management for the severely mentally ill. Controlled trial,"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72, pp.19-22, 1998. https://doi.org/10.1192/bjp.172.1.19
  24. R. P. Stanard, "The Effect of Training in a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n Client Outcomes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35, No.2, pp.169-179, 1999.
  25. P. N. Prince and C. R. Princ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evulation of programs for people with serious persistence mental illnes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1, No.7, pp.1005-1036, 2001. https://doi.org/10.1016/S0272-7358(00)00079-9
  26. 권자영,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가 재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9.
  27. 김병수,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 서비스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13.
  28. 전태기, 정신질환자토탈케어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 및 욕구정도에 관한 연구, 우송대 석사학위논문, 2011.
  29. J. Intagliata,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Schizophrenia Bulletin, Vol.8, No.4, pp.655-674, 1982. https://doi.org/10.1093/schbul/8.4.655
  30. J. Intagliata and F. Baker, "Factors Affecting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Administration in Mental Health, Vol.11, No.2, pp.75-91, 1983. https://doi.org/10.1007/BF00819388
  31. G. Thornicroft,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for Long-term Mental Illnes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Vol.3, pp.125-132, 1991. https://doi.org/10.3109/09540269109067527
  32. G. Teague, "Case Management Comparability Study," Presentation at the Semiannual ACCESS Grantee Meeting, Bethesda, MD. 1996.
  33. J. H. McGrew and G. R. Bond, "he Association Between Program characteristics and Service Delivery in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Vol.25, pp.175-189, 1997. https://doi.org/10.1023/A:1022239005432
  34. K. T., Mueser, G. R. Bond, R. E. Drake and S. G. Resnick, "Models of community care for severe mental illness: A review of research on case management," Schizophrenia Bulletin, Vol.24, No.1, pp.37-74, 1998.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schbul.a033314
  35. 홍선미, "자활지원 사례관리 모형과 운영방안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29권, pp.133-165, 2006.
  36. R. King, J. Bas, and D. Spooner, "The impact of caseload on the personal effical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Psychiatic Services, Vol.51, No.3, pp.364-368, 2000. https://doi.org/10.1176/appi.ps.51.3.364
  37. L. P. Solomon, "Case management fo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Implications for elder care,",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주년 초청강연 발표문, 2004.
  38. 민은희, "정신보건영역에 사회서비스의 도입과 적용",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보수교육 자료집, pp.13-26, 2009.
  39. 이용표,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와 사회서비스 정신질환자 토탈케어서비스의 파터너십 현성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정신보건전문요원협회 워크숍 및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1.
  40. 강상경, "사회서비스의 정신보건서비스적 이해: 현황과 전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보수교육 자료집, pp.27-53, 2009.
  41. 민은희, "이용자 중심의 정신장애인 케어매니지먼트 시행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정신보건, 제11호, 2007.
  42.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지침, 2013.
  43. M. Summers, "Facilitating comparisons between evaluations of case management programs," Care management Journals, Vol.2, No.2, pp.86-92, 2000.
  44. C. D. Austin, "Case management: Who needs it? Does it work?," Case Management Journal, Vol.3, No.4, pp.178-184, 2002.
  45. I. Oshima, N. Cho, and K. Takahashi, "Effective components of a nationwide case management program in Japan for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Community Mental Health Hournal, Vol.40, No.6, pp.525-537, 2004. https://doi.org/10.1007/s10597-004-6126-4
  46. 이선영, 생태체계관점에서 본 정신장애인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2004.
  47. F. D. Lukof, K. H. Nuechterlein, and J. Ventura, "Manual for Expande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Schizophrenia Bulletin, Vol.12, pp.594-602,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