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literac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온라인 거래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선행요인과 프라이버시 염려, 신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tecedents to Internet Privacy Concern and Their Effect on Perceived Trust for the Internet Transaction)

  • 최혁라;신정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44
    • /
    • 2007
  • Internet privacy is named as one of the major barriers to the expan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e-commerc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to Internet privacy concer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antecedents and the perceived trust and to validate Internet privacy's effect on the perceived trust. A conceptual model which identifies Internet literacy and perceived vulnerability as antecedents to Internet privacy concern is proposed and tested based on the sample of 276 Internet users.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Internet literacy affect Internet privacy concern negatively while perceived vulnerability affect positively. Also perceived vulnerability's effect on and privacy concern's effect on perceived trust has both directional negative support.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agenda are provid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study.

  • PDF

Privacy measurement method using a graph structure on online social networks

  • Li, XueFeng;Zhao, Chensu;Tian, Keke
    • ETRI Journal
    • /
    • 제43권5호
    • /
    • pp.812-824
    • /
    • 2021
  • Recently, with an increase in Internet usage, users of online social networks (OSNs) have increased. Consequently, privacy leakage has become more seriou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privacy and actual behaviors. In particular, users' desire to change their privacy status is not supported by their privacy literacy. Presenting an accurate measurement of users' privacy status can cultivate the privacy literacy of users. However, the highly interactive nat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OSNs has promoted privacy to be viewed as a communal issue. As a large number of redundant users on social networks are unrelated to the user's privacy, existing algorithms are no longer applicabl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structural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The proposed method excludes redundant users and combines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measure the privacy status of users. Using this approach, users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ir privacy status on OSNs. Experiments using real data show that our method can effectively and accurately help users improve their privacy disclosures.

올바른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행사를 위한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vacy Literacy Level Measurement for the Proper Exercise of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 박향미;유지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01-522
    • /
    • 2016
  • 디지털시대에 정보는 가치창출의 원천이다. 지식 및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관련된 위험 및 위협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정보는 한 번 유출되면 완전한 회수가 힘들고 2차 3차 유포는 쉽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특히 개인정보는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주요표적이 된다. 하지만 정보주체는 자신의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는 하지만 제공 후 처리는 모르는 등 온전하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올바르게 행사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수준 측정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주체들의 현재 정보보호에 대한 지식수준과 이해의 정도, 실제 적용하는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개념과 지수를 제시한다. 본 지수를 통하여 정보주체의 선택능력을 강화하고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대한 판단 및 결정능력을 증진하고자 한다.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매개효과 및 프라이버시의 조절효과 (How Does Smart-device Literacy Shape Privacy Concerns: The Moderation of Privacy and the Mediation of Online Social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Veracity)

  • 김현정;김범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51-72
    • /
    • 2023
  • 지능정보사회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필수사항이며,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올라갈수록 프라이버시 우려가 증가하는데, 이는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저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와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매개효과와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온라인 활동을 하는 13세 이상의 동일 패널 7,737명의 2020년과 2021년 실시한 한국미디어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비교 및 분석을 위해 SPSS(v26.0)와 PROCESS Macro(v4.1, Model 15)를 이용하였다. 2020년과 2021년의 비교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리터러시는 증가 하였지만, 프라이버시 우려와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은 감소하였음을 보았다. 분석 대상 전체와 통제 집단에서 프라이버시 우려와 정보 사실성 판단 능력의 평균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그 차이가 유의미하다. 연구모형 검증 결과, 스마트기기 활용역량이 프라이버시 우려에 미치는 영향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증가하는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와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정보 신뢰성 판단 능력은 2020년에 유의적이지 않지만, 2021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프라이버시 염려 영향요인이 인터넷 이용자의 신뢰와 온라인 거래의도에 미치는 영향 (Antecedents to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Their Effect on the Trust and the Online Transaction Intention of Internet Users)

  • 유일;신정신;이경근;최혁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4호
    • /
    • pp.37-59
    • /
    • 2008
  •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ecedents to the privacy concerns and their influence on trust and online transaction intention. Based on previous exploratory works and the literature review of privacy concerns, four antecedents are identified-Internet literacy, social awareness, perceived vulnerability, and perceived ability to information control. Incorporating these antecedents, privacy concerns, trust and online transaction intention, a conceptual model is developed and seven research hypotheses are proposed for empirical testing. The proposed model is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nternet literacy, social awareness, and perceived vulnerabilit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ivacy concerns of users and the privacy concern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rust. Finally, the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nline transaction intent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nd future research issues are raised as well.

  • PDF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염려감소 선행요인, 신뢰 그리고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Precedence Factors for Privacy Concern Reduction and Trust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and a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 김상현;박현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2호
    • /
    • pp.73-96
    • /
    • 2012
  • With emergence of smart technologies(e.g., smartphones), Location-Based Services(LBS) are expected to provide more enhanced values utilizing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than other smart services. However, in contrast to existing smartphone applications, LBS could raised severe consumer's privacy concerns because of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ensitive to consumer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privacy concerns reduction, trust and intention to use LBS by examining the effect of precedence factors(social presence, reputation, mobile literacy, ability of information control) of privacy concern reduction.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personal innovation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rivacy concern reduction and intention to use LB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precedence factors of privacy concerns with a exception of Mobile Literacy had a positive impact on privacy concerns reduction that then positively affected trust and intention to use LB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intention to use LBS was significantly supported. Finally, personal innovation as a moderating effec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reduction and intention to use LB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for a subsequent study about the spread of LBS application of smartphone. Also,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helping service direction to firms providing LBS.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on Ethical Values among Hospital Clinical Nurses)

  • 서형은;두은영;최수진;김미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62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clinical nurses' ethics germane to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and thus help nurses to develop more positive and consolidated ethical values. Method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42 nurses who worked in a hospital an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5,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Results: Ethical valu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needs (r=.25, p=.002) in information literacy as well as in direct patient care (r=.27, p=.001), shift work (r=.20, p=.016),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r=.39, p<.001), and communication (r=.24, p=.004) in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ethical values and accounted for 21% of the variance. Conclusion: Ethical values education with particular emphasize on managing patient informa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nurses who are younger and have a lower education level. Findings indicate a need for education programs to guide clinical nurses to utilize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solving ethical challenges in every day nursing practice.

온라인 쇼핑에서 개인적 특성차이가 고객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안 우려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The Rol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 문윤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17-2722
    • /
    • 2013
  • 정보기술의 발달로 방대한 고객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와 더불어 고객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함에 있어 다양한 정보보안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보안 우려감의 개념을 기반으로 소비자 정보보안 우려감과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자기효능감, 디지털활용능력, 소비자소외감), 그리고 고객만족도 및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는 정보보안 우려감의 개념과 측정방식을 규명하여 실증모형 검증으로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이러한 정보보안우려감의 개념을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몰 공급자들은 고객의 정보보안우려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웹사이트에서 정보보안 우려감의 영향 (The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Web Sites)

  • 김민선;문윤지;박건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9-5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거래 과정에서 소비자의 정보보안우려감이 어떻게 정의되고 조작화 되어야 하는지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나아가 규명된 정보보안 우려감의 개념을 기반으로 소비자 정보보안 우려감과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자기효능감, 디지털활용능력, 소비자소외감), 그리고 고객만족도 및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온라인 쇼핑몰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디지털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정보보안우려감은 낮아졌으며, 반면 소비자 소외감이 높을수록 정보보안우려감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보안 우려감은 향후 고객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는 정보보안 우려감의 개념과 측정방식을 규명하여 실증모형검증에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이러한 정보보안우려감의 개념을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몰 공급자들은 고객의 정보보안우려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 정책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licy Acceptance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ublic Service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erception & Digital Literacy Level)

  • 장창기;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9권1호
    • /
    • pp.60-83
    • /
    • 2022
  •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관한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수준이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17년에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수용모형과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 인식은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된 공공민원서비스에 대한 혜택에 대한 태도를 강화하고, 우려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혜택과 우려를 모두 강화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보다는 개인이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혜택을 통해 공공민원서비스를 이용할 의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개인의 지각된 혜택은 공공민원서비스 이용의도를 강화하고, 프라이버시 염려는 이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프라이버시 염려보다는 지각된 이용 편의성과 유용성의 영향이 이용의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관한 시민의 긍정적 인식 강화,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오류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한 제도적 보완,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