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or elderly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The Short-Hours Part-Time Jobs in Korea)

  • 문지선;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9-164
    • /
    • 2017
  • 이 글은 근로시간이 주당 15시간 미만에 불과한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성장에 주목하여, 어떤 집단에서 초단시간 근로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노동 상황은 어떠한지 분석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초단시간 근로는 저학력 고령층 여성, 특히 사별 또는 이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나 경력단절에 초점을 둔 정부의 시간제 근로 장려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다. 오히려 배우자가 있는 여성도 육아나 가사의 이유보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초단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단시간 근로란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이 노동시간의 이점을 보고 선택하는 고용형태가 아닌 것이다. 초단시간 노동시장은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임금에 사회보험과 부가급여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특성을 띠고 있었다. 노동 수요와 공급, 정부와 제도 측면에서 볼 때,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현상은 급증하는 사회서비스의 수요를 민간에 넘긴 정부, 30인 미만 영세 사회서비스업 중심의 초단시간 고용,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배제한 미비한 법제도,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노동공급자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사별 또는 이혼 상태인 저학력 고령층 여성은 경제적 동기는 강한 반면 시장에는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초단시간 노동시장이 존재 할 수 있었지만, 고용의 질이 낮은 만큼 이들은 근로빈곤의 함정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현실과 호출근로같이 열악한 근로조건의 초단시간 노동시장을 감안할 때, 정부의 규제와 초단시간 근로자를 온전하게 보호하는 법 제도 등의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수도권 거주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실태 및 영양상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 김윤혜;하태열;이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2-429
    • /
    • 2006
  • 본 연구는 여가활동 여부가 노인들의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여 노인 104명(여가활동을 하는 노인과 하지 않는 노인 각각 82명씩)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항목은 노인 대상자의 일반 환경 요인, 생활습관, 정신건강 수준,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 등이다 일반환경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가족관계, 교육정도, 한달 용돈, 용돈의 출처, 직업의 유무와 종류, 주거형태를, 생활습관으로는 음주, 흡연, 수면시간을, 식습관 특성으로는 식사의 규칙성, 결식 여부와 이 유, 식욕정도, 식사소요시간, 식사량, 저작형태 및 치아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섭취 상태 조사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정신건강 수준은 한국어판 우울증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노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2세정도로서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았고 용돈도 많아 경제수준이 높았으며,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일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생활습관의 경우 여가활동을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음주와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증 검사결과,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서 우울증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식생활습관에서도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불규칙인 식습관을 갖는 노인의 비율이 높았고, 식욕은 보통정도였으나 식사장애요인이 더 많았으며, 치아상태가 불량하여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량 섭취량은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이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약 300 kcal 정도 많았으나 전체 노인 대상자들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해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개별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에서는 아연과 비타민 $B_2$를 제외하고는 영양소 섭취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는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매우 낮아 영양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경우 여가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정신건강 수준, 생활습관, 식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가 매우 좋았는데 반해 여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은 음주와 흡연율이 높고, 불규칙적인 식습관과 심리적인 식사장애요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식사섭취방법이 불량하고 영양소 섭취량도 매우 낮아 심각한 영양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기의 적절한 여가활동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노인 스스로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태도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노인복지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나 영양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서민 복식 문화에 관한 연구 (I) -경북 금오산 주변지역의 민속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Folk Costume Culture (I) -Field Research Around The Mt. Kumo Area-)

  • 이은주;홍나영;임재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39-748
    • /
    • 1994
  • These days the Korean costume becomes the formal dress to be worn on particular occasions. The Westernization of life style, inculding dress, has made the costume of wearing traditional dress disappear from Korean's everyday life. This study is launched to investigate the precious textiles and materials of the past before they vanish; this study deals with the materials of folk costume in the early 20th century, preceding Westernization. The research method adopted in the study was interviews of fifth- five elderly persons living around the Mt. Kumo area in Gyungbuk province. The result was that costume culture in that area was poor because people living in the area were economically less well off due to meager agricultural products. There was no variety in the style of costumes to be worn for various occasions. It was also nothworthy that because of no diversification in naming, only one representative word was used to name several types of costumes. On the other h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people in the Mt. Kumo area had religious aspirations stemming from their folk beliefs concerning costumes. They also had an attitude of saving money despite poor economic conditions.

  • PDF

비타민과 무기질의 새로운 영양학적 의미 (New Nutritional Concepts of Vitamins and Minerals)

  • 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295-1309
    • /
    • 2005
  • Nowadays, the nutritional deficits are rarely seen in Korea. However, an increased availability of the highly palatable energy dense, nutrient-poor foods increases the risks of obesity and deficits of vitamins and minerals in the general population. Also, optimum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which varies with age and genetic back ground, might not suffice the poor, young, obese, and elderly people. Young girls and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weight reductions and aesthetic components are prone to micronutrient deficiencies because they restrict food intake and specific micronutrient rich foods. An inadequate intake of vitamins or minerals is associated with reduced physical performance and exercise capacity, increased obesity,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increased DNA damages such as single- and double-stranded breaks or oxidative DNA lesions, and accelerated aging process and increased neuronal damages with mitochondrial oxidative decay. Most of these deleterious effects of the deficit could be prevented by a one tablet of multivitamins with a good balanced diet. High dose B vitamins are frequently administered to overcome the metabolic inadequacy to the people with the less functional enzymes with increased Km values for their coenzymes due to the single gene mutation or due to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some certain antioxidant vitamins are also used in large quantities to overcome the oxidative stress and to repair the damages. In this review, new nutritional concepts of some vitamins and minerals, which are widely used and useful for the children, will be discussed.

규칙적 신체활동을 수행하지 않는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in Sedentary Older Adults)

  • 홍승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82
    • /
    • 200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specially focused on the effect of functional capacity of community dwelling sedentary older adults on self-rated health. Metho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654 community-dwelling sedentary older adults (mean age: 75 year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June in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person interview and direct measurement of functional capa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9.1 program. Result: The elderly rated their health as very good (3%), good (28%), fair (38%), poor (29%0, and very poor (2%). The higher average daily walk minutes ($\beta$=0.12, p<.01), number of chair stand ($\beta$=0.10, p<.05), scores of self-efficacy ($\beta$=0.16, p<.001) and the lower number of disease ($\beta$=-0.44, p<.001) show better self-rated health. Conclusion: Self-rated health is the most commonly used indicators in social epidemiology and geriatric research because it has been known as the good predictor of mortality and reflects health related disability. The finding suggested that daily walking habits, lower body strength, physical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enior's self-perception of health.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associate increas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Changes in Respiratory Function Due to Differences in Mask Blocking Grade and Effects on Cardiovascular Function during Aerobic Exercise with Mask

  • Park, Kwanghyeon;Lee, Sangyeol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3호
    • /
    • pp.289-296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nges in respiratory function due to differences in mask blocking grade, and effects on cardiovascular function during aerobic exercise. Design: Comparative study using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measures. Methods: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mask blocking grade and measured respiratory functions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mask using spirometers, and their cardiovascular cap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pulse oxygen meters and blood pressure meters before and after running for 10 minutes wearing mask. Used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Bonferroni pos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sk blocking grade. 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ree groups except for the Non-mask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ll values of FVC, FEV1, MVV, and PEF after wearing a mask compared to those before wearing a mask(p<0.05).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ovascular functions was also observed after aerobic exercises wearing mask in all group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four groups(p<0.05). Conclusions: Lung patients with poor breathing, elderly and children with poor lung function, and professional groups who need to wear masks and take high-intensity work or aerobic movements are encouraged to take frequent breaks in advance, wear masks and social distancing at moderate and low levels.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성인의 디지털 구강건강 문해력과 디지털 기기 활용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nd digital device utilization among adults in Gangwon-do)

  • 박찬영;김남희;오재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62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adults in Gangwon-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adults aged 30-89 residing in Gangwon-do, South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and occup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l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elderly and those with poor socioeconomic status (p<0.001) had lower average scores due to poor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ease of searching for or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oral health display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r=0.730, p<0.001). To develop the use of digital devices, simplifying the search for oral information (p<0.001) is essential. Conclusions: Al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Both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respondents' living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성, 연령,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의 집단 간 비교 (Comparisons of the Equit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y Sex, Age Groups, and Region)

  • 김진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319-34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이용 형평성지수인 집중지수와 Hiwv지수를 성별, 연령, 지역의 하위집단에 따라 집단 간 차이(Between)에 의한 부분과 집단 내부의 불평등(Within)에 의한 부분, 그리고 잔여 부분(R)으로 분해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이용 횟수에서 남녀의 집단 간 차이가 Hiwv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0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래비용에서는 Hiwv지수 .1035 중 여성들의 집단 내부불평등이 .0441을 설명하고 있어 빈곤여성들의 의료서비스 저이용이 의료이용 형평성에서 중요한 문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래이용 횟수 형평성에 연령집단의 차이는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미세한 양이지만 Hiwv지수 -.0107에서 대부분인 -.0085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는 집단 내부의 불평등 특히, 노년층의 내부 불평등이 .0253을 설명하여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 지역의 내부 격차(Within)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쳐서 Hiwv지수 .1035 중 .0569를 설명하였으며, 이 중 대부분인 .0535를 도시지역의 불평등이 설명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분석된 집단범주 중 외래이용 횟수의 형평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집단은 연령집단이었으며, 외래비용에서는 집단 간 격차보다 집단 내부의 불평등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여성일수록, 빈곤노인일수록, 도시빈민일수록 기대비용에 못 미치는 외래진료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나타냈는데, 이들에 대한 의료비지원 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65세 이상 노인 약물 중독 환자의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of Acute Poisoning in Elderly Patients)

  • 김지윤;정현민;김지혜;한승백;김준식;백진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7
    • /
    • 2011
  • Purpose: Incidents of suicide attempt and acute poisoning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ri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nature of acute poisoning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urvival and mortality groups in the elderly.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325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survival and one death group. Information regarding patient sex, age, root cause of poisoning, time of year of poisoning, type of intoxicant, duration of time between intoxicant ingestion and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otal length of hospital stay, and any previous suicide attempts and subsequent hospitalization were collected. An initial Glasgow Coma Scale (GCS) and an initial and final Poison Severity Score (PSS) for each patient was calculated. Results: The survival rate for men was higher than for women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reason of drug intoxication was suicide, with accidental ingestion and substance abuse occurring in descending frequency. Seasonal factors were reflected in the data with the highest number of incidents occurring in spring and the lowest number in winter. Compared with the mortality group, the survival group had a lower initial PSS with a higher GC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being female, having suicide as a root cause, agrochemicals as an intoxicant, low initial Glasgow Coma Scale and high initial Poisoning Severity Score, are all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 PDF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 김정은;최해경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157-188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손상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주보호자 자신의 신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치매, 뇌졸중, 파킨스병 등의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의 부모 또는 배우자를 6개월 이상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이며, 일대일 대인면접의 서베이 방식으로총 18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주보호자의 주관적인 신체건강은 5점 만점에 평균 2.81점(SD=.93)의 부정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돌봄 활동 요인 중 건강 책임(${\beta}=-.244$, p<.01), 신체적 활동(${\beta}=-.198$, p<.05)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S-D로 측정된 주보호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26.38점(SD=10.53)으로서 임상적으로 매우 심한우울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 돌봄 활동의 영적 성장(${\beta}=-.409$, p<.001)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보호자의 신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자기 돌봄에 대한 인식 개선, 적극적인 자기 돌봄 여건 마련 등을 강조하는 실천적,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