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2초

연면방전의 플라즈마 화학처리에 의한 유해가스제어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Performance for Hazardous Gases by Surface Discharge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

  • 이주상;김신도;김광영;김종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5-190
    • /
    • 1995
  • Recently, because of the worse of the air pollution, the excessive airtught of building and the inferiority of air conditioning system,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technology was enlarged to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an indoor or a harmful working condition. The air purification technology has used chemical filters or charcoal filters or charcoal to remove hazardouse gaseous pollutants (SO$_{x}$, NO$_{x}$, NH$_{3}$, etc.) by air pollutant control technology, but they have many problems of high pressure loss, short life, wide space possession, and treatment of secondary wastes. For these reason, the object of reasearch shall be hazardous gaseous pollutants removal by the surface discharge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 that is A.C. discharge of multistreams applied A.C. voltage and frequency between plane induced eletrode and line discharge eletrode of tungsten, platinum or titanium with a high purified alumina sheet having a film-like plane. As a result, the control performance for hazardous gaseous pollutants showed very high efficiency in the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Also, after comtact oxidation decomposition of harmful gaseous pollutants, the remainded ozone concentration was found much lower than that of ACGIH or air pollution criteria in Korea.rea.

  • PDF

하천 수질정화를 위한 실험실 규모 다단식 토양여과 시스템에서 오염물질 제거에 미치는 운전인자의 영향 (Effects of Operation Parameters on Pollutants Removal in a Lab-Scale Multi-Layered Soil Filtration System)

  • 원세연;기동원;윤민혁;맹승규;안규홍;박준홍;송경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질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다단식 토양여과 시스템의 주요 운전인자인 여재 충전깊이, 선속도 및 연속 또는 간헐운전이 오염물질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재 충전깊이의 증가는 오염물질과 여재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모든 항목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물리화학적 제거에 기인하는 TP와 $NH_4$-N 항목의 제거효율이 상부의 생물학적 활성층에서의 제거에만 주로 기인하는 COD에 비하여 더 큰 증가를 보였다. 한편 선속도의 증가는 여재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에 따라 전반적인 제거효율의 저하를 가져왔으며, 특히 전체 여재층에 걸친 접촉시간에 영향을 받는 TP와 $NH_4$-N 항목에 비하여 표층부의 생물학적 제거에만 기인하는 COD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운전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운전과 간헐운전으로 운전방법을 달리하는 것은 모든 항목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안정적 운전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조건의 유지와 막힘 현상의 가속화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강우유출수 처리습지의 성능평가방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Stormwater Treatment Wetland)

  • 김영윤;김상단;이석모;성기준;송교욱;손민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4-364
    • /
    • 2013
  • The performance of the stormwater wetlands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ntecedent stormwater in storage at the commencement of a stormevent. As inflows are intermittent and stochastic in nature, the evaluation of the treatment efficiency of a stormwater wetland should be considered by runoff capture and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during interevent periods. In this study, analytical probabilistic model is applied to identity runoff capture rate and treatment efficiency of the stormwater wetland. To achieve this, continuous rainfall data recorded in Busan for 31 years has been analyzed to derive the runoff capture rate, and 1st order kinetic decay constants ($k_V$, 1/d) are calculated from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ollutants removal during interevent periods. The results show that about 60.9% of annual average runoff is captured through the stormwater wetland. The annual average treatment efficiencies of SS, BOD, COD, TN and TP is about 11.4, 8.9, 9.8, 4.3 and 9.6%, respectively. The analytical model has been compared with the numerical model and it shows that analytical model is vali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the advantages of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ainfall-runoff, facility type and pollutant removal.

도로청소에 의한 비점오염부하 삭감량 산정방법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Diffuse Pollution Loads Removal by Road Vacuum Cleaning)

  • 이태환;조홍래;정의상;구본경;박배경;김용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3-12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methodologies to reasonably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road vacuum cleaning in terms of pollution loads reduc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two empirical equations to estimate the amount of diffuse pollution loads removed by road vacuum cleaning. The proposed equations estimate the removed amount of pollution loads respectivel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a) the distance of road vacuum cleaning; and b) the amount of road-deposited sediment(RDS). All of the parameters in these equa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results of field monitoring and laboratory analyses, except for the RDS generation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s 46.3% for $BOD_5$ and 56.4% for TP; discharge ratios for particulate and dissolved $BOD_5$ are 35.0% and 21.2%, respectively; discharge ratios for particulate and dissolved TP are 35.0% and 19.4%, respectively. Averag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RDS are $BOD_5$ 977.3 mg/kg and TP 317.6 mg/kg. Some results of a case study imply that both equations can be potentially useful if the adopted parameters are reasonably evaluated. In particular, the RDS generation rate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monitoring data collected from various road conditions.

Evaluation on the suspended solids and heavy metals removal mechanisms in bioretention systems

  • Geronimo, Franz Kevin F.;Maniquiz-Redillas, Marla C.;Hong, Jungsun;Kim, Lee-Hyun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91-97
    • /
    • 2019
  • Application of bioretention systems in Korea is highly considered due to its minimal space requirements, appropriateness as small landscape areas and good pollutant removal and peak hydraulic flow reduction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two lab-scale bioretention type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media configuration and planted with different shrubs and perennials was investigated in reducing heavy metal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Type A bioretention systems were planted with shrubs whereas type B were planted with perennial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CL) and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A-AP) respectively were planted in each type A bioretention reactors while Rhododendron indicum linnaeus (B-RL) and Spiraea japonica (B-SJ), respectively were planted in each type B bioretention reactors.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lab-scale bioretention reactors significantly reduced the influent total suspended load by about 89 to 94% (p<0.01). Type B-RL and B-SJ reactors reduced soluble Cr, Cu, Zn, and Pb by 28 to 45% that were 15 to 35% greater than the soluble metal reduction of type A-CL and A-AP reactors, respectively. Among the pollutants, total Cr attained the greatest discharged fraction of 0.52-0.81. Excluding the effect of soil media, total Pb attained the greatest retention fraction in the bioretention systems amounting to 0.15-0.34. Considering the least discharge fraction of heavy metal in the bioretention system, it was observed that the bioretention systems achieved effectual reduction in terms of total Cu, Zn and Pb. These findings were associated with the poor adsorption capacity of the soil used in each bioreten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estimating the maintenance requirements of bioretention systems.

활성탄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처리 효과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ocessing on Raw Water Purification for Nakdong River)

  • 임영성;강관호;이홍재;서동철;허종수;손보균;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8-215
    • /
    • 2002
  •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탑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과 생물활성탄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체류시간(EBCT)에 따른 수처리 효율은 EBCT가 증가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탄 흡착능력은 감소되어 처리효율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pH 변화는 활성탄 층 깊이에 따라 거의 없었으며, DO는 활성탄 층 깊이가 깊을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KMnO_4$ 소비량, UV254 흡광물질, DOC 및 THMFP 처리효율은 활성탄 표층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탄 상층부에 형성되어 있던 흡착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 DOC의 상당 부분이 활성탄여과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개시 126일 후의 BAC에서 활성탄 표층으로 부터 깊이 20 cm부근에 미생물이 $1.1\times10^7\;cell/cm^3$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물활성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고도정수공정에서 오염물질 제거효율 변화특성과 BAC조의 역세척에 따른 영향 (Vari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Backwashing Effect of BAC Basin in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 박수이;이상봉;신상민;전창재;김창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한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공정의 실험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특성과 처리공정별 오염물질 제거효율의 변화특성을 연구하였고, 활성탄여과조의 역세척에 따른 BAC 내의 미생물 거동을 추적하였다. KMnO$_4$ 소비량 등 8$\sim$9개의 주요 항목을 중심으로 제거특성이 연구되었고, 활성탄여과조의 유입 유출수에 대하여 NH$_3$-N 등 4항목의 농도변화를 추적하였다. 역세척 전 후의 활성탄 시료의 SEM 사진을 촬영하였고, 미생물 생체량(HPC) 조사를 통해 활성탄 부착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입원수의 특성은 대부분의 조사항목이 일정한 농도범위로 유입되었고 그 중 계절적 일관성을 갖는 항목이 있었다. 공정별 제거효율 변화특성은 월별 일정한 유형을 갖는 것, 공정진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제거되는 것, 오존접촉조에서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것 등으로 분류되었고, 현재 운전되고 있는 고도처리공정에서 제거되는 주요 대상오염물질을 구별할 수 있었다. NH$_3$-N의 농도변화 곡선으로 활성탄여과조 내에 미생물이 존재함을 예측하여 SEM 사진과 HPC 측정으로 이를 확인하였다.

고도정수처리단위공정에서 Phthalate Esters의 제거 (Removal of Phthalate Esters in Advanced Water Treatment Unit Processes)

  • 홍성희;한개희;이찬형;이순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61-467
    • /
    • 2005
  • 내분비계장애물질로 분류된 phthalate esters의 제거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상수처리조건에서 회분식으로 제거실험을 한 결과 응집침전은 $26.6{\sim}33.8%$, 오존산화에서는 $10{\sim}15%$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상수처리조건에서 활성탄 흡착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속공정에서 EBCT를 10분 운전했을 때 원수의 phthalate esters농도가 $100\;{\mu}g/L$일 경우 WHO 및 US EPA 먹는 물 기준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Pilot plant 실험결과 응집침전공정에서 $32{\sim}44%$, 사여과 공정에서는 $6{\sim}10%$, 오존산화공정에서 $8{\sim}10%$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활성탄 흡착공정을 거친 후에는 4가지 물질(DEP, DBP, BBP 및 DEHP)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실제 고도처리 정수장에서의 공정별 phthalate esters 제거율은 응집침전 공정에서 $29{\sim}76%$ 정도 제거되었고 모래여과 공정에서 $3{\sim}29%$, 오존산화 공정에서 $17{\sim}22%$ 제거되었으며, 활성탄 처리 후에는 4가지 물질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재순환방식 튜브형 전해모듈시스템을 이용한 안료폐수의 전기화학적 산화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igment Wastewater Using the Tube Type Electrolysis Module System with Recirculation)

  • 정종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411-4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안료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질과 질소를 처리함으로써 재순환방식을 이용한 튜브형 전해모듈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튜브형 전해모듈은 내부 봉형 양극과 외부 튜브형 음극으로 이루어져있다. 양극의 재질은 $RuO_2$로 전착된 티타늄이었고 음극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었다. 재순환형 튜브형 전해모듈시스템에서 오염물질의 제거율은 유량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전해모듈시스템에서 체류시간이 180분일 때 염소산이온의 농도는 382.4~519.6 mg/L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순환방식을 이용한 튜브형 전해모듈시스템에서 염소산이온의 생성은 전기화학적 산화의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 Bench scale의 재순환방식 튜브형 전해모듈시스템에서 전력량을 $4,500C/dm^2$으로 공급하였을 경우 $COD_{Mn}$은 89.6%, $COD_{Cr}$은 67.8%, T-N은 96.8% 그리고 색도는 74.2%가 제거되었으며, 이때 에너지 소모량은 $5.18kWh/m^3$이었다.

상수원 상류지역 인공습지의 5년간 수질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Water Quality for 5 years in Constructed Wetland to Upper Region of Water Source)

  • 박종석;김강석;김용찬;이경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79-4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주암호 상수원 상류지역에 위치한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5년간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월별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BOD는 -19.11~37.72% 범위, COD는 -30.14~27.38% 범위로 BOD 보다 상대적으로 월별 편차가 높게 나타났고 SS는 -54.07~64.82% 범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절별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분석한 결과 TN의 처리효율은 봄과 겨울이 5년간 평균 36.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TP의 평균 처리효율은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계절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