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everance of effor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Modeling The Dynamics of Grit; Goal, Status, Effort & Stress (GSES)

  • Sangdon Lee;Jungh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0-29
    • /
    • 2023
  • Grit or perseverance as a factor for student success and life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the norm in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grit, but they do not address the transient and dynamic behavior well. We, for the first time, developed two linear dynamical models that specifically address the feedback structure of a child's desire to achieve a high grade point average (GPA) and the necessary effort that will increase stress between parents and a child. We call the dynamical model as GSES (Goal, Status, Effort & Stress). The two dynamical models incorporate the positive (i.e., achieving a high GPA) and the negative sides (i.e., effort and elevated stress and thus unhappiness) for being gritty or perseverant. Different types of parenting style and a child's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whether parents and a child are empathetic or stubborn to their expectations and stress (i.e., willing or unwilling to change). Simulations show that when both parents and a child are empathetic to each other's expectation and stress, the most stable situations with minimal stress and effort occur. When a stubborn parent's and a stubborn child were studied together, this resulted in the highest elevation of stress and effort. Stubborn parents and a complying or empathetic child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 stress to a child. Interference from parents may unexpectedly result in a situation in which a child's stress is seriously elevated. The GSES model shows the U-shaped happiness curve (i.e., reciprocal of stress) caused by the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goal

그릿이 조직구성원의 웰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종합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Well-Being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 Case of General Hospital Nurses in South Korea)

  • 시투표;윤선화;김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37-5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 웰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그릿은 지속적 관심과 꾸준한 노력의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종합병원 간호사 23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 가설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그릿의 두 가지 하위차원은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릿의 지속적 관심은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그릿의 꾸준한 노력과 웰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릿(grit)이 웰빙과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 그릿과 웰빙을 연결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이에 종합병원 간호사의 그릿과 웰빙의 관계에 대해 보다 면밀히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Impact of Grit on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Park, Soo-Auk;Cho, Young-Si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0-180
    • /
    • 2019
  • Background: Recently,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reorganize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education, non-cognitive factors are emphasized. Grit, the non-cognitive ability to persevere to achieve an individual's long-term goals, is emerg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grit and core competencies i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se core competenc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350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mplete. The final analysis included 321 students. The survey contents evaluated grit, core competenc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it and core competencies in conjunc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nalyzed using the t-test/Mann Whitney U-test and the ANOVA/Kruskal-Wallis H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Results: The difference of 'gri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grade point average (GPA)'. The difference in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ade', 'department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GPA'. Among the sub-area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core competency'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of dental hygien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re competency'. Meanwhile, 'GPA' was not se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re competency'. Conclusion: Grit, a non-cognitive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e competency, while the effects on GPA, a cognitive facto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competency', which are 'core competency' sub factors.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25-23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Kenny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열의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방안과 다양한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Grit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47-25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무기력,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무기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무기력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을 줄이기 위한 자기분석프로그램과 환경조절프로그램 등의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고등학교 교사의 그릿과 직무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Grit and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 장봉석;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9-14
    • /
    • 2020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그릿과 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의 군집유형별 직무 스트레스 대응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연수에 참여한 고등학교 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노력 지속성은 도전적 및 정서완화 대응행동에 정적 예측변인이었고, 흥미일관성은 회피적 대응행동에 부적 예측변인이었다. 그리고 높은 그릿과 높은 노력 군집 유형이 낮은 그릿 군집 유형보다 도전적 대응과 정서완화 대응행동의 평균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직무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교사의 그릿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Goal Perception, Academic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Female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 임효진;하혜숙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59-8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인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나 학업-가정갈등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끈기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업성취를 포함한 적응적인 지표들을 예측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 64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끈기의 두 요소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적응에 직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경로들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유지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노력지속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끈기 요소의 차별적 예측력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업-가정갈등은 학업적응에 부적 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 Closer Look a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NGUYEN, Khai The;DUONG, Tuyet Minh;TRAN, Nhi Yen;HA, Anh Thao;PHUNG, Y. Nhu Th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호
    • /
    • pp.183-193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investigate how Emotional Intelligence (EI) i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Previous research has revealed that EI is related to positive outcomes such as better performance,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success. However, in most research of EI, this factor has been investigated independently from the effect of contextual factors and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tended the research on the impact of EI on student performance by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impact of EI, individual factors - (1) Perseverance of Effort, (2) Goal Consistency and (3) Goal Clarity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 Program Fit in one study. The resul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1,117 students in Vietnam largel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at EI was an important but not the only factor affecting the student performance. MANOVA and post-hoc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better predicted performance than EI cou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EI on individual performance is more complicated than what we have already known. Future study is encouraged to investigate both the mechanism through which EI impact individual performa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I and other factors that moderate the EI - performance relationship.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 비교 (Comparisons of Perceptions of Success, Grit, Aspiration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신민;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07-628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관심의 일관성, 노력의 인내), 열망(내재열망 - 신체적 건강, 자아성장, 소속감, 공동체 기여; 외재열망 - 명성, 이미지, 경제적 성공) 및 성취목적(숙달목적, 수행접근 목적, 수행회피 목적)에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2개교에서 200명, 일반 고등학교 2개교에서 350명, 총 55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4명을 제외한 496명(회수율 90.18%, 영재학생 153명, 평재학생 34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영재학생과 평재학생 모두의 경우, '성공은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5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근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반면에,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부유한 가정환경'을 선택하는 하는 비중이 영재학생들(48.2%)에 비해 평재학생들(60.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Grit의 하위요인 중 '노력의 인내'와 성취목적 하위 요인 중 '숙달목적 지향성'에서 영재학생이 평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rit의 하위요인 중 '노력의 인내' 요인은 영재와 평재 학생들의 '숙달 지향성'과 '수행접근 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와 평재학생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을 비교한 본 연구 결과는 이들의 성취증진 방안을 강구하는데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in Nursing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원효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9-9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 지역의 간호학과 대학생 1-2학년 총 26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방법,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 그릿의 하위 영역 중 흥미 유지 3.27점(±0.71), 노력 지속 3.35점(±0.69)이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 영역 중 학습계획 3.43점(±0.56), 학습 실행 3.52점(±0.67), 학습 평가 3.47점(0.71)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 영역 중 학문적 적응 3.43점(±0.66), 사회적 적응 3.36점(±0.78), 정서적 적응 3.38점(±0.72), 신체적 적응 3.35점(±0.80), 대학에 대한 애착 3.40점(±0.64)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 (t=2.423, p<.05), 노력 지속 (t=3.761, p<.001) 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2%이었다(F=23.609, p<.001). 간호대학생의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의 하부 영역은 흥미 유지(t=3.112, p<.001), 노력 지속(t=3.930,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3.2%이었다(F=30.608, p<.001).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그릿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대학생활적응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이를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