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 of residence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4초

노부모-성인자녀 동거 가구의 주택개조 실태 및 요구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Housing Remodeling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with Adult Children)

  • 김미희;오지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77-8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actual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offsprings together in Gwangju. We also evalua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needs for remodeling of their houses and the different opinions about those things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off springs. We used comparative and descriptive T-test in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families living in the detached houses than those living in the apartments. The average size of the houses was 100.8 square meters. The mean residence period was 13.5 years. The sons were usually the legal householders. The residents who experienced remodeling before reassigned the furniture and installed the bathtub, which was designed to be sat on comfortably in a common. A few residents installed safety system such as alarms for incident fire or gas, convenient knobs for handling and faucets for running hot or cold water separately. After the installation of alarms, convenient knobs of windows or door, Customer satisfaction for those things were quite high. But that for the installation of safety bar were the lowest in contrast. The most things the old wanted to change were to rearrange bedrooms and bathrooms on the first floor and to decorate them in westernized styles. They didn't need to set up safety bars or shower instrument for modulating heights. The second generation wanted to install the blinds or curtains more than the third generations.

주거가치에 따른 코하우징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According to Housing Value)

  • 조정현;홍서정;곽유미;곽인숙;최정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3-130
    • /
    • 2006
  • This is a basic study to investigate possibility to application of cohousing model into Kore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spondents' housing value, and its influence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social survey. Respondents were 214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by accidenti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verag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t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Housing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amed as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and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Housing values were different by respondents groups. For example,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housing area.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sex, occupation, and period of residence, while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number of family members, housing type, and home ownership. In detail, men than women, single-income family than double-income family, and detached house resident than flat resident had higher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The younger than the elder, and Seoul resident than outskirts resident had higher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Also home owner than tenant, and the higher tradition oriented group had stronger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than others.

  • PDF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 중심- (Research Trends on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김정숙;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41-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와 관련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적 성과와 한계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분석 대상 논문은 자해 관련 문헌 연구가 시작된 2010 년부터 현재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분류절차를 거쳐 수집하였다. 분류범주(일반적 특성, 연구대상, 연구변인, 프로그램 활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비자살적자해와 관련한 국내연구는 2017년(3편)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로 2019년과 2022년을 거쳐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의 선행 연구들이 자해를 경험한 청소년이 주 대상이었다면 초기성인기(대학생)까지 확대되었고 자해 중단경험을 가진 대상과 상담자, 부모로 연구대상이 다양해졌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양적연구가 활발하던 2017년에 비하여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들을(내러티브, 현상학, 근거이론, 메타분석, 사례연구)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of Elderly Residential Care Service Utilization for using Decision Tree Regression)

  • 임정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29-150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차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모형으로는 앤더선과 뉴만(Andersen and Newman)의 행동주의 모델을 토대로 하여 영향요인을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상 노인의 서비스 이용의향이었으며, 이러한 선행요인 다음 중요한 요인으로 자원 요인(수발자 있음 및 동거가족 여부)으로 나타났다. 욕구요인으로는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치매로 인한 문제행동이 있는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있어 완전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앤더슨과 뉴만의 행동주의 이론의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즉 선행요인과 자원요인에 의해 서비스 이용형태가 달라지며, 이러한 선행요인과 자원요인은 욕구요인과 결합하여 실제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시설 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욕구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서비스 내용을 구축하고 지역사회 내 시설서비스 이용노인을 선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서울시 무주택 청년가구의 주거지원 정책이용 의사 영향요인 분석: 가구 및 정책특성을 고려하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y of 2030 Households in Seou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Policy)

  • 성진욱;송기욱;정기성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57-68
    • /
    • 2022
  • 본 연구는 서울시 무주택 취약계층 2030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청년주거지원 정책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과 그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특성과 정책특성 변수를 포괄적으로 분석 모형에 적용하여 최근의 상황에서 청년계층의 주거불안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인 경우, 원룸에 거주하는 경우, 월세로 사는 경우, 코로나 시기 고용부문 상황이 나아진 경우, 청년주거지원정책을 인지하고 있던 경우 주거지원정책에 향후 이용의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기존의 청년 주거지원 사업에 대해서 더욱 강화하고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들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사회초년 청년계층을 위한 정교한 주거지원정책이 필요하다.

大邱의 貧民地域 形成過程과 空間分布의 特性 (Proces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quatter Settlement in Taegu)

  • 배숙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7-592
    • /
    • 1996
  • 우리나라 대도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빈민지역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도시내에서 어떻게 공간이동을 하였는가를 알기 위하여 대구를 사례로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구의 빈민형성은 해방 및 6.25 동란을 겪으면서 그 수가 증대되어 1차적으로 도심가까이에 빈민지역을 형성하였고 그 후 도시와의 진전에 따라 도시주변지역의 무단점거에 의한 2차적 빈민지역이 형성되었다. 2) 최근에서 도시재개발사업에 환경이 개선되어 일반거주지역으로 전환되었거나 혹은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건립되어 저소득층은 그 곳에 거주하지 못하고 도시근교의 영구 및 임대아파트 단지내에 대규모로 집단화하여 거주지의 수평적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PDF

재일한국인(在日韓國人)에 對(대)한 사회의학적조사(社會醫學的調査) (Socio-medical Surveys on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 김병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6권1호
    • /
    • pp.101-117
    • /
    • 1973
  • Socio-medical survey was carried out on six hundred and thirty Korean households in the cities of Tokyo, Osaka, Kyoto, and Nagoya in Japan from Nov. 1972 to Dec. 1972,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ge distribution of households showed the highest occurence in the group of 40 to 49 years of age in the both sexes. Families with five members showed highest occurence, and the average number of familial members was 5.7 persons per one household. 2. More than half of the householders were some independent enterprisers rather than to be the employees and most of the household had one familial member engaged in more or less liberal profession. 3. 19.4% of households moved into these cities from 1941 to 1945. 4. 40.5% of all the households had their own houses. The possession rate of one's own house was higher in the households which had long period of residence in Japan. 5. 83.5% of all households had various medical insurances. And the 6.2% of the household which had no insurance stated that the reason for not being affiliated was 'because to be the foreigner'. Household of shorter dwelling period had less tendency to be affiliated to the various insurances. 6. In 41.3% of all the households, average medical expenditure amounted to 1000-5000 Yen per month. And only 25.6% of household stated that they do not worry about the medical expenditure for the futures. 7. 66.3% of households were consulting to medical doctors for their sickness, such as toothache, severe coughing, profuse sputum, children's fever and stomach pain etc. 8. 59.4% of households were using the facilities of health center services. The health center service was used mainly for individual health service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19.8% of households were not aware of health center activities. 9. It was found that 23.5% of households received the screening test of the tuberculosis and adult diseases. Especially, the rate of screening test of the adult diseases showed as following ; stomach cancer, 8.9% ; hypertension, 7.9% ; diabetes mellitus, 2.1% ; and uterus cancer, 1.6%. 10. Birth control was carried out in 17.3% of households but not in 52.5%. The chief reason of birth control was 'because of poor maternal health' (40.0%) or 'should not be done' (5.4%). 11. Most of them are obtaining the knowledges and informations on family plannings. public nuisance problems and nutritions etc. by means of the mass communications, while those no preventing diseases and the environmental hygiene through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 PDF

한국(韓國) 일부(一部) 농촌지역(農村地域)의 출생사건(出生事件)과 출생신고(出生申告)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Birth Registration Data in Rural Korea)

  • 지정옥;김영기;김기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0권1호
    • /
    • pp.109-117
    • /
    • 1977
  • The improvement of civil registration reguires continuous study rather than periodic efforts. More and better statistics, however, are urgently required to formulate development programs and planning. Data obtainable from the civil registration are usually marred by errors of omission which are difficult to correct.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problems occuring when a set of crude birth registration data in a rural area is used. Data Sources of this study are: 1) For birth registration: government birth registration records obtained from myun office and other government offices. 2) For the actual number of births: birth and child records from the Kang Wha Community Health Project The study area is Sunwon Myun and Naega Myun in Kang Wha Gun, Gyunggido. The referrance period for the accumulated data is one full year: Jan. 1st 1975-Dec. 31st 197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f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is compared with the actual number of births which occured in the target area, the former is far greater than the latter. The general assumption usually is, that the actual number of births exceeds the registered number of birth in Korea. The observation from this specific study in this specific target area, shows the opporsite trend. The number of births which were registered is 550. This is more than two times as much as the number of births which actually occured during the year of 1975 in the study area namely 256. The difference comes mainly from the fact that many cases of births from other areas were registered in the target area. In other words birth is not registered where it occured but where the permanent residence adress is. Among 550 births registered in the target area 66% did not occur in the target area. Only one third of all registered births were registered within the legal period for birth registration which is 2 weeks. 34% of the registered births actually occured in 1974, but were registered in 1975. In 55% of the cases a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ctual date of birth and the registered date of birth. From the 256 births which occured in the target area, only 153 births (59%) were registered at the myun office and the remaining 130 births (41%) were not resistered there in the year of study. 6% of the 550 cases listed as registered have no seperate registration sheets. Nevertheless, they definitly have been registered in the birth list at the myun office. 3% of the 550 cases are not recorded in this list but have a separate registration sheet at the myun office. In conclusion, birth registration data have many errors and problems. Their usefulness as. a source for vital and other statistics should be reconsidered. A series of sound methological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ir actual usefulness. A continuous and permanent compulsory system of birth recording is needed.

  • PDF

한국인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A Conceptual Scheme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Koreans and Analyses of the Marriage and Divorce Registration Data)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9권1호
    • /
    • pp.25-56
    • /
    • 2006
  • 이 논문은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를 활용하여 1990년 이후 한국인의 국제결혼 증가추이와 이에 관련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은 국제결혼의 증가를 혼인력 변화의 한 단면으로 규정하고 그 인과구조에 관한 설명 틀을 제시하고 있다. 국제결혼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한 주요 원인으로는 출산력의 지속적인 저하, 출생성비의 상승, 농촌-도시 인구이동, 양성평등 관념의 확산과 세계화가 강조되었다. 이 논문의 분석에 사용된 주요 자료는 $1999{\sim}2004$년 혼인신고자료와 $2000{\sim}2004$년의 이혼신고자료이다. 이 논문은 국제결혼한 부부들의 연령, 초혼 여부, 교육, 직업, 거주지 등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혼한 부부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분석도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국제결혼의 다양성이 그동안 간과되어 왔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한국 남자와 여자의 국제결혼은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확연하게 대비된다. 그리고 외국인 배우자의 국적에 따라서도 커다란 차이가 발견된다. 혼인적령인구의 성비불균형으로 인하여 혼인시장에 가해진 압박에 의해 촉진된 국제 결혼은 주로 한국 남자와 중국, 동남아시아 및 구소련연방 국가의 여자와의 결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 남자와 선진국 여자의 결혼이나 한국 여자의 국제결혼은 가치관의 변화와 세계화에 따른 인적교류의 확대에 기인하는바 크다고 판단된다.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 김미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193-217
    • /
    • 2005
  • 탈북자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탈북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다른 연구분야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비교적 많은 대상을 조사하여 과학적인 분석방법으로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우울성향에의 영향을 추론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164명이며 분석방법은 t 검증, 변량분석(ANOVA)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중요한 탈북자의 인구학적인 변인과 탈북 이후의 변인인 중간경유지의 체재기간, 한국에서의 거주기간, 한국에서의 정규교육 유무가 회귀분석에서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집단참여는 탈북여성이 탈북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능적 사회적 지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한국에서의 재교육은 우울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직상태는 탈북자들의 적응스트레스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교회, 사회, 탈북자단체 등의 집단에의 참여는 우울성향을 감소시키고 있고 기능적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도 우울성향을 감소시키지만 도구적 지지는 우울성향을 증가시키므로 탈북자들의 상황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이 요청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