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3초

대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및 항균활성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sp.) Extracts)

  • 김낙구;조숙현;이상대;류재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75-480
    • /
    • 2001
  • 대나무의 추출물을 3$^{\circ}$Brix로 조정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줄기가 1.0~1.5%였고, 잎은 3.1~3.2%로 잎의 추출수율이 줄기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대조구인 죽력이 86%, BHT 93%, BHA 95%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맹종죽 62%, 솜대 55%, 왕대 52%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잎 추출물에서는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잎 추출물이 줄기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는데, 맹종죽 63%, 왕대 57%, 솜대 55%의 순이었고, 줄기 추출물은 솜대와 왕대가 모두 10%를 나타내었으나, 맹종죽에서는 그 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물의 항균환성은 주요 식중독균 중 그램 양성균 3종과 음성균 4종으로 시험하였는데, 전 죽종의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균주중 Stapfylococcus aure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솜대줄기와 맹종죽잎의 추출물의 경우 이들 균주에 대해 100${\mu}\ell$/disc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 PDF

Simultaneous Detection of 10 Foodborne Pathogens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Based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 Oh, Mi-Hwa;Hwang, Hee-Sung;Chung, Bo-Ram;Paik, Hyun-Dong;Han, Sang-Ha;Kang, Sun-Moon;Ham, Jun-Sang;Kim, Hyoun-Wook;Seol, Kuk-Hwan;Jang, Ae-Ra;Jung, Gyoo-Yeo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1-246
    • /
    • 2012
  • This report outlines the development of a rapid, simple, and sensitive detection system for pathogenic bacteria using a capillary electrophoresis-based,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CE-SSCP) combined with PCR. We demonstrate that this method, used with primers targeting the V4 region of the16S rRNA gene, is capable of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10 microbes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foodborne illness, caused by animal-derived foods: Salmonella enterica,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O157:H7, Campylobacter jejun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Yersinia enterocolitica,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sakazakii. The traditional detection techniques are time-consuming and labor-intensive, due to the necessary task of separate cultivation of each target species. As such, the CE-SSCP-PCR method, that we have developed, has the potential to diagnose pathogens rapidly, unlike the traditional technique, in order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in a much more efficient manner.

Lacte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Gram 음성균에 대한 작용형태 (Mode of Action of the Bacteriocan from Lactobacillus sp. GM7311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 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1999
  •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작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이 진행 중인 세 가지 시험균주의 TSB 배양액에 일정한 시간 간격별로 최종 농도 100 BU/ml가 되도록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후 그 균수 변화와 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험 균주의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한 경우 Proteus mirabilis의 경우는 대수증식기 중기 이전까지의 지시균에 대해서 강한 억제작용을 보이는 반면, Vibrio parahaernolricus와 Escherichia coli는 첨가 시기 모두에서 급격한 균수 감소를 보였으며 다만 정지기에 있어서는 저해 효과가 적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세 가지 시험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Lactobacillus sp. GM731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시험 균주의 세포벽 파괴와 함께 세포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bacteriolytic action 형태를 보였다. 증식 시기별로 박테리오신을 첨가하여 각 균주별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증식시기를 선택해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의 경우는 세 균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방산은 크게 감소하는 성분은 없었지만 각 성분들의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hloride Salts and Organic Acid Salt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이나영;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33-1238
    • /
    • 2003
  •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할 때 6종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Bioscreen C(600 nm)를 이 용하여 시험 하였다. E. cereus는 sodium chloride 7% 또는 potassium chloride 9% 처리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Calcium chloride는 3% 농도에서 E. coli O157:H7과 S. aureus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Magnesium chloride는 5% 농도에서 B. cereus, S. Typhimurium 및 S.aureus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는 calcium propionate>calcium acetate>calcium lactate 순으로 나타났다. S. Typhimurium은 calcium chloride 단독 처리 할 때는 5% 이상 농도에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chloride 3%와 젖산 0.01%를 병용할 때 같은 효과가 나타나 단독 사용할 때 보다 병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Killer Toxin 생산 균주 Pichia anomala K15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ichia anomala K15 Producing Killer Toxin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 정희경;박치덕;이기동;박승춘;박환희;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77-10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거나 이상발효를 방지하기 위해 미생물 유래의 천연 항균성 물질인 killer toxin 생산 균주인 K3, K5, K11, K12, K15를 전통누룩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killer toxin 생산 균주 중 식중독의 원인균인 Salmonella Typhimurium 및 장염비브리오의 원인균인 Vibrio parahaemolyticus의 생육을 저해하며, killer toxin 활성이 가장 우수한 K15를 최종 선발하고 이를 Biolog사 동정시스템과 ITS영역의 염기서열 homology를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Pichia anomala에 99% 상동성을 나타내어 Pichia anomala K15로 명명하였다. P. anomala K15가 생산하는 killer toxin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불활성화 되므로 인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가 가능한 안전한 항균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 anomala K15는 에탄올 내성은 약하나 고농도의 당에서 저항성이 크므로 주조 발효초기 환경에서의 이상발효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의 대식세포이동저해인자 (MIF,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유전자 동정 및 발현분석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the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gene from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박은희;신은하;김영옥;김동균;공희정;김우진;안철민;남보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41-247
    • /
    • 2016
  •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are well-defined role as unique cytokine and critical mediator in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utoimmu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 full-length of MIF cDNA from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The full-length cDNA of abMIF was of 1264 bp, consisting of a 5'-terminal UTR of 143 bp, an open reading frame of 360 bp and a 3-terminal UTR of 761 bp. The abalone MIF cDNA encodes a 119-amino acid polypeptide with a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13.4 kDa and isoelectric point of 9.07. Multiple alignments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the deduced abalone MIF protein and showed strong homology with disk abalone (Haliotis discusdiscu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abMIF exhibited homology with other reported MIFs, such as 80%, with that of other disk abalone H. discus discus MIF gene.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abMIF was highly expression observed in hapatopacreas, intestine, foot, and gonad of normal conditioned abalone. Even though AbMIF mRNA level in hemocytes was low under the normal condition, it was sharply up-regulated and reached the maximum at 6 h post-infection with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n decreased at 24 h post-infe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abMIF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ponding in the innate immune system.

라이소자임 활성을 보유한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Cell-Free Supernatant Possessing Lysozyme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이지연;임혜지;김미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4호
    • /
    • pp.330-343
    • /
    • 2018
  •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natural preservatives because of increased consumer interest in health. In this study, we produced Lactobacillus rhamnosus cell-free supernatant (LCFS) and evaluated and compared its antimicrobial activity with existing natural preservatives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in chicken breast meat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Lactobacillus rhamnosus cell-free supernatant possessed 30 units of lysozyme activity and contained 18,835 mg/L of lactic acid, 2,051 mg/L of citric acid and 5,060 mg/L of acetic acid. Additionally, LCFS inhibited the growth of fourteen pathogenic bacteria, 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innocua, S. epidermidis, L. ivanovi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 Shi. flexneri,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fluorescens, and Klebsiella pneumonia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CFS was stronger than that of egg white lysozyme (EWL), Durafresh (DF) and grapefruit seed extract (GSE). Additionally, LCFS maintained its antimicrobial activity after heat treatment at $50^{\circ}C{\sim}95^{\circ}C$ and at pH values of 3~9. Moreover, LCFS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and S. aureus in chicken breast meat.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LCFS, which contains both lysozyme and three organic acids, will be useful as a good natural preservative in the food industry.

떫은감에서 분리한 탄닌성분의 기능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 서지형;정용진;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2-217
    • /
    • 2000
  • 떫은감 탄닌성분의 이화학적 기능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과실의 숙도에 따라 탄닌성분을 분리하여 단백질반응성, 항산화능, 아질산염 제거능 및 부패성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떫은감 탄닌성분의 단백질 반응성은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녹숙감과 완숙감에서 분리한 탄닌성분이 연시에서 분리한 탄닌성분에 비해 단백질 반응성이 높았다. 녹숙감의 탄닌성분은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pH 1.2에서 30mg 탄닌처리시 아질산염제거능이 거의 100%에 달했다. 또 한 녹숙기 탄닌은 부패성 미생물에 매해 뚜렷한 저해를 보였으며, 특히 E. coil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저해가 현저하였다. 완숙기 탄닌성분의 경우 pH와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능과 pH 1.2에서 93.91%의 아질산염제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연시 탄닌성분은 항산화능, 아질산염제거능이 매우 낮았으며, 미생물 생육저해능도 미미하여 녹숙기 완숙기 탄닌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 김선봉;여생규;안철우;김인수;박영범;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3-298
    • /
    • 1995
  •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steamed, roasted), oolong tea and black tea was investigat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tea extraxcts against 9 well known strains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such as the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was determined at 37$^{\circ}C$.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steamed green tea and the roasted green tea of the water-soluble fraciton, and the steamed green tea of the methanol-soluble fraction, and the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and the oolong tea of the crude catechin fraction. The MIC of these extracts against B. subtillis were 700$\mu\textrm{g}$/ml, 500$\mu\textrm{g}$/ml and 120 $\mu\textrm{g}$/ml, respectively. The crude catechin fraction possesse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did the other fractions. Among tea extracts, extracts of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and oolong tea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em of black tea. The MIC of the crude catechin fraction obtained from tea extract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M. Iuteus, B. subtillis and S. mutans were 30~50$\mu\textrm{g}$/ml, 120~240$\mu\textrm{g}$/ml and 120~180$\mu\textrm{g}$/ml, and against Gram-negative bacteri such as e. aerogenes and V. parahaemolyticus were 50~60$\mu\textrm{g}$/ml and 60~70$\mu\textrm{g}$/ml in the broth medium, respectively. Especially, the MIC to Streptococcus mutans which has known as a causative bacteria of a decayed tooth were 120$\mu\textrm{g}$/ml, 140$\mu\textrm{g}$/ml, 180$\mu\textrm{g}$/ml and above 1,000$\mu\textrm{g}$/ml in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respectively. Tea extracts had strong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and dental bacte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