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nter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근대의 서화가 송은(松隱) 이병직(李秉直)의 생애와 수장활동 (The Life and Art Collection Activities of Modern Korean Painter and Calligrapher Yi Byeong-jik)

  • 김상엽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477-516
    • /
    • 2010
  • 최근 한국미술사학계에서는 우리나라의 미술시장과 미술품 수장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명품대가(名品大家) 및 그 유파, 영향 등을 추적하고 분석하던 종래의 연구경향과 한계를 극복하고 미술과 사회, 미술품 유통과 소비 등 기존의 연구방식과 관점으로는 접근하기 힘들었던 주제에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글에서는 일제시기의 손꼽히는 서화가이자 수장가 가운데 한 사람인 송은 이병직(1896-1973)의 생애와 예술 및 수장활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작업은 필자가 최근 시도하고 있는 한국 근대 수장가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요 수장가 개인의 구체적 삶의 양상을 복원하고 수장활동 및 수장품의 대강을 파악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굴지의 수장가 가운데 한사람이었던 이병직은 자신의 방대한 수장품을 1937년과 1941년 두 번의 경매회에서 처분하였고, 1950년 6.25 두 주 전에는 또 한 번의 경매회를 개최하여 전적류를 처분하였다. 이병직이 이처럼 자신의 수장품을 처분한 것은 교육에의 투자를 위함으로 여겨진다. 이와 함께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도 '국보' "삼국유사"를 안전하게 잘 간수한 사실은 수장가로서의 모범을 보여준 미담이다. 이병직이야말로 수장과 사회로의 환원 및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모범적 수장가의 모습을 보여준 인물이 아닐까 싶은 것이다. 그러나 이병직의 일생을 제한하고 규정한 것은 그가 내시였다는 점이다. 이병직이 뛰어난 서화가, 중요한 수장가, 예리한 감식안이었지만 미술계에서 주류가 되지 못한 것은 그가 내시였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리라 추정되는 것이다.

펠릭스 누스바움 박물관의 건축 개념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bodiment of Architectural Concept in Felix Nussbaum Museum)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9-5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of embodying architectural concept in Nussbaum Museum for complementing present abstract and generalized research.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certain concept and Nussbaum museum through analyz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earching its principles by concrete application of concept. The Architectural concept "Museum without exit", which Libeskind applied to Nussbaum Museum, is based on the dramatic life of Jewish painter Felix Nussbaum with relation to Holocaust, physical background of site and features of program, Libeskind Applied his architectural concept from the beginning to the most parts of the museum. His new museum subverts notions and logic of general features of existing museums. Libeskind's architectural concepts are especially applied to site plan, massing, circula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Museum without exit" creates labyrinth like circulation based on stories including Nussbaum's life, his painting tendency and circumstances of those days. It also realize sensuous space through spatial shape and light control. Although some critics criticize that this museum is not suitable for paint collection because of overwhelming strength of architectural space. However, considering this museum's function of a kind of Holocaust museum beyond personal art gallery, Libeskind's 'museum without exit' shows effective realization of architectural concept for Jewish painter Felix Nussbaum's museum.

Exposure Assessment Suggests Exposure to Lung Cancer Carcinogens in a Painter Working in an Automobile Bumper Shop

  • Kim, Boowook;Yoon, Jin-Ha;Choi, Byung-Soon;Shin, Yong Chu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4호
    • /
    • pp.216-220
    • /
    • 2013
  • A 46-year-old man who had worked as a bumper spray painter in an automobile body shop for 15 years developed lung cancer. The patient was a nonsmoker with no family history of lung cancer. To determine whether the cancer was related to his work environment, we assessed the level of exposure to carcinogens during spray painting, sanding, and heat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pray painting with yellow pain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exavalent chromium in the air to as much as $118.33{\mu}g/m^3$. Analysis of the paint bulk materials showed that hexavalent chromium was mostly found in the form of lead chromate. Interestingly, strontium chromate was also detected, and the concentration of strontium chromate increased in line with the brightness of the yellow color. Some paints contained about 1% crystalline silica in the form of quartz.

"풍공유보도략(豊公遺寶圖略)"의 복식사적 의미 (Historical Meaning of PungGongYuBoDoRyak)

  • 장인우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124-136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Punggongyubodoryake. Punggongyubodoryak was the records and pictures written by Ohgyeongmun(吳景文, Painter) and Gangbonpungeon(岡本豊彦, a Japanese painter, 1773~1745). in 1832. Those records and pictures were about the gifts which Korea's King(宣祖, 1567-1608) sent to Doyotomi Hideyosi(豊臣秀吉, Pungsinsugil) in 1590. Most of the gifts were of the Korean costume, which meant that Korea recognized Doyotomi Hideyosi as the new general of Japan, Tokugawa Shogunate(幕府將軍). The pictures of every Clothing in punggongyubodoryake described forms of every cloth and delineated ornamental patterns and sizes of clothing as closely as actual, they were clothes of the Middle period of Chosun. the author of the study inferred that it would be one of the impotent material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mong the clothes, there were several danryeongs(단령, ceremonial coat), okgwan (玉冠 woman headdress with) and paeok(佩玉, pendents with jade stings) and choongdan(中單 ceremonial undercoat) and Sang(裳, ceremonial Skirts for man), gyeontongsuseulran (肩通袖膝襕, chinese coat) was recorded in punggongyubodoryake. they were not a set of clothes for ceremonial costume but a mixture of men's and women's costume, of korean and abroad styles. the author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was actually a good proof that the gifts were sent to Hideyosi only as courtesy, which meant for downgrading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Fashion in the Works of Women Impressionists - Focusing on the Works of Mary Cassatt and Berthe Morisot-

  • Lee, Keum Hee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6호
    • /
    • pp.102-1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that appeared in the daily life of bourgeois women in Paris in the late 19th-century, and to examine the attitudes women showed toward fashion in the modernized city of Paris.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and a visual data analysis study targeting fashion of bourgeois women from 1860s to 1900s out of Mary Cassatt's 155 works and Berthe Morisot's 147 works from Wikiart's digital images.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showed in fashion in terms of women's painter's work, women's daily life, and women's space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subject matter of their works was restricted to the house, fashion was described with the sensual colors, elegance, and sophistication anticipated of a woman's nature. The represented attitude toward women and fashion includes advice for pursuing the dignity of maternal love and women's intellectual life, as well as an attempt to reflect a current point of view on the woman image. Second, the daily life of bourgeois women was childcare, needlework, reading, and grooming. They valued socialization and entertainment as well as intimacy and education with children, so they wore different cloth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dress appropriately both at home and when going out. Third, despite the fact that the public space for women was limited, they dressed elegantly in a variety of trends when they went out. This was fashion worn only for appearance.

용주사(龍珠寺)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A Review Examining the Dat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 Identification of the Painter, and Investigation of the Documentary Records of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 강관식
    • 미술자료
    • /
    • 제97권
    • /
    • pp.14-54
    • /
    • 2020
  • 용주사 <삼세불회도>에 대한 연구는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이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모두 일치되도록 정합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용주사 <삼세불회도> 연구에서 제기된 19세기 후반 화승 제작설과 1790년에 제작된 원본을 1920년대에 일반화가가 서양화법으로 개채한 것이라는 소론은 실증성과 논리성이 결여되어 성립되기 어렵다. 현존 <삼세불회도>의 축원문(祝願文)은 세자(世子) 책봉을 받지 않은 원자(元子)만 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관습대로 의례적인 삼전(三殿) 축원문을 썼다가 이를 주사로 지우고 다시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자궁저하수만세(慈宮邸下壽萬歲), 왕비전하수만세(王妃殿下壽萬歲), 세자저하수만세(世子邸下壽萬歲)"라는 특별한 내용과 예외적인 순서로 개서(改書)했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화의 축원문 형식과 내용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조대 왕실의 전례(典禮)를 면밀히 분석해 볼 때, 현존하는 <삼세불회도>가 1790년의 창건 당시에 그려졌던 원본 진작임을 말해주는 가장 확실한 객관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삼세불회도의 형식(形式)과 도상(圖像), 양식(樣式), 미감(美感), 화격(畫格) 등을 18~19세기 불화나 궁중화원 양식과 다각도로 비교분석해 보면 용주사 <삼세불회도>는 1790년경 전후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축원문(祝願文)에 대한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18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종교적 위상에 따라 존상의 크기가 결정되고 화면 구성도 근하원상(近下遠上)의 고식(古式) 원근법에 따라 관념적, 평면적 조형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 <삼세불회도>는 투시법적 원근법의 논리에 따라 구축된 입체적 공간 속에 존상들을 매우 체계적으로 배치한 뒤 서양화(西洋畫)의 음영식(陰影式) 명암법(明暗法)을 적극적으로 구사하며 흰색 하이라이트와 그림자까지 표현함으로써, 마치 삼세불회(三世佛會)의 장엄한 세계가 눈앞에 실제로 펼쳐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 투시법적 원근법의 내적 질서와 음영식 명암법의 외적 착시는 골육합체(骨肉合體)처럼 내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흰색 하이라이트만 떼어내서 후대에 개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더구나 이 <삼세불회도> 같은 고도의 서양화법과 높은 화격(畫格)의 창의적 융합은 조선후기 회화사상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 같은 정조대의 궁중화원만이 이룩할 수 있는 고도의 양식이자 화격이다. 용주사 주지 등운(等雲)이 창건 이래 용주사에 전해져온 기록을 토대로 『용주사사적(龍珠寺事蹟)』을 정리하며 김홍도가 <삼세불회도>를 그렸다고 기록한 것은 이것이 당시의 역사(歷史)이자 실상이었기 때문이다. 조정의 공식 기록인 『일성록(日省錄)』과 『수원부지령등록(水原府旨令謄錄)』에는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이 감동(監董)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는 의례 화승(畫僧)들이 그려왔던 불화를 관원 신분의 화원에게 그리도록 하는 것이 엄격한 관직 체제나 운영상 부당한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명분상 감동으로 발령한 뒤 실제로는 불화를 직접 그리도록 했던 데서 나타난 결과였다. 영정조대의 어진(御眞) 도사 과정에서 감동으로 불러들인 문인화가 조영석(趙榮祏)과 강세황(姜世晃)에게 국왕이 직접 그릴 것을 요구했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감동(監董)'과 '집필(執筆)'은 경우에 따라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개념으로서 '감동'이 '집필'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겸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용주사사적』의 기록은 『일성록』이나 『수원부지령등록』은 물론 황덕순의 「닫집 원문」 기록과도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행간의 의미를 찾아 복합적으로 읽으면 각각의 맥락과 필요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표리를 다르게 기록해 놓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할 때 우리는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을 모두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알베르티의 『회화론』과 원근법 (Alberti's 『On Painting』 and Perspective)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3-242
    • /
    • 2016
  • The painter Leon Battista Alberti insisted that mathematics was very important in painting in his famous book "Della Pittura(On Painting)" at 15th century. At the first part of the book, he explained about points, lines, and planes mathematically. And he emphasized that the proportion was very useful for accurate description of objects. This is the perspective that Alberti showed by using visual pyrami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lberti' s method and the background of Alberti's perspective.

사영기하학과 르네상스 미술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68
    • /
    • 2003
  • Mathematics and arts ar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e ages, since they have human inner parallel vision. Therefore, in ancient Greek ages, the artists' cannon was actually geometric ratio, golden section. However, in middle ages, the Euclidean Geometry was disappeared according to the Monastic Mathematics, then the art was divided two categories, one was holy Christian arts and the other was secular arts. In this research, we take notice of Renaissance Painting and Perspective Geometry, since Perspective Geometry was influenced by Renaissance notorious painter, Massccio, Leonardo and Raphael, etc. They drew and painted works by mathematical principles, at last, reformed the paradigm of arts. If we can say Euclidean Geometry is tactile geometry, the Perspective Geometry can be called by visual geome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