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cattle manur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Vermicomposting에 의한 우분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eatment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 조익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3-102
    • /
    • 2003
  • This research was made to determine the optimum mixing ratio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investigating the effect that gets the growth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earthworm and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at processing process when handled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treatment system of organic wastes by vermicomposting. Survival ratio of earthworm was highest in the mixing ratio 80~100% : 20~0%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and the increasing ratio was highest in cattle manure 100%, and the number of young worms, the weight of young worms and the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60% of cattle man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Total nitrogen and carbon contents in earthworm cast were decreased when rearing time of earthworm was increased. Carbon and nitrogen rate(C/N) of earthworm cast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80% of cattle man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pH in earthworm cast was higher than that in residual matter. The contents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in the higher mixing ratio of food was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 PDF

전전환 논에서 우분시용이 토양화학성 및 Silage 옥수수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the Soil Properties , Yield Performance and Quality of Silage Corn Cultivated on Paddy land)

  • 진현주;양종성;김정갑;정의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86
    • /
    • 1996
  • Silage wm(cv, Gwanganok) was cultivated during 1991-1994 on paddy land as a rotational cropping system of rice, to evaluate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the soil characteristics, yield performance and quality of com plant. The treat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non-fertilizer, NPK standard in chemical fertilizer(N:$P_2O_5$ : $K_2O$= 200 : 150 : 150 kg/ha), cattle manure 20.40, 60 and 80 ton/ha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improved soil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s in the soils. During the experiment, soil pH was improved from 4.7 in the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control) to 5.4-5.6 in the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and available $P_2O_5$ wntent was increased from 72.2 ppm(contro1) to 340.2 ppm(cattle manure 80 ton/ha).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increased plant growth, plant height and stalk diameter, and silage yields. Dry matter yields were produced 15.88 ton(chemical fertilizer), 20.11 ton(cattle manure 40 ton) and 21.22 ton/ha(cattle manure 80 ton/ha). However, no signicant yield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attle manure 40, 60 and 80 tonlha Production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and net energy for lactation(NEL) were also increased under cattle manure application. From the abobe results, the proper application amount of cattle manure was 40 tonha in this experiment.

  • PDF

우분뇨 시용이 하계사료작물의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Manure on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Livestock per Unit Area of Summer Forage Crops)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8
    • /
    • 2011
  • 본 실험은 가축분뇨에 의한 유기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를 재배 시 가축분뇨의 종료와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적절한 사료작물의 선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 수준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는데, 옥수수와 사초용 수수의 건물수량, 조단백질(CP) 수량 및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무비구가 ha 당 각각 8.5, 0.30 및 4.6톤 그리고 8.1, 0.34 및 4.3톤/ha으로 모든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낮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고(p<0.05),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18.7, 1.02 및 14.3톤 그리고 22.8, 1.02 및 12.2톤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옥수수의 경우, 액상 우분뇨와 발효 우분을 100~150% 시용한 구는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이 ha 당 각각 11.4~13.2, 0.63~0.73 및 8.3~9.2톤 그리고 11.1~11.8, 0.45~0.48 및 7.6~8.0톤으로 무비구 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8.8, 0.48 및 6.9톤/ha) 보다 높았다. 사초용 수수도 액상 우분뇨 100~150% 시용구가 ha 당 각각 13.7~18.1, 0.50~0.81 및 7.1~9.7톤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높았으며 다음으로 발효우분 100~150% 시용수준에서 ha 당 각각 12.0~14.7, 0.46~0.53 및 6.6~7.7톤을 나타내어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9.5, 0.38 및 5.1톤/ha)와 무비구 보다 높았다. 유기 한우 암소 육성우 약 450kg을 일일 증체 400g 목표로 하여 옥수수를 유기 사료 자원으로 70% 급여할 시에 필요로 하는 조단백질과 TDN 함�c을 감안할 때, 액상 우분뇨 150% 시용구(각각 4.7과 7.3 및 평균 6.0두)>액상 우분뇨 100% 시용구(각각 4.1과 6.6 및 평균 5.3두)>발효우분 150% 시용구(각각 3.1과 6.3 및 평균 4.7두)>발효우분 100% 시용구(각각 2.9와 6.0 및 평균 4.4두)>무비구(각각 1.9와 3.6 및 평균 2.8두)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사초용 수수의 경우에는 액상 우분뇨 150% 시용구(ha 당 각각 연간 5.2와 7.7 및 6.4두)>발효우분 150% 시용구(각각 3.4와 6.1 및 평균 4.8두)>액상 우분뇨 100% 시용구(각각 3.2와 5.6 및 평균 4.4두)>발효우분 100% 시용구(각각 2.9와 5.2 및 평균 4.1두)>무비구(각각 2.2와 3.4 및 평균 2.8두) 순으로 유기가축 사육능력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토양에 인산과 칼리 등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의 시용은 사초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유기가축 사육능력도 증대하여, 가축분뇨재활용을 통한 유기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hydrothermal pretreatment on methane potential of anaerobic digestion sludge cake of cattle manure containing sawdust as bedding materials

  • Jun-Hyeong Lee;Chang-Hyun Kim;Young-Man Yoo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5호
    • /
    • pp.818-828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hydrothermal pretreatment of anaerobic digestion sludge cake (ADSC) of cattle manure on the solubi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the methane yield to improve the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of cattle manure collected from the sawdust pens of cattle. Methods: Anaerobic digestion sludge cake of cattle manure was thermally pretreated at 160℃, 180℃, 200℃, and 220℃ by a hydrothermal pressure reactor, and the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DSC hydrolysate was analyzed. Methane yield recovered by the hydrothermal pretreatment of ADCS was estimated based on mass balance. Results: The chemical oxygen demand solubilization degree (CODs) of the hydrothermal hydrolysate increased to 63.56%, 67.13%, 70.07%, and 66.14% at the hydrothermal reaction temperatures of 160℃, 180℃, 200℃, and 220℃,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volatile solids content obtained after the hydrothermal pretreatment, the methane of 10.2 Nm3/ton-ADSC was recovered from ADSC of 1.0 ton, and methane yields of ADSC hydrolysate increased to 15.6, 18.0, 17.4, and 17.2 Nm3/ton-ADSC. Conclusion: Therefore, the optimal hydrothermal reaction temperature that yielded the maximum methane yield was 180℃ based on mass balance, and the methane yield from cattle manure containing sawdust was improved by the hydrothermal pretreatment of ADSC.

생균제 미생물비료가 알타리무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Fertilizers on the Yield of Aitari Radish)

  • 김경제;김석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7-116
    • /
    • 1998
  •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organic manure obtained from livestocks fed with BLCS in the altari radish under structure were as follow. The no. of leaves, leaf, root length, root width, and total weight of altari radish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in any other treatment, and cattle drop-ping (BLCS) was higher, also. The contents of total N, P2O5, K2O, CaO, MgO, and sugar content in the altari radish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and the second was cattle dropping (BLCS). The contents of OM, P2O5, K, Ca, Mg, and CED of soil treated with microorganism were the highest in the cattle dropping (BLCS) in any other plots, however. In general, effect of cattle manure fed with BLCS on the altari radish yield and mi-crobial activity were higher than cattle manure did not feed BLCS.

  • PDF

젖소 분과 돈분 슬러리를 이용한 반 건식 혐기소화 효과 (Effect of Semi-Dry Anaerobic Digestion Using Dairy Cattle Manure and Pig Slurry)

  • 정광화;김중곤;이동준;이동현;전중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85-93
    • /
    • 2018
  • 톱밥 깔짚우사에서 채취한 젖소 분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 건식혐기소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서 젖소 분과 돈분 슬러리 그리고 두 가지 축분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대상으로 메탄 발생 잠재량(BMP;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실험을 수행하였다. 혐기소화 실험기간 동안 발생된 메탄가스의 누적량은 젖소 분이 포함된 처리구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으로서 깔짚우사에서 채취한 젖소 분을 단독으로 소화조에 투입하여 반 건식 혐기소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TS (Total Solids) 농도가 13%인 젖소 분의 적정 HRT (Hydraulic Retention Time)는 25일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TS 농도가 13%인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36~1.50v/v-d의 범위였고 평균은 1.44v/v-d 수준이었다. 젖소 분의 TS 농도를 15% 수준으로 설정한 혐기소화조에서의 적정 HRT는 30일이었으며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50~1.61v/v-d 수준이었고 평균은 1.47v/v-d 수준이었다. TS 농도가 17% 수준인 혐기소화조에서의 최적 HRT는 30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50~1.61v/v-d 이었고 평균은 1.55v/v-d 수준이었다.

생균제 미생물비료의 고추시비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Microbial Fertilizers to the Red Pepper)

  • 김경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3-74
    • /
    • 1998
  •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organic manure obtained from livestocks fed with BLCSs in the red pepper under structure were as follow. The no. of fruit.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width. and sugar content of red pepper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higher, also. The contents of total N, P2O5, K2O, CaO, MgO, and cap-saicin in the red pepper fruit of treated with Du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and the second was cattle dropping(BLCS). The contents of OM, P2O5, K, Ca, Mg, and CEC of soil treated with microorganism were the highest in the cattle dropping(BLCS) in any other plots, however. In general, effect of cattle manure fed with BLCS on the red pepper yield and microbial activity were higher than cattle manure did not feed BLCS.

  • PDF

강원도 지역에서 우분의 시용이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Forage Crops in Gang-Wondo Area)

  • 노진환;이희충;김윤중;박상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7-263
    • /
    • 2013
  • 본 실험은 강원지방에서 유기 생우분과 유기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밭토양에서 하계작물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과 동계작물로는 rye 단파구, rye+red clover 혼파구, 논토양에서 벼 '추청' 재배 후, rye 단파구, rye+hairy vetch 혼파구를 도입하였을 때, 각 초종과 작부조합의 건물생산성, 사료가치, 혼파효과 및 가축사육능력을 평가하여 강원지역에서 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조합을 선정하고자 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계작물로 밭토양에서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의 건물수량은 CCM150에서 15.12 ton/ha으로 많았으나, CM150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수량은 1차 예취에서 CCM150이 0.59ton/ha로 유의하게 많았고(p<0.05), 2차 예취에서는 CM150이 0.44ton/ha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K_{CP}+K_{TDN}/2$ 값은 CCM 150이 7.76head/ha로 많았다. 논토양의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건물수량은 4.95 ton/ha으로 화학비료 시용구의 4.84ton/ha보다 많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의 볏짚이 4.09%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TDN 함량은 유기 생우분 시용구의 볏짚이 55.63%로 화학시용구의 볏짚 53.9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 생우분 시용구에서 볏짚의 $K_{CP}+K_{TDN}/2$ 값은 연간 1.89head/ha였다. 동계작물로 밭토양의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CCM100에서 4.36ton/ha로 많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CCM100에서 7.33%로 높았으나 CM100에서 rye+red clover 혼파구의 7.19%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K_{CP}$$K_{TDN}$ 값은 각각 2.32head/ha와 2.36head/ha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논토양에서는 rye+red clover 혼파구의 건물수량은 4.19ton/ha로 많았으나, rye 단파구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ye+red clover 혼파구의 조단백질 함량과 TDN 함량은 각각 7.21%와 59.33%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강원지방에서 유기우분을 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할 경우 밭토양에서는 sorghum ${\times}$ sudangrass 교잡종을 재배한 후 rye+red clover의 혼파가, 논토양에서는 벼 재배 후 rye+hairy vetch를 혼파하는 작부조합이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높이는데 우수하였다고 판단된다.

축분 유기질비료의 고형화에 의한 비효 연장 (Fertility Prolongation of the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 주영규;정영상;이상국;김은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1-76
    • /
    • 2004
  • 축분 유기질 성분을 고형화된 막대 형태고 조형하여 작물 뿌리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와 비효의 유실을 줄이고 비효 지속 기간을 연장 시키어 작물의 근계 발육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학 비료, 분말 형태의 유기질 비료와 막대형 유기질 비료의 비효를 비교하고 작육의 생장 형태를 분석하여 축분의 막대화에 따른 유기질 비료의 효과지속성을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말형태의 축분 사용보다는 고형화된 막대형태의 유기질 축분이 비효의 유출을 줄이고 작물 지상부와 근계발달을 촉진시켜 유기질 비료 특유의 완효성 비효의 지속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특히 멀칭 후에는 분말 형태의 축분 시비가 불가능하나, 이를 막대 형태로 고형화하여 작물 근계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해지며, 수확 후에도 토양 비옥도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Carbon Isotopes on Organic Matter and River Sediments of Toil Stream in Yeongju Dam Basin)

  • 강한;송혜원;김영훈;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5호
    • /
    • pp.439-445
    • /
    • 2022
  • 하천퇴적물에 포함된 유기 오염물질의 기원은 다양하지만 주로 자연 기원의 산토양과 인위적 기원인 우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주댐 유역 토일천의 하천퇴적물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토양과 우분 및 하천퇴적물의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소동위원소비(δ13C) 평균값은 하천퇴적물 -25.17‰, 우분 -22.34‰, 산토양 -26.39‰으로 하천퇴적물은 산토양의 영향을 조금 더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동위원소비(δ15N) 평균값은(‰)는 하천퇴적물 9.46‰, 산토양 1.99‰, 우분 19.53‰이다. 질소동위원소 분석결과에 의하면 토일천 하천 퇴적물은 자연기원의 산토양보다 인위적 기원인 우분의 기여도가 약간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