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human emotion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제품 사용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ool for Measuring the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 정상훈;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43-354
    • /
    • 2006
  • 인간의 감성은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며, 직관적이고 모호한 것이어서 정의하기도 힘들고, 따라서 측정하기는 더욱 어려운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감성의 측정방법은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는 심리적 측정방법과 생리신호를 이용하는 생리적 측정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방법 모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분야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되는 인간의 감성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과 대표감성들을 추출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심리적 측정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제품을 사용하면서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Video TAME)의 실험 진행 모듈에서는 실험 참여자가 실험실에서 자신이 태스크를 수행하였던 장면을 녹화한 동영상을 직접 재생해 보면서 자신의 감성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실험 분석 모듈에서는 연구자가 각 태스크별로 전체적인 실험 내용을 재생하면서 실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엑셀로 내보내기 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motion Modeling for Emotion-based Personalization Service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97-104
    • /
    • 2020
  • This study suggests the emotion space modeling and emotion inference methods suitable for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odels. For personalized emotion space modeling taking into account the subjective disposition based on the empirical assessment of the personal emotions felt by the personalization process of emotion space was us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confirmed that the special learning to perform personalized emotion space modeling without considering the subjective tendencies. In particular to check the possible reasoning based on fuzzy emotion space modeling and sensitivity for the quantification and vague human emotion to it based on the inherent human sensitivity.

A Deep Learning Algorithm for Fusing Action Recognit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restlers

  • Yuan Yuan;Yuan Yuan;Jun Li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3호
    • /
    • pp.754-774
    • /
    • 2023
  • Wrestling is one of the popular events for modern sports.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describe a wrestling game between athletes. And deep learning can help wrestling training by human recognition techniqu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atest wrestling competition rules and human recognition technologies, a set of wrestling competition video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is proposed. This system use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method, observation method, interview method and mathematical statistics to conduct statistics, analysis,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Combined the system application in targeted movement technology. A deep learning-based facial recognition psychological feature analysis method for the training and competition of classical wrestli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rules is propose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natural emotions of male and female wrestlers was about 50%, indicating that the wrestler's mentality was relatively stable before the intense physical confrontation, and the test of the system also prove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정서-색채 이론에 기반한 게임 캐릭터의 동적 얼굴 색 제어 (Facial Color Control based on Emotion-Color Theory)

  • 박규호;김태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28-1141
    • /
    • 2009
  • 게임 산업이 성장하면서 게임 그래픽 분야는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지금은 실제 사진과 컴퓨터 그래픽을 구분하기 힘든 정도로 그래픽 기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출시되는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정서를 표현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얼굴의 표정이나 얼굴의 색(안색)에서 많은 정서 정보를 인지하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컴퓨터의 게임 환경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에게도 얼굴의 색의 변화를 통하여 유저에게 게임의 사실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맥박과 피부 온도만을 이용한 방법과는 다른 인간의 정서 이론을 기반한 정서 모형과 애니메이션의 정서표현 색 그리고 성격이론을 기반한 정서의 반응 속도를 결합하여 게임 캐릭터의 얼굴의 색을 동적으로 변화시켜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얼굴 색 적응 기술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FCAT)를 제안한다. 실제 얼굴 색 적응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얼굴색 모형(Facial Color Model : FCM)과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정서표현을 비교한 결과 정서 표현 색상과 변화율이 애니메이션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 되었다. 또한 2차원 이미지뿐만 아니라 3차원 이미지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 PDF

돈황비천 복식이 현대복식에 주는 의미 (Influence on Modern Costumes of Dunhuang Feitian costumes)

  • 임영자
    • 복식
    • /
    • 제23권
    • /
    • pp.53-65
    • /
    • 1994
  • The images signifying flight in modern costumes are not made of one characteristic but the combination of complex meanings. Among the distinctive features some of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flying styles found in the costumes showed the birds as agents which sent human spirit to the celestial body. By simplifying the images of the wings connecting the present age with the heavenly body, the transforming emotions towards rhythm, direction, and organic curves transcending the real objectively constitutes a new space for expression. Second, colors appeal directly to man's emotions and incites emotional responses. The flying was shown in lines and colors. By using horizontal , vertical, oblique, and spiral lines and contrasted and paralleled colors, man's desire to fly dwells in newly colored space by reflecting speculative emotion through uniting surface. Third, the flying except for the costumes can be found in the advertisement through model's pose and camera technique, the flying itself is described through model's pose, the materials of the costumes, details, and sustaining stuffs. This symbolizes man's wish towards the unknown world vividly and dynamically. As discussed above the spirit of flying was, when expressed distinctively , in accordance with the varying cultural traits and transitions. The shape made by the vitality of symbolizing flying birds and animals along with the flying in the natural aspects such as wind and cloud were reappeared, simplified and symbolized , in modern costumes as consituting a new modeling space.

  • PDF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cdot$심체적$\cdot$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A Brain-Based Approach to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 Successive Integration Model of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Human Brain and the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Domains of School Science)

  • 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86-101
    • /
    • 2005
  • In this study, a brain-basrd model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based on the natural processes which human acquire knowledge about a natural object or on event, the major domains of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human brain'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functions. In the model, each educational objective domain is related to the brain regions as follows: The affective domain is related to the limbic system, especially amygdala of human brain which is involved in emotions, the psychomotor domain is related to the occipital lobes of human brain which perform visual processing, temporal lobes which perform functions of language generating and understandng, and parietal lobes which receive and process sensory information and execute motor activities of body, and the cognitive domain is related to the frontal and prefrontal lobes which are involved in think-ing, planning, judging, and problem solving. The model is a kind of procedural model which proceed fiom affective domain to psychomotor domain, and to cognitive domain of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 system, and emphasize the order of each step and authentic assessment at each step. The model has both properties of circularity and network of activities. At classrooms, the model can be used as various forms according to subjec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S themes can be appropriately covered by the model.

  • PDF

이제마의 수신론 (Lee Jema's Theory of Cultivating the Self)

  • 최대우
    • 철학연구
    • /
    • 제141권
    • /
    • pp.287-311
    • /
    • 2017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이제마의 '수신' 개념을 검토하여 한의학이나 성리학의 '수양' 개념과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의학과 유가의 수양 개념을 살펴본 다음, 사상의학 이론의 철학적 근거를 분석하여 이제마의 수신 개념이 이들의 수양 개념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했다. 한의학이나 유학의 수양 개념은 자연의 변화원리나 천과의 합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월적이다. 그러나 이제마는 경험의 관점에서 인간의 존재구조와 성명, 그리고 사단을 재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학이론을 전개했다. 그는 인간을 경험적으로 인식 가능한 시 공간과 인륜관계 안의 존재로 재해석하고 성명과 사단 또한 인간의 지행 능력과 심신의 기능으로 재해석하여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초월적인 해석을 벗어나려고 했다. 또한 그는 감정(도덕/사적)의 편착이 발병의 가장 큰 요인임을 발견하고 편착된 감정은 심신 기능에 영향을 미쳐 발병의 원인이 된다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의학이론의 기초로 삼았다. 따라서 그의 수신 개념은 감정의 편착을 경계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것은 사상의학이 비록 한의학에서 파생하고 유학의 도덕이론에 근거하고 있지만 의학이론과 의학이론의 철학적 근거는 이들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이제마의 수신을 변화원리나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수양 개념과 구별하고자 하였다.

양방향 LSTM을 적용한 단어의미 중의성 해소 감정분석 (Emotion Analysis Using a Bidirectional LSTM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 기호연;신경식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7-208
    • /
    • 2020
  • 어휘적 중의성이란 동음이의어, 다의어와 같이 단어를 2개 이상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감정을 나타내는 어휘에서도 어휘적 중의성을 띄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어휘들은 인간의 심리를 투영한다는 점에서 구체적이고, 풍부한 맥락을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LSTM을 적용하여 중의성을 해소한 감정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주변 문맥의 정보를 충분히 반영한다면, 어휘적 중의성 문제를 해결하고, 문장이 나타내려는 감정을 하나로 압축할 수 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양방향 LSTM은 문맥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자연어 처리 연구 분야에서 자주 활용되는 알고리즘으로 본 연구에서도 문맥을 학습하기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 GloVe 임베딩을 본 연구 모델의 임베딩 층으로 사용했으며, LSTM, RNN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델과 비교하여 본 연구 모델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SNS 사용자들의 감정을 소비 욕구로 연결시킬 수 있는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알바 알토(Alvar Aalto)의 유기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Design of Alvar Aalto)

  • 이종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91-99
    • /
    • 1997
  • Alvar Aalto has pursued National Romanticism, cultural art movement in scandinavian peninsula, organic concepts of growth and suitability, comprehensive view of nature including a possibility of coexistance of human-being and the nature well harmonized. For instance, his design expressed local features of the nature, human emotions instead of geometical arts and mathematical principles. It is noteworthy today that he built up the identity with satrical architecture vocabularies, different from modern arch-itechtural idiology. The characte-ristics of his design related to interior architecture are collectively as follows; The first, Space discontinui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gradual process by joints which are inclined to collage with many shapes in plan and section of the space and such joints are adjusted by sensual ways and stressed with inner collectivity in his works. The second, He pursued the architectural orderfor modern irreqularity, various changes and sensual harmonies. As result, free curved line, fan shape and irregular modeling were individually expressed by technics of natural feature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Finland. The third, Organic synthesis. A harmony through med-ums in its space, materials and space effectiveness relations are made and expressed for mixed design especially harmonized of all the materials he planned, entire harmony with total design, itemized details, materials and furnitures in entire space. The fourth, The interest of the nature based on his sense harmonized with nature made him mainly use native materials, lumbers and red bricks masonry and showed and arranged various interior sky light and grazed in to let natural light in, harmony with garden to sensually cohere to the nature and courtyard, etcetera. His major subject are to direct architectural developments through the nature and human-being in his works. At this point, it is considered that his direction of the locality and independence as a human-being made the concepts of organic space structure possible.

  • PDF

감정에 기반한 가상인간의 대화 및 표정 실시간 생성 시스템 구현 (Emotion-based Real-time Facial Expression Matching Dialogue System for Virtual Human)

  • 김기락;연희연;은태영;정문열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23-29
    • /
    • 2022
  • 가상인간은 가상공간(가상 현실, 혼합 현실, 메타버스 등)에서 Unity와 같은 3D Engine 전용 모델링 도구로 구현된다. 실제 사람과 유사한 외모, 목소리, 표정이나 행동 등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가상인간 모델링 도구가 도입되었고, 어느 정도 수준까지 인간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가상인간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가상인간 의사소통 방식은 대부분 텍스트 혹은 스피치만을 사용하는 단일모달에 머물러 있다. 최근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상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은 과거 기계 중심의 텍스트 기반 시스템에서 인간 중심의 자연스러운 멀티모달 의사소통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대화 데이터셋으로 미세조정한 인공신경망을 사용해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대화 할 수 있는 가상인간을 구현하고, 해당 가상인간이 생성하는 문장의 감정값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표정을 발화 중에 나타내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자와 가상인간 간의 실시간 멀티모달 대화가 가능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