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ial Color Control based on Emotion-Color Theory

정서-색채 이론에 기반한 게임 캐릭터의 동적 얼굴 색 제어

  • 박규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김태용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공학과)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Graphical expressions are continuously improving, spurred by the astonishing growth of the game technology industry. Despite such improvements, users are still demanding a more natural gaming environment and true reflections of human emotions. In real life, people can read a person's moods from facial color and expression. Hence, interactive facial colors in game characters provide a deeper level of re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which is a combination of an emotional model based on human emotion theory, emotional expression pattern using colors of animation contents, and emotional reaction speed function based on human personality theory, as opposed to past methods that expressed emotion through blood flow, pulse, or skin temperature. Experiments show this of expression of the Facial Color Model based on facial color adoptive technique and expression of the animation contents is effective in conveying character emotions. Moreover, the proposed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can be applied not only to 2D games, but to 3D games as well.

게임 산업이 성장하면서 게임 그래픽 분야는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지금은 실제 사진과 컴퓨터 그래픽을 구분하기 힘든 정도로 그래픽 기술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출시되는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정서를 표현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얼굴의 표정이나 얼굴의 색(안색)에서 많은 정서 정보를 인지하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컴퓨터의 게임 환경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에게도 얼굴의 색의 변화를 통하여 유저에게 게임의 사실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맥박과 피부 온도만을 이용한 방법과는 다른 인간의 정서 이론을 기반한 정서 모형과 애니메이션의 정서표현 색 그리고 성격이론을 기반한 정서의 반응 속도를 결합하여 게임 캐릭터의 얼굴의 색을 동적으로 변화시켜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얼굴 색 적응 기술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FCAT)를 제안한다. 실제 얼굴 색 적응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얼굴색 모형(Facial Color Model : FCM)과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정서표현을 비교한 결과 정서 표현 색상과 변화율이 애니메이션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 되었다. 또한 2차원 이미지뿐만 아니라 3차원 이미지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akashi Yamada, Tomio Watanabe, "Effects of Facial Color on Virtual Facial Image Synthesis for Dynamic Facial Color and Expression under Laughing Emotion," Proceedings of the 2004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pp. 20-22, 2004.
  2. Prem Kalra, Nadia Magnenat Thalmann, "Modeling of Vascular Expresstion in Facial Animation," IEEE Computer Society Press, pp. 50-58, 1994.
  3. Pradeep Buddharaju, Panagiotis Tsiamyrtzis, Mike Bazakos, and Ioannis T. Pavlidis, "Physiology-Based Face Recognition in the Thermal Infrared Spectrum,"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9 , Issue 4, pp, 613-626, 2007 https://doi.org/10.1109/TPAMI.2007.1007
  4. Robert Plutchik, Emotions and Lif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5. Neil R. Carlson, Physiology of Behavior, Allyn & Bacon, 2004.
  6. Robert Plutchik, Emotions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7. A. D. Weisman, the existential core of psychoanalysis, Boston : Little, Brown, 1965.
  8. L. S. Greenberg, & S. C. Paivio,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9. 윤혜림, Colorist, kukje, 2004.
  10. Hans J. Eysenck, & S. B. G. Eysenck, Psychoticism as a Dimension of Personality, London, Hodder & Stoughton, 1976.
  11. Hans J. Eysenck, 이현수,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학지사, 학지심리검사연구소, 2004.
  12. Hans J. Eysenck, & S. B. G. Eysenck, The Manual of the Eysenck Personality Inventory, London Press, 1964.
  13. http://gametech.cau.ac.kr/Kyuho/FCAT/animationList.pdf.